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 : 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 : 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 (4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보현
서명 / 저자사항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 : 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 / 김보현.
발행사항
부산 :   부산대학교 출판부 ,   2000.  
형태사항
vii, 418 p. : 삽도 ; 25 cm.
ISBN
8973161385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7-402)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Derrida, Jacques,   1930-  
Freud, Sigmund,   1856-1939  
Lacan, Jacques,   1901-1981  
000 00716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95603
005 20100806092237
007 ta
008 010219s2000 bnka FC 001a kor
020 ▼a 8973161385 ▼g 93840: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0.195 ▼2 21
090 ▼a 150.195 ▼b 2000c
100 1 ▼a 김보현 ▼0 AUTH(211009)41260
245 1 0 ▼a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 : ▼b 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 / ▼d 김보현.
260 ▼a 부산 : ▼b 부산대학교 출판부 , ▼c 2000.
300 ▼a vii, 418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97-402)과 색인수록
600 1 4 ▼a Derrida, Jacques, ▼d 1930-
600 1 4 ▼a Freud, Sigmund, ▼d 1856-1939
600 1 4 ▼a Lacan, Jacques, ▼d 1901-198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195 2000c 등록번호 1111759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195 2000c 등록번호 1111759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195 2000c 등록번호 1111759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150.195 2000c 등록번호 1410103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보현(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시애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외무부 재미유학생 명예장학금을 받았으며, 워싱턴 주립대학교 드라마 학과 학부생 지도조교로 일했으며, 미국 시애틀 Conservatory Theatre Company에서 연극배우로도 활동했다. 경희대학교 영문학과 전임강사를 거쳐 부산대학교 영어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5년 퇴임했다. 2000년 부산대학교 국제교류 협력처의 환태평양 실장 Dean of International Affairs을 역임했으며, 2001년 데리다의 초청으로 프랑스 사회과학연구원에서 방문연구를 수행했다. 데리다의 《해체》(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어바인 캠퍼스, 특별보관소 영구보관/2001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를 편역했으며, 저서로는 《데리다 입문》(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어바인 캠퍼스, 특별도서보관소 영구보관)이 있다. 유진 오닐, 아서 밀러, 버나드 쇼, 브레히트, 라캉, 윌리엄 블레이크, 말라르메, 제임스 조이스에 대한 논문들과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공저), 《현대문학비평 이론의 전망》(공저), 《정신분석학과 여성주의》(공역)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ⅰ

시작하면서 = 1

1. 정신분석학의 기본 용어 세개 = 15

 1-1. 충동(본능) = 15

 1-2. 신체 효과 = 16

 1-3. 심리 표상 = 19

2. 심리 표상과 신체 효과와의 관계 = 21

3. 무의식이 표상되게 하는 세(네)가지 기제 = 25

 3-1. 억압 = 25

 3-2. 전이 = 26

 3-3. 반복충동 = 30

 3-4. 행운 - 우연한 만남 = 31

4. 프로이트의 무의식 - 이의 폐쇄와 화석화 = 39

 4-1. 꿈(무의식)은 고대문자다 :프로이트와 상징적 통시적 언어관 = 39

 4-2. 무의식은 체계다 : 프로이트와 공시주의 언어관 - 블레이크와 워즈워드 = 47

 4-3. 언어·인식·삶의 폐쇄성 : 주사위놀이와 장기놀이 - 콜리지, 말라르메, 뒤샹, 엘리엇, 소쉬르 = 67

 4-4. 무의식은 허구다 : 정신분석학과 포스트구조주의 - 늑대인간 : 사실인가, 허구인가? = 79

5. 정신분석학의 이원적 얼게 : '이론적 허구' = 99

6. 무의식은 표상되는가? = 109

7. 프로이트의 『쾌락원칙을 넘어서』에 대한 데리다의 패러디 = 123

 7-1. 프로이트의 쾌락원칙에 대한 데리다의 패러디 = 135

 7-2. 진전없는 제자리 맴돌기 = 170

 7-3. 헤겔의 변증법 - 죽음으로 이르는 폭력 = 193

 7-4. '기괴한 효과' - 복제된 유령(악마)의 출현 = 212

8. 자크 라캉 : 패러독스의 논리와 무의식의 회귀설 = 217

 8-1. 1960년대 파리 = 217

 8-2. 주체와 무의식 = 223

 8-3. 기표의 효과 - 환유 은유 그리고 라랑그와 무의식의 회귀설 = 229

 8-4. 패러독서의 논리 = 242

 8-5. 기표 - '무한대로 미끄러지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戰車·電車)' = 246

9. 자크 라캉의 음성주의 형이상학 = 253

 9-1. 한국 라캉학자들에 의해 간과된 라캉의 음성주의 형이상학 = 257

 9-2. 라캉과 헤겔 = 293

 9-3. 무의식의 시간 - 전미래(前未來) - 변증법적 시간 = 305

10. 포의 「도둑맞은 편지」의 독법 : 라캉, 데리다, 존슨 = 323

 10-1. 데리다에 대한 존슨의 질책 = 323

 10-2. 존슨의 라캉 따라하기 = 342

 10-3. 존슨의 라캉 감싸주기 = 354

 10-4. 입장의 차이 = 361

 10-5. 데리다의 주사위 던지기 = 366

인용한 문헌들 = 397

찾아보기 = 40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