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본질 = 19
제1절 학문으로서의 독자성 = 19
제2절 연구범위 = 20
제3절 연구목적 = 20
제4절 행정의 개념 = 21
1.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 21
2. 행정학적 행정개념 = 22
3. 행정의 개념정리 = 24
제2장 행정학의 연구와 발달 = 25
제1절 관방학(Cameralism) = 25
1. 성립배경 = 25
2. 관방학의 내용 = 25
제2절 슈타인(Stein) 행정학 = 26
1. 성립배경 = 26
2. 슈타인 행정학의 내용 = 26
제3절 미국 행정학의 성립 배경 = 26
1. 역사적배경 = 26
2. 발전요인 = 27
제4절 정치와 행정 = 27
1. 정치-행정이원론(기술적 행정학) = 27
2. 정치-행정일원론(기능적 행정학) = 28
3. 새 정치-행정이원론(행태론적 행정학) = 28
4. 새 정치-행정일원론(발전가능설) = 28
제5절 공행정과 사행정(행정과 경영) = 29
1. 유사점 = 29
2. 차이점 = 30
제6절 행정의 과정 = 31
1. 의의 = 31
2. 전통적 행정과정 = 31
3. 현대적 행정과정 = 32
제7절 과학적 관리론 = 33
1. 의의 = 33
2. 발달과정 = 33
3. 내용 = 34
4. 행정에 미친 영향 = 34
5. 비판 = 34
제8절 인간관계론 = 35
1. 의의 = 35
2. 내용 = 35
제9절 행정행태론 = 37
1. 의의 = 37
2. 내용 = 37
3. 한계 = 38
제10절 행정생태론 = 39
1. 의의 = 39
2. 고스의 이론 = 39
3. 리그스의 이론 = 40
제11절 비교행정론 = 43
1. 의의 = 43
2. 발달요인 = 43
3. 비교행정 연구의 접근방법 = 44
제12절 발전행정론 = 45
1. 발전행정의 개념 = 45
2. 발전행정의 접근방법 = 46
3. 발전행정론의 특색 = 47
제13절 신행정론 = 47
1. 의의 = 47
2. 내용 = 48
3. 한계 = 49
제3장 행정의 규범적 차원과 행정문화 = 50
제1절 행정이념(행정의 기본가치) = 50
1. 행정이념의 의의 = 50
2. 행정이념의 필요성 = 50
3. 행정이념의 유형 = 50
제2절 현대 행정의 특징 = 53
1. 현대 행정의 의의 = 53
2. 현대 행정의 특징 = 53
제3절 행정문화 = 55
1. 개념 = 55
2. 선진국의 행정문화 = 55
3. 후진국의 행정문화 = 55
4. 우리나라의 행정문화 = 56
제2편 정책학
제1장 정책학의 기초이론 = 61
제1절 정책학이란? = 61
1. 정책학의 개념, 연구목적, 성격 = 61
2. 정책학의 발전 = 62
3. 정책학의 내용 = 63
제2절 정책의 의의와 유형 = 65
1. 정책의 의의 = 65
2. 정책의 성격 = 66
3. 정책의 유형 = 67
제3절 정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 모형을 중심으로 = 70
1. 일반모형 = 70
2. 권력을 기준으로 한 모형 = 73
3. 합리성을 기준으로 = 76
4. 여러 가지 시각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 = 79
제4절 정책환경과 참여자 = 80
1. 정책환경과 참여자에 대한 이해 = 80
2. 환경(무형의 환경) = 80
3. 유형의 환경, 비공식 참여자 = 81
4. 공식참여자 = 82
제2장 정책형성 = 84
1. 정책의제 설정 = 84
2. 정책문제의 정의 = 88
3. 정책목표의 설정 = 91
4. 정책대안의 탐색과 개발 = 93
5. 정책분석과 정책의 채택 = 95
제3장 정책집행·정책평가 = 101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 101
1. 정책집행의 개념 = 101
2. 정책집행 연구의 의의 = 102
3. 정책집행연구를 위한 접근법들 = 104
4. 성공적인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08
제2절 정책평가 = 112
1. 정책평가의 의의 = 112
2. 정책평가의 목적 = 112
3. 평가대상(what?) = 114
4. 정책평가의 기준 = 118
5. 방법(how) = 119
제3편 조직론
제1장 조직의 기초이론 = 123
제1절 조직의 정의 = 123
1. 조직의 정의 = 123
2. 조직의 유형 = 124
