
000 | 00598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696145 | |
005 | 20100806093002 | |
007 | ta | |
008 | 010222s2000 ulka 001a kor | |
020 | ▼a 8978784364 ▼g 93370 :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75175 ▼f 개가 ▼l 111175176 ▼f 개가 ▼l 111175177 ▼f 개가 |
082 | 0 4 | ▼a 497.8107 |
090 | ▼a 497.8107 ▼b 2000 | |
100 | 1 | ▼a 조현용 ▼0 AUTH(211009)3751 |
245 | 1 0 | ▼a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 ▼d 조현용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이정 , ▼c 2000. | |
300 | ▼a 287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72-283)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111751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1117517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21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111751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510958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510958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111751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1117517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21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111751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510958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8107 2000 | 등록번호 1510958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조현용(지은이)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국어교육 전공 교수로 있으며,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과 일반대학원 한국어학 전공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어교육기관 대표자협의회 회장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부회장,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장을 역임했고,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위원,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어휘, 한국어교육, 언어문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공부하며 신문과 잡지 등에 언어문화와 언어 치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언어문화 연구모임을 이끌고 있고, 전 세계를 다니며 언어문화, 어휘와 사고 등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우리말 선물》 《우리말 지혜》 《우리말 교실》을 비롯해 《우리말 깨달음 사전》 《우리말로 깨닫다》 《우리말, 가슴을 울리다》 《우리말, 지친 어깨를 토닥이다》 《우리말의 숲에서 하늘을 보다》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한국어교육의 실제》 《한국인의 신체언어》 《한국어 문화교육 강의》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한글의 감정》 등이 있다. 보물 같은 우리말이 품고 있는 좋은 뜻을 알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우리말’ 시리즈를 썼다.

목차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 2 1.2 연구 방법 = 4 1.3 선행 연구 = 9 2. 어휘교육의 역사 및 현황 2.1 한국의 전통적 어휘교육 = 15 2.1.1 한국의 전통적 외국어 교육 = 16 2.1.2 전통적 어휘교육 = 20 2.2 교수법의 변천과 어휘교육 = 22 2.2.1 문법 번역식 교수법 = 23 2.2.2 청각구두식 교수법 = 25 2.2.3 인지주의 접근법 = 26 2.2.4 의사소통식 교수법 = 28 2.2.5 통합교수법 = 33 2.3 교재에 나타난 어휘교육 현황 = 37 2.3.1 중급 단계 어휘교육 현황 = 38 2.3.2 고급 단계 어휘교육 현황 = 43 2.3 소결론 = 47 3. 한국어 교육용 기본어휘 선정 방안 3.1 교육용 기본어휘의 개념 = 51 3.2 기본어휘 선정 현황 및 문제점 = 56 3.3 기본어휘 선정의 방법 = 64 3.3.1 한국어 교육용 말뭉치 = 65 3.3.2 기본어휘의 수 = 69 3.3.3 선정 어휘의 내용 = 73 3.4 한국어 교육용 기본어휘 선정 시안 = 74 3.5 소결론 = 96 4.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 방법 4.1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교육 = 98 4.1.1 한국어 어휘의 특징 = 99 4.1.2 특징에 따른 어휘교육 = 100 4.1.2.1 어휘의 구조에 따른 교육 = 100 4.1.2.2 의미관계에 따른 교육 = 107 4.1.2.3 사회 언어학적 특징에 따른 교육 = 115 4.2 어휘부의 개념과 어휘교육 = 120 4.2.1 어휘부의 개념과 제논의 = 121 4.2.2 어휘부와 어휘습득 = 123 4.2.3 어휘부와 어휘교육 = 135 4.3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의 원리 = 137 4.3.1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 137 4.3.1.1 어휘의 중요성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 = 138 4.3.1.2 교재의 어휘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 143 4.3.1.3 학습자의 어휘 학습방법 = 149 4.3.2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의 주안점 = 153 4.4 소결론 = 159 5. 어휘 중심 한국어 교과구성 방안 5.1 자모교육 단계 = 164 5.1.1 한국어 자모교육의 현황 = 165 5.1.2 어휘 중심 자모교육의 방법 = 173 5.1.3 어휘선택의 기준 = 179 5.1.4 자모교육 단계에 제시할 어휘의 실제 = 179 5.2 초급 단계 = 186 5.2.1 초급 단계 어휘교육 현황 = 186 5.2.2 어휘 중심 초급 교육의 방법 = 191 5.2.3 초급 단계 교육용 기본어휘 = 197 5.2.4 초급 단계 어휘 중심 교육의 예 = 199 5.2.4.1 초급 수업의 예 = 199 5.2.4.2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 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 202 5.3 소결론 = 204 6. 어휘 중심 학습법 6.1 암기 중심의 어휘학습법 = 206 6.1.1 핵심어 기법의 원리 = 207 6.1.2 핵심어 기법을 이용한 어휘 수업방안 = 210 6.1.3 핵심어 기법을 이용한 수업의 예 = 212 6.2 형성 중심의 어휘학습법 = 216 6.2.1 어휘 게임 구성의 유의점 = 217 6.2.2 어휘 형성 게임의 예 = 220 6.3 해석 중심의 어휘학습법 = 225 6.3.1 어원교육의 필요성 = 226 6.3.2 어원과 어휘교육 = 228 6.3.3 어원을 통한 어휘교육의 예 = 231 6.3.3.1 기초어휘 = 232 6.3.3.2 이철자 동음이의어 = 235 6.3.3.3 수량 단위명사 = 237 6.3.3.4 속담 = 238 6.4 소결론 = 242 7. 어휘 중심 평가 7.1 어휘 평가의 목적 및 어휘 선택 기준 = 246 7.2 한국어 능력 시험의 어휘 평가 현황 = 249 7.3 현행 어휘 평가의 문제점 = 252 7.3.1 문제 유형 = 253 7.3.2 문항의 적절성 = 257 7.4 어휘 평가의 개선방안 = 260 7.5 소결론 = 263 8. 결론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