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5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694200 | |
005 | 20100806085834 | |
007 | ta | |
008 | 010206s2000 ulk 001a kor | |
020 | ▼a 8995040459 ▼g 03900 : ▼c \1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76421 ▼f 개가 ▼l 111176422 ▼f 개가 ▼l 111176423 ▼f 개가 |
082 | 0 4 | ▼a 327.539051 ▼2 21 |
090 | ▼a 327.539051 ▼b 2000 | |
100 | 1 | ▼a 이종석 , ▼d 1958- ▼0 AUTH(211009)67583 |
245 | 1 0 | ▼a 북한-중국관계 : ▼b 1945-2000 / ▼d 이종석 지음. |
260 | ▼a 서울 : ▼b 중심 , ▼c 2000. | |
300 | ▼a 382 p. ; ▼c 23 cm. | |
500 | ▼a 부록 : 김일성·김정일과 역대 중국지도부와의 회담 내역 외 | |
504 | ▼a 참고문헌 (p.345-369)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1764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1764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1764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3068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510974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5109747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7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1764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1764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1764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113068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510974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7.539051 2000 | 등록번호 15109747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7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에게 북한-중국관계는 아직까지 베일에 싸인 역사로 남아있다. 이는 두 나라 사이의 외교관계가 기본적으로 비공개로 이루어지는 데 따른 자료부족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한-중국관계를 항일(抗日)시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한 권에 담은 이 책은 연구자들에게나 일반 독자들에게 양국관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항일시기부터 탈냉전기에 이르는 북중관계의 전 역사 범위를 다루고 있는데, 크게 국공내전시기, 한국전쟁시기, 냉전시기, 탈냉전시기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국공내전시기의 북중관계는 우리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사실 이 시기는 한국전쟁과 함께 양국관계를 '혈맹'으로 만든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국공내전시기 조선족부대의 중공쪽으로의 참전 배경과 규모 및 활동 내용, 기여도, 국공내전이 끝날 즈음 조선족부대의 북한으로의 입북 과정과 규모, 조선족부대의 북한인민군 내에서의 위상 등 그간 남한 사회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1962년 10월 주은래 총리가 평양을 비밀리에 방문해 김일성과 국경조약을 체결한 과정과 국경확정 과정 등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국경조약에서는 남한사회의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중국이 북한에 상당히 양보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으며, 양보의 구체적 내용을 지도를 곁들여 설명하였다.