제2절 조직이론의 발달 = 126
1. 의의 = 126
2. 고전적 조직이론 = 126
3. 신고전적 조직이론 = 127
4. 현대적 조직이론 = 128
제2장 조직의 목표 = 131
제1절 조직목표의 개념 = 131
1. 목표의 정의 = 131
2. 행정조직목표의 성격 = 131
3. 조직목표의 불명확성 = 131
4. 조직목표의 기능 = 132
제2절 목표의 유형 = 132
1. 공식성 = 132
2. 기능성 = 132
3. 계층성 = 133
4. 유형성 = 133
제3절 목표의 변동 = 133
1. 목표의 전환 = 133
2. 목표의 승계 = 134
3. 목표의 다원화·확대 = 134
제4절 목표관리 = 135
1. 의의 = 135
2. 목표관리의 기능 = 135
제3장 조직인의 인간관과 동기부여 = 137
제1절 조직인의 인간관 = 137
1. 의의 = 137
2. 인간관의 유형 = 137
3. 조직인의 성격유형 = 139
제2절 동기부여이론 = 141
1. 의의 = 141
2. 인간욕구에 따른 동기부여전략 = 141
3. 인간관에 따른 동기부여전략 = 143
제4장 조직의 원리와 구조 = 146
제1절 관료제 = 146
1. 관료제의 개념 = 146
2. Max Weber의 관료제이론 = 147
3. 관료제이론의 재평가와 방향 = 148
4. 관료제의 병리현상 = 150
5. 관료제와 민주주의 = 151
제2절 조직편성의 원리 = 152
1. 부처편성의 원리 = 152
2. 계층제의 원리 = 156
3. 분업의 원리 = 158
4. 명령통일의 원리 = 159
5. 통솔범위의 원리 = 160
제3절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 = 163
1. 의의 = 163
2.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집단의 특징 = 164
3.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상호관계 = 164
4. 비공식적 집단의 기능과 통제 = 165
제4절 조직구조의 변동 = 167
1. 개념 = 167
2. 에드호크러시의 유형 = 168
제5장 기획관리 = 170
제1절 기획의 의의 = 170
1. 기획의 개념 = 170
2. 행정기획의 특성 = 170
3. 행정기획의 기능 = 171
4. 기획의 발전요인 = 172
제2절 기획의 유형 = 173
1. 적용범위별 유형 = 173
2. 기간별 유형 = 174
3. 대상별 유형 = 174
4. 고정성 여부별 유형 = 175
5. 강제성 정도별 유형 = 175
6. 지역수준별 기획 = 175
제3절 중앙기획기구의 성격과 유형 = 176
1. 중앙기획기구의 성격 = 176
2. 중앙기획기구의 유형 = 176
제4절 기획과정 = 178
1. 목표설정 = 178
2. 자료의 수집과 분석 = 178
3. 기획전제의 설정 = 178
4. 대안의 설정 = 179
5. 대안의 선택 = 179
제5절 기획의 제약성 = 180
1. 기획수립상의 저해요인 = 180
2. 계획집행상의 제약요인 = 180
3. 환경적인 제약요인 = 181
제6장 조직관리 = 182
제1절 집행기관 = 182
1. 최고집행기관 = 182
2. 중간집행기관 = 183
제2절 의사전달 = 185
1. 의의 = 185
2. 의사전달의 유형 = 186
3. 의사전달의 장애요인 = 187
제3절 정책결정 = 188
1. 정책결정의 의의 = 189
2. 정책결정의 참여자 = 189
3.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191
4. 정책결정과정 = 194
5. 정책결정상의 합리성의 한계 = 198
제4절 리더십 = 200
1. 의의 = 200
2. 리더십의 특징과 기능 = 200
3. 리더십이론의 유형 = 201
4. 리더십의 유형 = 202
제5절 권위 = 204
1. 의의 = 204
2. 권위의 유형 = 205
3. 권위의 수용 = 206
제6절 조정 = 208
1. 의의 = 208
2. 조정의 방법 = 209
3. 조정의 저해요인 = 209
제7절 갈등관리 = 210
1. 의의 = 210
2. 갈등의 유형 = 211
3. 갈등의 원인 = 211
4. 갈등의 해결 = 212
제4편 인사행정
제1장 인사행정의 발전과 인사행정기관 = 217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와 중요성 = 217
1. 인사행정의 의의 = 217
2. 인사행정의 중요성 = 218
