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기사 문장과 글다듬기 = 13
1. 언어 현장의 문장 치료사들 = 13
1) 토씨 하나에도 정성을 다한다 = 13
2) 기사의 품질 관리 = 17
3) 교열 오류도 있다 = 19
4) 오자는 누구나 싫어한다 = 20
2. 신문 언어의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 = 22
1) 제작 환경의 변화 = 22
2) 신문 언어의 위기 또는 기회? = 24
3) 신문 언어에 접근하는 두 방법 = 26
4) 실무에서의 사례 = 29
3. 저널리즘 언어와 기사 문장의 성격 = 32
1) 저널리즘 언어의 특성 = 32
2) 기사 문장의 특성 = 33
4. 말하듯이 쉽게, 그러나 간결하게 = 34
1) 3C+1L = 35
2) 기사 문장 쓰기의 수칙들 = 36
제2장. 글쓰기의 기본 도구들 = 41
1. 말과 글에도 규칙이 있다 = 41
2. 맞춤법, 원칙을 알고 응용하자 = 43
1) '짭짤하다-짭잘하다' 쓰기 - 된소리를 적는 방식 = 44
2) '수돗물'인가 '수도물'인가 - 사이시옷(ㅅ)의 처리 = 46
3) '실업율'이 아니라 '실업률'이다 - 두음법칙에 따른 용례 = 51
4) '빈번이'와 '빈번히'의 구별 - 부사와 접미사'-이, -히'의 구별 = 59
5) 명사로 바뀐 말을 적는 방식 = 61
6) '얇다랗다'가 아니라 '얄따랗다'이다 = 64
7) ㄷ과 ㄹ의 넘나듦 = 65
8) '-이요'와 '-오', -요'의 구분 = 65
9) 'ㅂ'소리 덧남과 'ㅎ'소리 덧남 = 66
10) 접두사 '새-(시-), 샛-(싯-)'의 구별 = 67
11) '몇월'과 '며칠'의 유래 = 68
12) 준말을 많이 사용하라 = 69
13) 표준어 쓰기 몇 가지 = 75
3. 띄어쓰기는 글의 정교함을 더한다 = 82
1) 띄어쓰기의 필요성 = 82
2) 띄어쓰기 오용의 내적 요인 = 84
3) 띄어쓰기 오용의 외적 요인 = 86
4) 띄어쓰기를 위한 기본 개념들 = 87
5) 완충 규정 = 88
6) 띄어쓰기도 맞춤법의 하나다 = 89
7) 띄어쓰기의 일반 규칙들 = 90
8) 주의해야 할 동(同)형태 이(異)용도의 말들 = 96
9) 휴지(休止)와 띄어쓰기 = 109
4. 외래어는 현지 발음에 따라 적는다 = 118
1) 표기를 위한 기본 틀 = 121
2) 표기세칙 정리 = 122
3) 그 밖의 유용한 표기 요령들 = 129
제3장. 잘 짜여진 문장에는 긴장감이 있다 = 134
1. 악문과 비문 = 134
2. 단어의 형태를 알고 써야 한다 = 136
1) 단어(용언)의 변신 = 136
2) '준말'에 따라 활용 방식이 다르다 = 145
3) 불규칙 용언의 활용 오류 = 149
4) 접미사'-하다'의 기능과 오용 = 158
5) '-(어) 지다'의 바른 쓰임새 = 163
6) 사동 표현 '-시키다'의 오·남용 = 166
7) '-되다'의 용법 = 168
8) 존재사 '있다'의 남용 = 172
9) 명령꼴 '-하라'와 '-해라'의 구분 = 174
10) 신문 언어의 규범성과 현실성 = 175
3. 단어를 적절하게 배치해야 한다 = 186
1) 문장 성분은 어울리는가 = 188
2) 단어마다 갖는 의미 자질을 살핀다 - 선택 제약 = 204
3) 중첩의 오류들 = 207
3-1) 단어 형태의 중복을 피한다 = 210
3-2) 의미상의 중첩 = 236
4) 그 밖의 군더더기들 = 245
5) 접속 용법의 이해 = 249
6) 꾸며주는 말의 처리 = 260
7) 삼가야할 피동형 문장 = 265
