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Loan 5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헌수
Title Statement
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 김헌수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문사 ,   2000.  
Physical Medium
257 p. : 삽도 ; 23 cm.
ISBN
898251100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55-257
000 00583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89151
005 20100806081316
007 ta
008 010110s2000 ulka 000a kor
020 ▼a 8982511008 ▼g 93370 : ▼c \11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8460 ▼f 개가 ▼l 111168461 ▼f 개가 ▼l 111168462 ▼f 개가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0a
100 1 ▼a 김헌수
245 1 0 ▼a 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 ▼d 김헌수 저.
260 ▼a 서울 : ▼b 동문사 , ▼c 2000.
300 ▼a 257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255-257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0a Accession No. 11116846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0a Accession No. 1111684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5 2000a Accession No. 1111684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헌수(지은이)

<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교과교육의 학문적 기초
 제1장 교육학의 성립과 교과교육 = 13
  1. 교육이론의 성립과 교과론의 전개 = 13
  2. 교과교육과 인간교육 = 21
  3. 교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25
 제2장 교과교육의 학문적 이해 = 29
  1. 교과의 의미 = 29
  2. 교과교육학의 개념 = 34
  3. 교과교육학의 성격 = 39
  4. 교과와 지식의 구조 = 41
  5. 교과의 분류 = 45
  6. 교과의 내용과 형식 = 48
  7. 교과교육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 = 52
  8. 교육학과 교과교육학의 관계 = 59
 제3장 교과교육학의 구성 체계 = 63
  1. 교과교육 과정의 구성 요인 = 63
   1) 교과 목표론 = 64
   2) 교과의 내용구조 = 65
   3) 교과교재론 = 69
   4) 교과교수론 = 70
   5) 교과평가론 = 71
  2. 교과교육 체제와 교과교육학 = 72
 제4장 교과의 현대화 및 구조화 = 77
  1. 교과내용의 현대화 = 77
  2. 교과의 구조화 = 78
  3. 교과내용의 선정과 조직 = 82
   1) 교과내용 선정의 기준 = 82
   2) 교과내용 조직의 원리 = 84
 제5장 지적 과정 및 성격 형성으로서의 교과교육 = 89
  1. 지적 과정으로서의 교과교육 = 89
   1) 언어, 수의 학력과 인지발달 = 89
   2) 과학적 인지의 발달과 교과교육 = 92
  2. 성격 형성으로서의 교과지도 = 96
   1) 성격의 이해 = 96
   2) 성격소외와 교육 = 98
   3) 성격의 발달과 수업진단 = 102
 제6장 교과교육의 발전과 교육정책 = 107
  1. 교과교육 발전의 개념 = 108
  2. 교과교육 발전에서의 교육정책의 중요성 = 110
  3. 교과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정책 대안 = 113
   1) 교과교육 중심적 교육조직 및 조직의 운영 = 113
   2) 교과교육의 전문성을 중시하는 교원의 인사 및 승진 제도화 = 116
   3) 교과교육 연구의 강화 = 119
 제7장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상 = 123
  1. 교과서의 기능 = 125
   1) 교수-학습과정의 선도기능 = 125
   2) 세계 인식의 안내 기능 = 127
  2.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 130
  3.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상 = 133
   1)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 135
   2) 수준별 차이를 반영하는 교과서 = 137
   3)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과서 = 138
   4) 학습내용과 방법 및 평가를 연결시키는 교과서 = 140
제2부 교과교육의 실제
 제1장 교과교육의 지도 = 145
 제2장 교과지도 계획 = 149
  1. 교과지도 선행계획 = 149
  2. 교과지도 본 계획 = 151
 제3장 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 157
  1. 학습목표의 설정 = 157
   1) 블룸의 지적영역 일반목표 = 158
   2) 일반목표와 세부목표 = 160
   3) 학습목표의 분석 = 160
   4)학습목표의 진술 = 162
  2. 학습내용의 조직 = 162
   1) 학습내용의 선정 = 163
   2) 학습내용의 분석 = 163
   3) 학습내용 분석의 세부 요소 = 165
   4) 학습내용 구조도의 작성 = 167
  3. 출발점 행동의 진단 및 처치 = 170
   1) 출발점 행동의 진단요소 = 171
   2) 진단의 실시 = 172
   3) 진단결과의 분석 = 174
   4) 진단결과의 처치 = 175
  4. 학습방법의 구안 = 177
   1) 학습변인 고찰 = 178
   2) 학습지도 방법 결정 = 182
  5. 학습활동의 전개 = 184
   1) 교수활동과 학습활동 = 184
   2) 학습활동 전개의 실제 = 185
   3) 학습활동 전개의 유의사항 = 186
 제4장 학습지도의 실천사례 = 189
  1. 능력별 반 편성지도 = 189
  2. 자율학습지도 = 192
   1) 자율학습지도 = 192
   2) 자율학습의 시간 및 과제 = 194
   3) 자율학습의 실천단계와 점검 = 195
   4) 자율학습의 유의사항 = 197
  3. 학습부진 학생지도 = 198
   1) 학습부진 학생지도 = 198
   2) 학습부진 학생의 발생 요인 = 199
   3) 학습부진 학생의 예방 = 201
   4) 학습분진 학생의 지도 방법 = 202
   5) 학습부진 학생 지도상의 유의점 = 203
  4. 분단책임 협동학습 = 204
   1) 분담책임 협동학습의 개념 = 204
   2) 분단책임 협동학습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05
  5. 일제 방송수업 = 207
   1) 일제 방송수업 = 207
   2) 일제 방송수업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08
  6. 학습부장 주도 일제학습 = 210
   1) 학습부장 주도 일제 학습의 의미 = 210
   2) 학습부장 주도 일체학습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11
  7. 과제학습 지도 = 212
   1) 과제학습 지도의 의미 = 212
   2) 과제학습 지도의 방법 및 유의사항 = 213
 제5장 교과교육 학습모형의 예 = 217
  1. 집단탕구 학습모형 = 217
   1) 집단탐구 학습의 개념 = 217
   2) 집단탐구 학습의 실천단계 = 218
   3) 집단탐구 학습모형의 적용상 유의점 = 219
   4) 집단탐구 학습모형의 전개형태의 예 = 220
  2. 역할놀이 학습모형 = 225
   1) 역할놀이 학습모형의 개념 = 225
   2) 역할놀이 학습모형의 적용 조건 = 225
   3) 역할놀이 학습의 단계 = 226
   4) 역할놀이 학습 적용상 유의사항 = 228
   5) 역할놀이 학습지도안의 예 = 229
  3. 신문활용 학습모형(NIE) = 233
   1) NIE의 개념 및 의의 = 233
   2) NIE의 기본학습 과정 = 233
   3) NIE의 사전 준비 = 234
   4) NIE의 적용상 문제점 = 235
   5) NIE 학습지도안의 예 = 235
  4. 주체적 분단학습 = 239
   1) 주체적 분단학습의 개념 = 239
   2) 주체적 분단학습의 과정 = 240
   3) 주체적 분단학습시 주의할 점 = 241
   4) 주체적 분단학습의 예 = 241
  5. 비교분석 학습모형 = 244
   1) 비교분석 학습모형의 의미 = 244
   2) 학습의 과정 = 245
   3) 비교분석 학습의 유의점 = 245
   4) 비교분석 학습지도안의 예 = 246
  6. 가치 강화 학습모형 = 249
   1) 가치 강화 학습모형의 의미 = 249
   2) 가치 강화 학습의 과정 = 250
   3) 가치 강화 학습의 유의점 = 250
   4) 가치 강화 학습지도안의 예 = 251
참고문헌 = 25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