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古代 音樂과 이후의 狀態
인간의 음악탄생(인도, 중국, 그리이스) =
그리이스의 음악체계 =
제2장 고대로마음악과 초기그리스도교회 음악
로마의 음악 = 10
초대교회의 음악(1-6세기) = 11
西方의 典禮와 로마의 優越性 = 14
제3장 그레고리 聖歌와 이후의 中世 世俗歌
그레고리오 聖歌와 로마式 典禮 = 16
로마式 典禮 = 16
고대 그레고리오 聖歌의 記譜法 = 18
그레고리오 성가의 種類, 形式, 型 = 19
그레고리성가의 후기의 자유로운 창작과 발전 = 19
중세의 음악이론과 실제 = 20
헥사코드의 體系 = 20
제4장 中世의 非 典禮的이고 世俗的인 音樂
初期의 世俗的인 形式 = 22
미네징거(Minesinger, 사랑의 가인) = 23
마이스터징거(Meistersinger) = 24
中世의 器樂과 樂器 = 24
제5장 13世紀 음악과 그후의 多聲音樂
初期 多聲音樂의 歷史的 背景 = 26
초기의 오르가눔 = 26
꾸밈 오르가눔(Melismatic Organum) = 27
리듬선법 = 27
노트르 담 樂派의 오르가눔 = 28
레오니누스 = 28
페로트누스 오르가눔 = 29
多聲 콘툭투스 = 29
콘툭투스의 특성 = 29
모테토 = 30
모테토의 가사 = 31
프랑코風의 모테토 = 31
13세기의 記譜法 = 32
호케투스 = 33
제6장 14세기의 Ars Novad와 프랑스와 이탈리아음악
일반적인 배경(Ars Nova) = 34
아이소 리듬 모테토 = 36
기욤 드 마쇼 = 36
마드리갈(감상은 란디니에서) = 38
캇치아 = 38
발라타 = 38
프란치스코 란디니(1325-1397) = 39
14세기 후기의 프랑스음악 = 39
半音階主義와 무지카 픽타(Musica Ficta) = 40
Musica ficta(musica falsa라고도 함) = 40
제7장 15세기의 영국 음악과 브르고뉴 樂派와 그네상스 음악
15세기가지 말기까지의 영국음악 = 42
포부르동(faburden) = 42
올드홀. 寫本(Old Hall Manuscript) = 43
존.던스터불 = 43
奉獻 안티포나 = 44
캐럴 = 44
中世 末期 音樂樣式의 發展 = 44
15세기 모테토 = 44
부르고뉴樂派 = 45
기욤 뒤파이 = 45
부르고뉴樂派의 샹송 = 46
질 벵슈아 = 46
부르고뉴樂派의 모테토 = 46
부르고뉴樂派의 미사곡 = 47
제8장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일반적인 특색 = 48
사회적 여건 = 48
역사상 사건 = 48
악보인쇄 = 49
르네상스의 音樂樣式 = 49
무지카 픽타(musicaficta, musicafalsa) = 49
리듬 = 50
音樂構造 = 50
폴랑드르樂派의 作曲家들 = 50
요한네스 오케겜 Johnnes Ockeghem = 50
오케겜의 樣式 = 51
폴랑드르樂派의 카논 = 52
오케겜의 교회음악 = 52
야코브 오브레히토 Jacob Obrecht = 53
오브레히트의 樣式 = 53
샹송 = 54
오데카톤 = 54
조스켕데스프레의 경력 = 54
조스켕의 미사곡 = 55
패러디 미사 = 55
가사와 음악 = 55
무지카 레세르바타 = 55
모테크의 구조 = 56
오브레하트와 조스켕의 같은 시대 사람들 = 56
헨르쿠스 이자크 = 56
피에르 르라뤼 = 57
제9장 16세기의 새로운 潮流인 1520-1550년의 프랑코, 플랑드르 樂派
아드리안 빌라르트 Adrian Willaert = 58
민족적인 樣式들의 生成 = 59
이탈리 = 59
프로톨라 Frottola = 59
라우다 = 59
프랑스 = 60
새로운 프랑스의 샹송 = 60
후기 네덜란드악파의 샹송 = 60
독일 = 60
쿼틀리베트 quodlibet = 60
스페인 = 61
동부 유럽 = 61
영국 = 61
器樂의 生成 = 61
류트 = 62
기악과 성악의 관계 = 62
기악 형식 ; 리체르카레 = 63
칸쪼나 = 63
무용곡 = 63
변주곡 = 64
마드리갈과 여기에 관련된 형식들 = 64
마드리갈의 가사 = 65
초기 마드리갈 작곡가 = 65
치프리아노 데 로레 = 65
네델란드 악파의 마드리갈 작곡가 = 66
루카 마렌찌오 = 66
카를로 제수알도 Carlo Gessualdo = 66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66
이탈리아의 世俗的 성악형식 = 67
독일 = 67
오를란드 디 랏소 = 67
프랑스 = 68
音律音樂 = 68
영국 = 68
영국의 마드리갈 = 68
류트 歌曲 = 68
제10장 버로크 이전 음악인 후기 르네상스의 교회음악과 器樂
독일에서의 宗敎改革의 음악 = 69
마르틴 루터 = 69
루터派의 합창곡(코랄) = 69
콘투라 팍툼 Contrafactum = 70
다성 합창곡 = 70
합창 모테트 = 70
독일 밖에서의 종교개혁의 교회음악 = 71
영국 國敎會의 음악 = 71
트렌트 公議會 = 71
팔레스트리나 = 72
팔레스트리나의 양식 = 72
팔레스트리나의 和聲 = 72
팔레스트리나의 同時代人 = 73
빅토리아 = 73
오룰란도 디 랏소 Orlando di Lasso = 73
윌리엄 버드 William Byrd = 74
16세기 후기의 기악 = 74
칸초네 = 75
무용곡 = 75
즉흥적인 곡 = 76
영국의 건반 음악 = 76
바로크시대를 향하여 : 베네치아악파의 사회적 요건 = 77
베네치아의 복합창 모테트 = 77
기악곡 = 77
베네치아 악파의 영향 =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