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일제하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
조선공산당 제1차 당대회 연구 = 17
1. 머리말 = 17
2. 오르그뷰로와 화요파의 성립 = 18
1) 코르뷰로의 해체와 오르그뷰로의 성립 = 18
2) 코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25
3.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26
4. '화요파' 조선공산당의 결성 = 32
1) 조선공산당 제1차 당대회 = 32
2) 제1차 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 「1925년 9월 15일 결정」 = 43
5. 맺음말 = 49
1920년대 경북지역 사회주의 운동 = 52
1. 머리말 = 52
2. 3.1운동 전후 사회주의세력의 태동 = 54
3.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세력의 형성과 '계급성'부각(1920~23) = 59
1) 중앙과 지역에서의 조직 결성 = 59
2) 대중운동 단체의 조직과 활동 = 63
(1) 노동운동 = 63
(2) 청년운동 = 67
4. 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세력의 확산과 '분파'대립(1924~26) = 69
1) 조선공산당의 창당과 '분파' 대립 = 69
2) 대중운동 단체의 성격 변화와 영향력 확대 = 84
(1) 노동운동 = 84
(2) 청년운동 = 90
5. 1920년대 후반 사회주의세력의 '통합'과 민족운동강화(1927~29) = 92
1) ML파의 형성과 조공경북위원회의 결성 = 92
2) 민족운동 강화와 대중운동 = 97
(1) 신간회 운동 = 97
(2) 노동운동 = 103
(3) 청년·학생운동 = 105
6. 맺음말 = 108
'꼼뮤니스트 그룹'의 당재건운동 = 110
1. 머리말 = 110
2. '조선공산당조직준비위원회'의 당재건운동 = 113
1) '조선공산당조직준비위원회' 결성 = 113
2) '조선공산당조직준비위원회' 사업계획과 활동 = 115
3. '꼼뮤니스트 그룹'의 노선과 당재건방침 = 123
1) '꼼뮤니스트 그룹'의 당재건운동 인식과 코민테른 = 123
2) '꼼뮤니스트 그룹'의 임무와 노선 = 127
3) '꼼뮤니스트 그룹'의 당재건방침 = 131
4. '꼼뮤니스트 그룹'의 활동 = 136
1) 『꼼뮤니스트』 발간과 배포 = 136
2) '꼼뮤니스트 그룹'의 국내 활동 = 140
5. 맺음말 = 143
제2부 망명지의 사회주의자들
이르쿠츠크파 공산주의 그룹의 기원 = 149
1. 머리말 = 149
2. 전로 한인공산당 중앙총회 회의록 자료 = 151
3. 중앙총회를 이끈 사람들 = 155
1) 중앙위원 = 155
2) 산하부서와 임직원 = 162
4. 현지 러시아공산당과의 관계 = 167
5. 한국 혁명 속으로 = 171
6. 맺음말 = 177
조선공산당 일본총국과 김천해 = 179
1. 머리말 = 179
2. 김천해 연보 = 180
3.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의 조직과 활동 = 182
1) 조직 = 182
(1) 조선공산당 일본부의 조직 = 182
(2)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의 조직 = 184
(3)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의 조직 = 188
2) 활동 = 192
(1) 조직 내의 활동 = 192
(2) 플랙션을 통한 대중단체에서의 활동 = 194
4. 조선공산당 일본총국과 김천해 = 200
1)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에서의 활동 = 200
2)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에서의 활동 = 201
3) 옥내 투쟁과 공판 투쟁 = 202
5. 맺음말 = 204
동북항일연군과 허형식 = 206
1. 머리말 = 206
2. 가계와 성장배경 = 210
3. 중국공산당 입당과 하얼빈 일본영사관 습격참가 = 215
4. 항일유격대 및 동북인민혁명군에서의 항일무장투쟁 = 223
5. 동북항일연군 및 중공당 북만성위원회에서 활약 = 235
1) 동북항일연군 및 북만성위원회에서의 분투 = 235
2) 허형식의 최후와 그에 대한 평가 = 246
6. 맺음말 = 255
제3부 남북 분단과 사회주의
미군정기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정치·경제적 지향 = 263
1. 머리말 = 263
2. 전평의 정치적 지향 = 265
1) 인민정권 수립 지향의 배경 = 265
2) 인민정권 수립 지향 = 270
3. 전평의 생산수단에 대한 인민공동소유화 지향 = 276
1) 인민공동소유화 지향의 배경 = 276
2) 인민공동소유화 지향 = 281
4. 전평의 사업장에 대한 인민공동소유화 지향 = 286
1) 노동자의 독점적 소유권 행사의 전말 = 286
2) 사업장에 대한 인민공동소유화 지향 = 291
5. 맺음말 = 297
여순사건 당시의 민간인 학살 = 300
1. 머리말 = 300
2. 민간인 협력자 색출과정과 학살 = 303
3. 반이승만세력에 대한 처단 : 황두연·박찬길·송욱의 경우 = 317
1) 황두연 = 317
2) 박찬길 = 324
3) 송욱 = 331
4. 학생의 봉기 참가문제 = 336
5. 민중의 인명·재산피해와 고등군법회의 = 349
6. 맺음말 = 362
한국전쟁 직전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성격과 통일정책 = 365
1. 머리말 = 365
2. 민족통일전선의 확대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 369
1)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결성 과정과 참여세력 = 369
2)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강령과 정세인식 = 379
(1) 강령 = 379
(2) 정세인식 = 382
3.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활동과 통일정책 = 387
1)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조직과 활동 = 387
2)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통일정책과 통일운동 = 397
(1) 1949년 6월 방안(1차안) = 397
(2) 1950년 6월 방안(2차안) = 409
4. 맺음말 = 423
참고문헌 = 427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