제2절 정부의 인사행정의 특성: 인사관리와의 비교 = 219
제3절 엽관주의와 정실주의 = 220
1. 의의 = 220
2. 성립과정 = 220
3. 발달요인 = 221
4. 엽관주의의 장점과 폐해 = 222
제4절 실적주의 = 223
1. 실적주의의 의의 = 223
2. 실적주의 발달요인 = 223
3. 실적주의의 발달과정 = 224
4. 실적주의제의 원칙 = 226
5. 실적주의의 본질적 내용 = 227
6. 실적주의의 이점과 폐해 = 228
7. 실적주의의 평가(엽관주의의 가미) = 229
제5절 적극적 인사행정 = 230
1. 적극적 인사행정의 의의 = 230
2. 적극적 인사행정의 대두 이유 = 230
3. 적극적 인사행정의 내용-제도적 방안 = 231
제6절 대표관료제 = 232
1. 대표관료제의 의의와 전제 = 232
2. 대표관료제의 대두요인 = 233
3. 대표관료제의 중요성 = 234
4. 대표관료제의 제이론 = 235
5. 대표관료제의 효용·비판 = 237
6. 대표관료제와 실적주의 = 238
7. 우리나라에서의 대표관료제 = 239
제7절 직업공무원제 = 241
1. 의의 = 241
2. 직업공무원제의 확립 요건 = 242
3. 직업공무원제의 특징과 문제점 = 243
4. 우리나라의 직업공무원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244
제8절 인사행정기관 = 245
1. 중앙인사기관의 의의 = 245
2. 각국의 중앙인사기관 = 245
3. 중앙인사기관의 성격 = 246
4.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 248
5.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 249
제2장 공직의 분류 = 250
제1절 공직의 분류 = 250
1. 공직분류의 의의와 기준 = 250
2.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 250
3. 정무관과 행정관 = 252
4. 개방형과 폐쇄형 = 252
5. 교류형과 비교류형 = 253
제2절 직위분류제 = 254
1. 의의 = 254
2. 직위분류제의 구조와 수립절차 = 255
3. 직위분류제의 장·단점 및 도입상의 문제점 = 256
제3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와의 비교 = 259
1. 의의 = 259
2. 계급제의 장·단점 = 260
3.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비교 = 261
4. 채택할 때의 고려요인 = 263
제3장 인적 자원의 선발 = 265
제1절 모집 = 265
1. 의의 = 265
2. 적극적 모집방법 = 266
3. 모집에 있어서 자격요건 = 267
제2절 시험 = 268
1. 의의 = 268
2. 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 = 269
3. 시험의 종류 = 270
4. 우리나라의 시험제도 = 271
제3절 공무원의 임용 = 272
1. 의의 = 272
2. 임용의 주요절차 = 272
3. 시보임용 = 273
4. 임명과 보직 = 273
제4절 승진 = 274
1. 승진의 의의 = 274
2. 승진의 범위 = 275
3. 승진의 기준-경력과 실적 = 277
4. 승진제도 = 278
제5절 배치전환(전직·전보) = 281
1. 의의 = 281
제4장 능력발전과 사기관리 = 284
제1절 교육훈련 = 284
1. 교육훈련의 의의 = 284
2. 교육훈련의 목적과 수요 = 284
3. 공무원 교육훈련의 종류 = 286
4. 교육훈련제도의 운영 = 289
5. 우리나라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91
제2절 근무성적평정 = 293
1. 근무성적평정의 의의 = 293
2. 평정방법 = 294
3. 근무성적평정의 운영 = 296
4. 비판과 개선방향 = 299
제3절 공무원의 사기 = 300
1. 사기의 의의 = 300
2. 사기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02
3. 사기의 조사방법 = 303
4. 사기의 문제점과 앙양방안 = 304
제4절 공무원의 고충처리제도 = 306
1. 고충처리의 의의 = 306
2. 필요성 = 306
3. 고충처리의 방식 = 306
4. 고충처리의 성공조건 = 307
5. 우리나라의 고충처리제도 = 307
