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광고의 창의성(Creativity) 향상에 관한 연구 : 광고인, 제작환경, 소비자 효과의 통합적 접근

한국광고의 창의성(Creativity) 향상에 관한 연구 : 광고인, 제작환경, 소비자 효과의 통합적 접근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유창조
Corporate Author
한국광고학회, 편
Title Statement
한국광고의 창의성(Creativity) 향상에 관한 연구 : 광고인, 제작환경, 소비자 효과의 통합적 접근 / 유창조 ...[등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광고학회 ,   2000.  
Physical Medium
101 p. : 삽도 ; 26 cm.
General Note
부록 : 광고의 창의성에 관한 조사 설문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91-92
000 00713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91467
005 20100806083054
007 ta
008 010118s2000 ulka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74389 ▼f 개가
082 0 4 ▼a 659.1 ▼2 21
090 ▼a 659.1 ▼b 2000j
245 0 0 ▼a 한국광고의 창의성(Creativity) 향상에 관한 연구 : ▼b 광고인, 제작환경, 소비자 효과의 통합적 접근 / ▼d 유창조 ...[등저].
260 ▼a 서울 : ▼b 한국광고학회 , ▼c 2000.
300 ▼a 101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 : 광고의 창의성에 관한 조사 설문지
504 ▼a 참고문헌 : p.91-92
700 1 ▼a 유창조
710 ▼a 한국광고학회, ▼e▼0 AUTH(211009)54292
950 1 ▼a 가격불명 ▼b \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659.1 2000j Accession No. 1111743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7
Ⅱ. 연구의 기본적인 모형(Basic Framework of the Study) = 9
1. 창의성에 관한 이슈의 고찰 = 9
2. 연구의 틀 = 13
3. 연구과제 = 14
Ⅲ. 연구방법 = 16
Ⅳ. 창의적인 광고인과의 심층면접 결과 = 19
1. 연구방법 = 19
2. 광고의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 20
3. 창의적 광고 제작 과정 = 24
4. 직업(직무) 선택 동기와 직업 경력 = 32
5. 일하는 방식과 직무 경험 = 36
6. 성격 = 44
7. 일과 가족 및 여가 생활 = 47
8. 광고 창의성 제고 방안 = 49
9. 결론 = 56
Ⅴ. 광고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 60
1. 연구 개관 = 60
2. 광고의 창의성과 관련된 현황 평가 = 62
3. 창의성의 장애 요인 = 67
4. 광고의 창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바람직한 요인 = 71
5. 창의성 개념에 대한 인식 = 78
6. 창의적 광고에 대한 효과 인식 = 81
7. 결론 = 82
Ⅵ. 결론 = 85
1. 본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85
2. 향후연구방향 = 89
〈부록〉 광고의 창의성에 관한 조사 설문지 = 9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