8) 짝을 이뤄 쓰이는 말 = 270
9) 인용문을 쓰는 방식 = 273
10) 생략이 많으면 뜻이 모호해진다 = 276
11) 논리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단어·표현들 = 280
12) 상투적 표현의 오류 = 286
13) 관용적 표현들 = 292
14) 말투를 그대로 옮기는 경우 = 295
15) 큰말-거창한 표현의 남용 = 298
제4장. 작지만 미묘한 부분들 = 301
1. 복수 표지 '들'의 쓰임새 = 301
2. 접미사 '-적(的)'의 쓰임새와 오·남용 = 305
3. 접미사 '-화(化)'의 용법 = 311
4. 숫자의 표기 방식 = 317
5. 외래 조어와 약어를 읽는 방식 = 321
6. 숫자와 어울린 말의 표기 = 327
7. 인용 또는 강조의 문구와 마침표 = 330
8. 쉼표(,)의 유용성과 오용 = 333
9. 영문자 표기 방식 = 336
제5장. 신문 언어와 사회 = 337
1. 뉴스 언어로서의 한자의 효용과 그 남용 = 338
1) 신문에서의 한자 사용을 어떻게 볼 것인가 = 339
2) 지나친 한자어 사용의 오류 = 345
3) 한자어 사용과 풀어쓰기 = 350
2. 언어 민족주의와 언어 사대주의 = 352
1) 현지음으로 적을 것인가 한국음으로 적을 것인가 = 352
2) 이중 표기 허용의 문제 = 355
3) 현지음 표기가 늘어간다 = 356
3. 누구를 위한 외래어 표기인가 = 358
1) 두 가지 기본 정신 = 358
2) 현실 발음과 표기가 다르다 = 360
3) 표기 규정이 너무 복잡하다 = 363
4) 예외가 너무 많다 = 364
4. 뉴스 언어에서 외래어는 필요악인가 = 366
1) 외래어와 외국어의 구별 = 366
2) 외래어의 관점에서 본 우리말의 역사 = 368
3) 외래어 유입의 배경 = 369
4) 저널리즘의 시각에서 본 외래어와 그 문제점 = 374
5) 대중매체의 외래어 남용에 대한 변명 = 378
6) 외래어 사용과 언어 인식, 그리고 오·남용 = 382
7) 외래어를 써야 먹힌다? = 387
5. 약어와 조어의 위력 = 389
1) 신문 언어는 약어를 선호한다 = 389
2) 약어를 만드는 방식과 그 오·남용 = 396
3) 유행어와 단어 = 399
4) 조어의 장점과 단점 = 401
제6장. 어휘와 문장의 차원을 넘어서 = 404
1. 신화를 만드는 뉴스 언어들 = 406
1) 언어의 오용에 접근하는 하나의 시각 = 406
2) 뉴스 언어는 현실을 규정한다 = 408
3) 사실의 언어와 진실의 언어 = 410
4) 시각(point of view)과 이름 붙이기(naming) = 413
5) 이름 붙이기의 방식들 = 417
6) 방황하는 말들에 대한 감시 = 431
2. 뉴스 언어는 무엇을 수행(遂行)하는가 = 433
1) 신문 언어에는 사상성이 담긴다 = 433
2) 수행문과 주술(呪術)적 효과 = 434
3) 수행에 동원되는 어휘·통사 구조 = 437
4) 이데올로기는 일상적인 것이다 = 444
3. 신문 언어 양식의 모색 - 명사 사용을 줄이자 = 446
1) 압축성과 서술성의 사이 = 446
2) 명사문과 비정상적 명사문 = 448
3) 잘못 쓰는 명사문들 = 450
4) 명사문의 효용과 풀어쓰기 = 459
5) 명사구(명사 나열체)의 형식과 풀어쓰기 = 462
6) 구체화되지 않은 의미들 = 467
7) 뉴스 언어의 우리말다움을 위하여 = 472
참고문헌 = 475
부록-보충·심화 학습 자료 = 480
찾아보기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