부록으로 실은 양국간 주요 조약, 협정, 의정서 일람표와 양국간 주요 조약, 협정, 의정서의 일부는 중국어 원문을 입수해 번역한 것이라 그 가치가 더욱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북한중국관계의 태반 : 항일시기 = 17 제1절 항일연군의 활동과 중공 = 18 제2절 조선의용군과 중공 = 24 제3절 해방과 중·소우호동맹조약, 그리고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27 1. 중·소우호동맹조약의 체결 = 28 2.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31 1) 항일유격대 본대의 대일전 참전 불발과 귀국 = 32 2) 조선의 용군의 동북진군과 국공내전 참전 = 39 제2장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국관계 = 73 제1절 만주 거주 조선족의 중공지원 = 45 1. 국공내전 시기 조선족의 중공지원과 그 배경 = 45 2. 국공내전 시기 중국 내 조선족의 국적문제 = 49 제2절 국공내전 시기 북한의 중공지원 = 52 1.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공 간 접촉 통로 = 53 2. 북한의 중공지원 내용 = 59 1) 중공 후방기지로 북부지역 제공 = 59 2) 전략적 교통로 제공 = 61 3) 전략물자 등 기타 지원 = 65 4) 북한의 병력지원 문제 : 쟁점과 실제 = 69 제3절 국공내전의 전개와 조선족 부대의 역할 = 78 1. 만주에서의 국공내전 전개과정 = 78 1) 소련군의 만주점령과 중·소조약의 영향 = 78 2) 국공내전의 발발과 국민당 군대의 우세 = 84 3) 공산군의 전세역전과 내전 승리 = 87 2. 조선족 부대의 형성과 확장 = 90 3. 조선족 부대의 성격변화 : 중공으로의 완전한 예속 = 101 제4절 조선족 부대의 북한 귀국(입북) = 106 1. 조선족 부대의 입북과정 = 106 2 조선족 부대의 북한군에서의 위상 = 113 3 국가건설에 참여하기 위한 내전 중 입북 = 116 제5절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국관계가 역사에 미친 영향 = 120 제3장 한국전쟁과 북한-중국관계 = 173 1절 중공군 참전의 길목 = 123 1. 남침의 결정과정 : 김일성·스탈린·모택동의 사전 합의 = 123 2. 인민군의 남진과 중국의 출병 준비 = 128 2절 중공군 참전 결정과정(1) : 출병을 둘러싼 진통 = 134 1. 정치국 상무회의 : 출병원칙 결정과 대소협상 = 134 2. 정치국 확대회의 : 출병논쟁과 모택동의 설득 = 140 3. 중국인민지원군의 조성 = 143 제3절 중공군 참전과정(2) : 소련의 공근 조기지원 불가와 출병강행 = 146 1 스탈린-주은래 회담 : 공군조기지원 불가의 확인 = 146 2. 정치국 긴급회의 : 출병강행 결정 = 150 3. 10월 19일 출병결정 = 156 4. 중공군 참전의 전략적 배정 = 159 제4절 중공군 참전과 전쟁양상의 전변 = 161 1. 중공군 출병과 1, 2차 전역 = 161 1) 도강과 1차 전역 = 161 2) 2차 전역의 승리와 미공군에 대한 공포 확산 = 164 2. 중·조연합사령부의 구성과 3, 4차 전역 = 169 1) 중 ·조연합사의 구성 : 통일적 지휘체계의 확립 = 169 2) 3,4차 전역 = 171 제5절 전선교착과 휴전협상 = 175 1. 전선교착과 중·소 내홍(內訌)의 발생 = 175 2. 휴전협상의 전재와 종결 = 180 1)휴전협상의 개시와 전개과정 = 180 2) 휴전회담의 타결 = 188 제6절 중공군 참전의 영향 = 191 제4장 전후 북한중국관계의 전개와 중·소분쟁 = 201 제1절 전후 중국의 경제지원과 중공군 철수 = 201 제2절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개입 = 206 1. 전후 외세개입 공간의 확장과 박일우 숙청 = 206 2.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개입 = 209 제3절 중·소분쟁 북한-중국관계의 밀착 = 215 1. 중·소분쟁의 내연과 북한의 입장 = 215 2. 북·중 밀월시대의 개막과 북한-소련관계의 악화 = 222 3 북·중 국경조약의 체결 = 277 1) 관련 문헌들 = 227 2) 북·중 국경조약 및 북·중 국경의정서 체결과정 = 231 제5장 중국의 대내외적 정치변동과 북한-중국관계의 굴절 = 237 제1절 소련 신지도부의 등장과 북·중관계의 냉각 = 237 제2절 문화혁명의 발생과 북·중갈등의 격화 = 242 제3절 역사적 아이러니 : 주체사상의 '모택동사상 따라 배우기' = 245 제4절 문화혁명의 종결과 양국관계의 회복 = 249 1. 갈등의 봉합과 유대관계의 복원 = 249 2. 국제정세 변화와 북·중 공외교 = 253 3. 등소평 시대의 개막과 양국관계의 활성화 = 261 제6장 탈냉전기 북한중국관계 : 전략적 협력관계로의 이행 = 265 제1절 탈냉전 시대의 개막과 양국관계의 악화 = 266 1. 탈냉전 초기 : 우호관계유지 = 266 2. 한·중수교와 양국관계의 냉각 = 271 제2절 양국관계의 회복과 전략적 협력관계로의 이행 = 276 1. 양국관계의 회복과 새로운 관계의 정립 = 276 2. 전략적 협력관계의 실체 = 282 제3절 탈냉전기 북·중관계 변화의 배경 = 288 1. 대외환경의 변화 = 288 2. 국가발전 전략상의 차이 발생 = 291 제4절 북·중관계의 미래와 동북아 평화 = 299 1. 북한의 중국 발전노선 따라가기 : 가능성과 전망 = 299 2. 동북아 평화와 북·중관계의 재정립 방향 = 303 부록 = 307 1. 김일성·길정일과 역대 중국지도부와의 회담 내역 = 309 2.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일람표 = 313 3.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 314 참고 문헌 = 345 찾아보기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