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과교육의 학문적 기초
제1장 교육학의 성립과 교과교육 = 13
1. 교육이론의 성립과 교과론의 전개 = 13
2. 교과교육과 인간교육 = 21
3. 교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25
제2장 교과교육의 학문적 이해 = 29
1. 교과의 의미 = 29
2. 교과교육학의 개념 = 34
3. 교과교육학의 성격 = 39
4. 교과와 지식의 구조 = 41
5. 교과의 분류 = 45
6. 교과의 내용과 형식 = 48
7. 교과교육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 = 52
8. 교육학과 교과교육학의 관계 = 59
제3장 교과교육학의 구성 체계 = 63
1. 교과교육 과정의 구성 요인 = 63
1) 교과 목표론 = 64
2) 교과의 내용구조 = 65
3) 교과교재론 = 69
4) 교과교수론 = 70
5) 교과평가론 = 71
2. 교과교육 체제와 교과교육학 = 72
제4장 교과의 현대화 및 구조화 = 77
1. 교과내용의 현대화 = 77
2. 교과의 구조화 = 78
3. 교과내용의 선정과 조직 = 82
1) 교과내용 선정의 기준 = 82
2) 교과내용 조직의 원리 = 84
제5장 지적 과정 및 성격 형성으로서의 교과교육 = 89
1. 지적 과정으로서의 교과교육 = 89
1) 언어, 수의 학력과 인지발달 = 89
2) 과학적 인지의 발달과 교과교육 = 92
2. 성격 형성으로서의 교과지도 = 96
1) 성격의 이해 = 96
2) 성격소외와 교육 = 98
3) 성격의 발달과 수업진단 = 102
제6장 교과교육의 발전과 교육정책 = 107
1. 교과교육 발전의 개념 = 108
2. 교과교육 발전에서의 교육정책의 중요성 = 110
3. 교과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정책 대안 = 113
1) 교과교육 중심적 교육조직 및 조직의 운영 = 113
2) 교과교육의 전문성을 중시하는 교원의 인사 및 승진 제도화 = 116
3) 교과교육 연구의 강화 = 119
제7장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상 = 123
1. 교과서의 기능 = 125
1) 교수-학습과정의 선도기능 = 125
2) 세계 인식의 안내 기능 = 127
2.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 130
3.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상 = 133
1)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 135
2) 수준별 차이를 반영하는 교과서 = 137
3)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과서 = 138
4) 학습내용과 방법 및 평가를 연결시키는 교과서 = 140
제2부 교과교육의 실제
제1장 교과교육의 지도 = 145
제2장 교과지도 계획 = 149
1. 교과지도 선행계획 = 149
2. 교과지도 본 계획 = 151
제3장 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 157
1. 학습목표의 설정 = 157
1) 블룸의 지적영역 일반목표 = 158
2) 일반목표와 세부목표 = 160
3) 학습목표의 분석 = 160
4)학습목표의 진술 = 162
2. 학습내용의 조직 = 162
1) 학습내용의 선정 = 163
2) 학습내용의 분석 = 163
3) 학습내용 분석의 세부 요소 = 165
4) 학습내용 구조도의 작성 = 167
3. 출발점 행동의 진단 및 처치 = 170
1) 출발점 행동의 진단요소 = 171
2) 진단의 실시 = 172
3) 진단결과의 분석 = 174
4) 진단결과의 처치 = 175
4. 학습방법의 구안 = 177
1) 학습변인 고찰 = 178
2) 학습지도 방법 결정 = 182
5. 학습활동의 전개 = 184
1) 교수활동과 학습활동 = 184
2) 학습활동 전개의 실제 = 185
3) 학습활동 전개의 유의사항 = 186
제4장 학습지도의 실천사례 = 189
1. 능력별 반 편성지도 = 189
2. 자율학습지도 = 192
1) 자율학습지도 = 192
2) 자율학습의 시간 및 과제 = 194
3) 자율학습의 실천단계와 점검 = 195
4) 자율학습의 유의사항 = 197
3. 학습부진 학생지도 = 198
1) 학습부진 학생지도 = 198
2) 학습부진 학생의 발생 요인 = 199
3) 학습부진 학생의 예방 = 201
4) 학습분진 학생의 지도 방법 = 202
5) 학습부진 학생 지도상의 유의점 = 203
4. 분단책임 협동학습 = 204
1) 분담책임 협동학습의 개념 = 204
2) 분단책임 협동학습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05
5. 일제 방송수업 = 207
1) 일제 방송수업 = 207
2) 일제 방송수업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08
6. 학습부장 주도 일제학습 = 210
1) 학습부장 주도 일제 학습의 의미 = 210
2) 학습부장 주도 일체학습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11
7. 과제학습 지도 = 212
1) 과제학습 지도의 의미 = 212
2) 과제학습 지도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13
제5장 교과교육 학습모형의 예 = 217
1. 집단탕구 학습모형 = 217
1) 집단탐구 학습의 개념 = 217
2) 집단탐구 학습의 실천단계 = 218
3) 집단탐구 학습모형의 적용상 유의점 = 219
4) 집단탐구 학습모형의 전개형태의 예 = 220
2. 역할놀이 학습모형 = 225
1) 역할놀이 학습모형의 개념 = 225
2) 역할놀이 학습모형의 적용 조건 = 225
3) 역할놀이 학습의 단계 = 226
4) 역할놀이 학습 적용상 유의사항 = 228
5) 역할놀이 학습지도안의 예 = 229
3. 신문활용 학습모형(NIE) = 233
1) NIE의 개념 및 의의 = 233
2) NIE의 기본학습 과정 = 233
3) NIE의 사전 준비 = 234
4) NIE의 적용상 문제점 = 235
5) NIE 학습지도안의 예 = 235
4. 주체적 분단학습 = 239
1) 주체적 분단학습의 개념 = 239
2) 주체적 분단학습의 과정 = 240
3) 주체적 분단학습시 주의할 점 = 241
4) 주체적 분단학습의 예 = 241
5. 비교분석 학습모형 = 244
1) 비교분석 학습모형의 의미 = 244
2) 학습의 과정 = 245
3) 비교분석 학습의 유의점 = 245
4) 비교분석 학습지도안의 예 = 246
6. 가치 강화 학습모형 = 249
1) 가치 강화 학습모형의 의미 = 249
2) 가치 강화 학습의 과정 = 250
3) 가치 강화 학습의 유의점 = 250
4) 가치 강화 학습지도안의 예 = 251
참고문헌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