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6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691551 | |
005 | 20100806083214 | |
007 | ta | |
008 | 010119s2000 ulk 000a kor | |
020 | ▼a 8970132155 ▼g 04110 : ▼c \3900 | |
020 | 1 | ▼a 8970131450(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75620 ▼f 개가 ▼l 111175621 ▼f 개가 ▼l 111175622 ▼f 개가 |
082 | 0 4 | ▼a 303.483 ▼2 21 |
090 | ▼a 303.483 ▼b 2000d | |
100 | 1 | ▼a 정기도 |
245 | 1 0 | ▼a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 ▼d 정기도 지음. |
260 | ▼a 서울 : ▼b 책세상 , ▼c 2000. | |
300 | ▼a 175 p. ; ▼c 21 cm. | |
490 | 0 0 | ▼a 책세상문고.우리시대 ; ▼v 019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 2000d | Accession No. 1111756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 2000d | Accession No. 1111756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저자가 여명숙씨(이화여대 철학박사, 미 스탠포드대 박사후과정)의 99년 논문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존재론과 그 심리철학적 함축'과 '사이버문화의 형이상학적 기초'의 상당부분을 도용·표절한 것으로 밝혀져 절판되었습니다.
인터넷과 컴퓨터 게임 등의 발달로 인해 현실세계와는 또다른 가상세계라는 공간이 우리에게 주어졌다. 현실의 주체와 분리되어 존재하는 사이버 세계의 주체가 존재하며,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로부터 우리와 세계의 정체성 문제가 대두된다. 즉 우리는 지금 현실세계에 살고 있는가, 혹시 현실세계라고 믿고 있는 이 세계가 누군가, 무엇인가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세계는 아닌가. 육체를 가지고 있는 우리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아바타(가상인간)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저자는 가상세계에 대한 발달로 야기되는 정체성과 주체성 문제를 탐구한다.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구별하는 기준이 사실상 모호하다는 것을 괴델의 정리를 이용하여 정리하고자하였다. 이러한 모호성 속에서 근대적 주체는 붕괴하며 정체성은 분열되고 확장된다.
이러한 과정을 근대적 주체 생산에 관한 이론과 이러한 근대적 주체의 해체에 대한 최근의 철학적 논의(보드리야르, 라깡, 푸코 등)를 빌어 설명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주체성의 형성은 유연한 자아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도 있고 혹은 혼란을 야기하거나 누군가에 의해서 악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저자는 경계의 모호함은 한계와 구분이라는 긴장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기회의 근거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여전히 가능성의 문제가 열려있는 것이라면 이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라는 것이 저자의 제안이며, 이 책은 그러한 성찰의 일부라 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말 = 7 제1장 문제 제기 1. 상상의 현실화와 불안감 = 19 2. 중요한 두 가지 문제 = 24 제2장 가상세계와 가상인간 1. 사이버스페이스와 가상세계 = 31 (1) 사이버스페이스 = 31 (2) 가상 현실 또는 가상세계 = 36 2. 가상세계의 특성 = 39 (1) 가상현실 구현 기술 = 39 (2) 〈스타트렉〉현실화 = 41 (3) 가상세계의 특성 = 44 3. 가상인간의 등장과 의미 = 48 (1) 아비타의 등장 = 48 (2) 육체성의 종말 = 50 (3) 가상 강간 사건 = 54 제3장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구분 가능성 1. 데카르트의 꿈 논증 = 63 2. 세가지 이야기와 문제의 해결 = 67 (1) 세가지 이야기 = 67 (2) 크립키 논변의 원용 = 69 (3) 통 속의 뇌 논변 = 73 (4) 세계 간의 접근 가능성 = 76 3. 괴델 정리의 함축 = 79 4. 경계의 모호함과 주체의 불안 = 85 제4장 정체성의 확인과 주체의 붕괴 1. 정체성의 문제 = 89 2. 정체성을 위한 기준 = 93 (1) 자아의 인격 = 93 (2) 사회적 정체성 = 96 3. 다중 정체성―정체성의 분열과 확장 = 100 4. 주체의 해체와 재구성 = 104 (1) 주체성의 문제 = 104 (2) 근대적 주체의 붕괴 = 108 (3) 주체의 해체와 재구성 = 111 (4) 종속적 주체의 재생산 = 114 5. 남아 있는 문제 = 118 결론 = 123 보론―프로그램 이론을 이용한 논리적 증명 1. 프로그램 이론과 문제 제기 = 132 2. 반프로그램 이론 = 134 3. 반프로그램 이론에 대한 반론과 응답 = 137 4. 룁의 정리와 프로그램 이론 옹호 증명 = 143 (1) 반프로그램 이론 논증 = 144 (2) 룁의 정리 = 145 (3) 프로그램 이론의 반론 = 146 주 = 150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63 관련 영화와 인터넷 사이트 =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