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현대사회와 대중매체
제1장 대중사회와 대중매체 = 13
1. 현대사회의 특징 = 13
2. 현대사회의 주제 = 16
3. 현대사회의 성격 = 19
4. 오늘의 한국인 = 21
5. 새로운 사회를 위하여 = 25
6. 대중매체에 의한 반영 = 28
제2장 대중매체의 본질 = 30
1. 미디어와 상호작용 = 30
2. 대중매체란 = 34
3. 대중매체의 개념 = 36
4. 연구의 패러다임 = 42
5. 대중매체와 사회통합 = 45
6. 대중매체의 문제점 = 46
제3장 대중매체의 기능과 효과
1. 일반적 기능 = 49
2. 문화적 기능 = 51
3. 사회적 기능 = 52
4. 정치적 기능 = 57
5. 경제적 기능 = 61
6. 대중매체의 효과 = 61
제4장 대중매체의 체계와 윤리 = 73
1. 대중매체의 체계 = 73
2. 대중매체의 윤리 = 86
3. 매체 내용의 규제와 표현의 자유 = 98
제5장 대중매체와 여론 = 105
1. 여론 = 105
2. 여론의 요소 = 111
3. 여론과 미디어 = 116
제2부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제6장 인쇄매체 = 127
1. 신문 = 127
2. 잡지 = 145
제7장 전파매체 = 151
1. 방송 = 151
2. 라디오 = 157
3. 텔레비전 = 160
4. CATV = 176
5. DBS = 182
제8장 영상매체 = 184
1. 영화 = 184
2. 비디오 = 192
3. 음반 = 194
제3부 대중매체와 사회매체
제9장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199
1. 대중문화 = 199
2. 대중매체에 의한 대중문화의 형성 = 200
3.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 202
4.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 203
5. 한국의 대중문화의 성격 = 205
6. 한국대중문화의 발전 = 206
7. 한국대중문화의 대안 = 213
8. 비판이론이 주장하는 문화산업적 특징 = 216
9. 대중매체에 의한 대중문화의 치료 = 217
10. 디지털문화 = 220
제10장 대중매체와 광고 = 222
1. 광고란 무엇인가 = 222
2. 광고의 기능 = 233
3. 광고의 특성 = 236
4. 광고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 247
5. 현대사회와 광고, 그리고 문화 = 253
제11장 대중매체와 정치경제 = 256
1. 언론과 국가권력 = 256
2. 국가와 미디어 = 258
3. 매체와 보도태도 = 261
4. 엘리트와 대중 = 263
5. 새로운 매체와 권력간의 형태 = 266
6. 한국언론과 정치 = 270
제4부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제12장 정보화사회 = 275
1. 정보화사회의 개관 = 275
2. 정보화사회의 커뮤니케이션 = 282
3. 인터넷방송 환경 = 286
4. 정보화사회에서의 방송체계 = 295
제13장 정보화사회의 수용 = 300
1. 정보화사회의 긍정론 = 300
2. 정보화사회의 부정론 = 305
3. 정보화사회의 전망 = 309
4. 정보화사회의 전망 = 317
참고문헌 = 319
사항색인 =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