제5절 제안제도 = 308
1. 의의 = 308
2. 제안제도의 장·단점 = 308
3. 제안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요건 = 309
제6절 공무원단체 = 309
1. 공무원단체의 의의 = 309
2. 공무원단체의 활동내용 = 310
3. 공무원단체의 확립요건 = 311
4. 공무원단체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311
제7절 보수 = 312
1. 보수의 의의 = 312
2. 공무원 보수의 특질 = 313
3. 보수수준의 기본원칙과 결정요인 = 313
4. 보수체계와 보수표 = 315
5. 우리나라 공무원보수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317
제5장 근무규율 = 318
제1절 공무원의 충성 = 318
1. 의의 = 318
2. 충성의 필요성 = 318
3. 충성과 인권과의 관계(충성요구의 한계) = 318
4. 충성심사(신원조회) = 319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319
1. 의의 = 319
2.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 = 319
3. 정치적 중립의 확립요건 = 320
4. 각국의 정치적 중립제도 = 320
5. 우리나라의 정치적 중립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321
제3절 신분보장 = 322
1. 신분보장의 의의 = 322
2. 신분보장의 필요성과 한계 = 322
3. 공무원신분보장의 제한 = 323
제5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 = 327
제1절 재무행정의 의의 = 327
1. 재무행정의 의의 = 327
2. 재무행정론의 중요성 = 327
3. 재무행정의 연구영역 = 328
제2절 예산관계조직 = 329
1. 예산관계조직 = 329
2. 우리나라의 중앙예산기관 = 331
제3절 예산관계법규 = 333
1. 헌법과 법률체계 = 333
2. 예산회계법 = 335
제2장 예산의 기능과 원칙 = 338
제1절 예산의 의의 = 338
1. 예산의 개념 = 338
2. 예산기능의 의의 = 338
3. 통제기능 = 339
4. 관리기능 = 340
5. 계획기능 = 340
제2절 예산의 원칙 = 341
1. 예산원칙의 의의 = 341
2. 선델슨의 예산원칙 = 342
제3장 예산의 종류 = 344
제1절 회계형태별 예산종류 = 345
1. 일반회계예산 = 345
2. 특별회계예산 = 348
3. 기금예산 = 351
4. 통합예산 = 353
제2절 회계성립내용별 종류 = 354
1. 본예산 = 354
2. 수정예산 = 355
3. 추가경정예산 = 356
제3절 예산불성립시의 예산종류 = 357
1. 예산불성립시의 예산집행 = 357
2. 준예산 = 357
3. 잠정예산 = 358
제4장 예산의 일생과 과정 = 359
제1절 예산편성 = 359
1. 의의 = 359
2. 예산편성 절차 = 360
제2절 예산심의 = 362
1. 의의 = 362
2. 예산심의 절차 = 363
제3절 예산집행 = 364
1. 예산집행 절차: 입법부 통제의도의 구현 = 365
2. 신축성의 유지장치 = 367
제4절 결산 및 회계감사 = 369
1. 의의 = 369
2. 결산절차 = 370
3. 회계감사의 절차 = 371
제5장 예산개혁 = 375
제1절 예산개혁의 의의 = 375
1. 예산개혁의 개념 = 375
2. 예산제도 개혁의 기준 = 375
3. 개혁의 내용 = 376
제2절 품목별예산제: 부정의 방지 = 377
1. 도입배경 = 377
2. 품목별예산제의 개념 = 377
3. 품목별예산제의 평가 = 378
제3절 성과주의 예산제: 능률적인 정부운동 = 380
1. 도입배경 = 380
2. 성과주의예산제의 개념 = 380
3. 성과주의예산제의 평가 = 381
제4절 계획예산제: 분석적인 정부운동 = 383
1. 도입배경 = 383
2. 계획예산제의 개념 = 383
3. 계획예산제의 평가 = 385
제5절 영기준예산제: 자원부족시대의 예산제 = 387
1. 도입배경 = 387
2. 영기준예산제의 개념 = 387
3. 영기준예산제의 평가 = 388
찾아보기 = 391
참고문헌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