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과교육론 = 1
서장 = 3
1. 중등학교 교과교육의 성격 = 7
1.1. 중등교육의 성격 = 7
1.1.1. 중등교육의 의의 = 7
1.1.2. 중등교육의 목적 및 목표 = 9
1.2. 우리나라 각급학교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 12
1.2.1. 교육과정 연구·개발의 동향 = 13
1.2.2.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철학 = 15
1.3. 각급학교 교육목표와 교과교육과정의 특성 = 19
1.3.1. 각급학교 교육목표의 특성 = 19
1.3.2. 교과교육과정의 특성 = 21
참고문헌 = 25
2. 중등학교교육과 교육과정 = 26
2.1. 학교교육에 대한 현대적 요구 = 26
2.2. 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 = 32
2.2.1. 국민학교 교육과정 = 33
2.2.2. 중학교 교육과정 = 36
2.2.3. 고등학교 교육과정 = 38
2.3. 교과목표 및 지도내용 = 43
참고문헌 = 56
3. 학교와 교과교육 = 57
3.1. 학교교육의 특질과 기능 = 57
3.1.1. 학교교육의 성립과 발달 = 57
3.1.2. 학교교육의 특질과 기능 = 60
3.2. 교과의 개념과 형성 = 62
3.2.1. 교과의 개념 = 62
3.2.2. 교과의 역사 = 63
3.3. 교과교육과 학력의 구조 = 66
3.3.1. 능력계발과 교과교육 = 66
3.3.2. 학력의 구조와 교과간의 관련 = 67
참고문헌 = 72
4. 교과내용편성의 이론 = 73
4.1. 교과의 의의와 교과편성 이론의 개요 = 73
4.1.1. 교과의 의의 = 73
4.1.2. 교과편성 이론의 개요 = 74
4.2. 교과내용 선정의 제이론 = 79
4.2.1. 경험중심과정의 시사점 = 80
4.2.2. 학문중심과정의 시사점 = 82
4.2.3. 인간주이심과정의 시사점 = 84
4.3. 교과내용 편성의 원리 = 86
4.3.1. 교과내용의 본질적 성격 = 86
4.3.2. 교과내용 편성의 지표(指標)·원리(原理) = 90
5. 교재구성의 이론 = 94
5.1. 교재의 의의 = 94
5.1.1. 교재(subject matter)의 사전적 정의와 의미 = 95
5.1.2. 교수·학습의 목표에 따른 내용, 교재, 교구의 호환성 = 96
5.2. 교재구성의 의의와 관점 = 99
5.2.1. 교재구성의 의의와 필요 = 99
5.2.2. 교재구성의 필요성 = 101
5.2.3. 교재구성의 관점 = 105
5.2.4. 교수·학습의 활동면에서의 교재구성이다 = 112
5.3. 교재배열의 원칙 = 113
참고문헌 = 115
6. 교과경영 계획과 평가 = 116
6.1.교과경영의 의의와 과제 = 116
6.1.1. 학교경영상의 교과경영의 위치 = 116
6.1.2. 교과경영의 의의와 실천적 과업 = 118
6.2. 교과경영 계획 = 121
6.2.1. 교과지도(연간)계획의 기반 = 121
6.2.2. 교과지도 연간계획 = 123
6.3. 교과경영의 평가 = 127
6.3.1. 교과경영 평가의 의의 = 127
6.3.2. 교과경영 평가의 주요 문제와 방법 = 129
참고문헌 = 131
제2부 교재연구 및 지도법 = 135
서장 = 137
1. 수업모형과 교재연구의 관점 = 140
1.1. 기본적인 수업모형 = 140
1.1.1. Glaser와 Gerlach의 수업모형 = 141
1.1.2. 교육개발원의 수업모형 = 142
1.2. 교재연구의 관점 = 145
참고문헌 = 147
2. 수업안의 작성 = 148
2.1. 수업안의 종류와 수업안 작성의 절차 = 149
2.1.1 수업안의 종류 = 149
2.1.2. 수업안작성의 절차 = 150
2.2. 단원전개안의 작성 = 152
2.2.1. 단원전개안의 일반적인 양식 = 153
2.2.2. 작성요령 = 154
참고사항 = 154
2.3. 시안의 작성 = 160
2.3.1. 시안의 일반적인 양식 = 161
2.3.2. 작성요령 = 161
참고문헌 = 166
3. 수업목표의 설정과 진술 = 167
3.1. 교과목표와 내용 = 168
3.1.1. 교과에 따른 내용관의 상이성(相異性) = 168
3.1.2. 내용과 목표 = 169
3.2. 수업목표의 의미와 기능 = 172
3.2.1. 수업목표의 의미 = 172
3.2.2. 수업목표의 기능 = 174
3.3. 수업목표 설정의 절차 = 175
3.4. 수업목표의 확정과 진술 = 179
3.4.1. 수업목표의 확정 = 179
3.4.2. 수업목표의 진술 = 181
참고문헌 = 187
4. 교재의 분석과 조직 = 188
4.1. 교재의 의의와 교과서 = 189
4.1.1. 교재의 의의 = 189
4.1.2. 교재선택의 조건 = 190
4.1.3. 교과서의 교재적 의의와 활용방법 = 193
4.2. 교재의 분석과 조직 = 198
4.2.1. 교재구성의 원리 = 198
4.2.2. 교재분석과 조직의 제유형 = 201
참고문헌 = 209
5. 지도방법의 연구 = 210
5.1. 교재, 교수매체, 교수방법의 상관성 = 211
5.1.1. 교수방법과 교수매체 = 211
5.1.2. 교재와 교수매체 = 211
5.2. 교수방법의 선택 = 213
5.3. 교수매체의 선택 = 214
5.3.1. 교수매체의 분류 = 215
5.3.2. 교수매체 선정의 기준 = 216
5.3.3. 교사 자작의 교수매체 = 218
참고문헌 = 220
6. 교과학습의 평가 = 221
6.1. 교과학습과 평가의 절차 = 221
6.1.1. 교과목표의 세분화와 이의 행동적 정의의 필요 = 222
6.1.2. 목표행동도달을 위한 학습장면의 구성과 지도 = 222
6.1.3. 목표행동 도달에 적합한 평가장면의 구성과 평가도구의 제작 = 223
6.2. 단원전개와 평가의 계획 = 224
6.2.1. 단원목표의 설정 = 225
6.2.2. 학습과제의 분석 = 225
6.2.3. 출발점행동의 진단과 보충과정 = 226
6.2.4. 수업전략 = 226
6.2.5. 평가계획 = 227
6.3. 학습과정과 평가의 역할 = 227
6.3.1. 진단평가 = 228
6.3.2. 형성평가 = 229
6.3.3. 총합평가 = 230
6.4. 수업평가 = 231
참고문헌 = 235
부록 1 = 237
부록 2 =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