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대중매체와 사회

대중매체와 사회 (Loan 7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재호
Title Statement
대중매체와 사회 = Mass-media & society / 이재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양지 ,   2000.  
Physical Medium
330 p. : 삽도 ; 22 cm.
ISBN
898823626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319-326)과 색인수록
000 00615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90346
005 20100806081826
007 ta
008 010115s2000 ulka 001a kor
020 ▼a 8988236262 ▼g 9333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8476 ▼f 개가 ▼l 111168477 ▼f 개가 ▼l 111168478 ▼f 개가
082 0 4 ▼a 302.23 ▼2 21
090 ▼a 302.23 ▼b 2000d
100 1 ▼a 이재호
245 1 0 ▼a 대중매체와 사회 = ▼x Mass-media & society / ▼d 이재호 지음.
260 ▼a 서울 : ▼b 양지 , ▼c 2000.
300 ▼a 330 p. : ▼b 삽도 ; ▼c 22 cm.
504 ▼a 참고문헌(p.319-326)과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 2000d Accession No. 1111684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 2000d Accession No. 1111684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 2000d Accession No. 1111684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재호(지은이)

<한국사의 비정>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현대사회와 대중매체
 제1장 대중사회와 대중매체 = 13
  1. 현대사회의 특징 = 13
  2. 현대사회의 주제 = 16
  3. 현대사회의 성격 = 19
  4. 오늘의 한국인 = 21
  5. 새로운 사회를 위하여 = 25
  6. 대중매체에 의한 반영 = 28
 제2장 대중매체의 본질 = 30
  1. 미디어와 상호작용 = 30
  2. 대중매체란 = 34
  3. 대중매체의 개념 = 36
  4. 연구의 패러다임 = 42
  5. 대중매체와 사회통합 = 45
  6. 대중매체의 문제점 = 46
 제3장 대중매체의 기능과 효과
  1. 일반적 기능 = 49
  2. 문화적 기능 = 51
  3. 사회적 기능 = 52
  4. 정치적 기능 = 57
  5. 경제적 기능 = 61
  6. 대중매체의 효과 = 61
 제4장 대중매체의 체계와 윤리 = 73
  1. 대중매체의 체계 = 73
  2. 대중매체의 윤리 = 86
  3. 매체 내용의 규제와 표현의 자유 = 98
 제5장 대중매체와 여론 = 105
  1. 여론 = 105
  2. 여론의 요소 = 111
  3. 여론과 미디어 = 116
제2부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제6장 인쇄매체 = 127
  1. 신문 = 127
  2. 잡지 = 145
 제7장 전파매체 = 151
  1. 방송 = 151
  2. 라디오 = 157
  3. 텔레비전 = 160
  4. CATV = 176
  5. DBS = 182
 제8장 영상매체 = 184
  1. 영화 = 184
  2. 비디오 = 192
  3. 음반 = 194
제3부 대중매체와 사회매체
 제9장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199
  1. 대중문화 = 199
  2. 대중매체에 의한 대중문화의 형성 = 200
  3.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 202
  4.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 203
  5. 한국의 대중문화의 성격 = 205
  6. 한국대중문화의 발전 = 206
  7. 한국대중문화의 대안 = 213
  8. 비판이론이 주장하는 문화산업적 특징 = 216
  9. 대중매체에 의한 대중문화의 치료 = 217
  10. 디지털문화 = 220
 제10장 대중매체와 광고 = 222
  1. 광고란 무엇인가 = 222
  2. 광고의 기능 = 233
  3. 광고의 특성 = 236
  4. 광고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 247
  5. 현대사회와 광고, 그리고 문화 = 253
 제11장 대중매체와 정치경제 = 256
  1. 언론과 국가권력 = 256
  2. 국가와 미디어 = 258
  3. 매체와 보도태도 = 261
  4. 엘리트와 대중 = 263
  5. 새로운 매체와 권력간의 형태 = 266
  6. 한국언론과 정치 = 270
제4부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제12장 정보화사회 = 275
  1. 정보화사회의 개관 = 275
  2. 정보화사회의 커뮤니케이션 = 282
  3. 인터넷방송 환경 = 286
  4. 정보화사회에서의 방송체계 = 295
 제13장 정보화사회의 수용 = 300
  1. 정보화사회의 긍정론 = 300
  2. 정보화사회의 부정론 = 305
  3. 정보화사회의 전망 = 309
  4. 정보화사회의 전망 = 317
참고문헌 = 319
사항색인 = 32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
Bail, Christopher (2023)
Bernstein, William J (2023)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Shifman, Limo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