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들어가는 말 = 15
제1장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적 고찰 = 19
1.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20
가. 학교기관 평가에 관한 관심 증대 = 22
나. 교육프로그램평가의 활용도 증대 = 22
다. 교수 - 학습 과정중의 평가 중시 = 23
라. 교사 중심 평가의 비중 증대 = 24
마. 수행과제 중심의 평가로의 전환 = 24
바. 측정 수준에서 평가 수준으로 전환 = 24
2. 교육과정 평가의 흐름 = 26
3. 교육과정 평가 정립의 배경 요인 = 30
가. 평가와 과학, 가치, 국가적 관여 관계 = 30
나. 평가와 효율성 숭배의식 관계 = 32
다. 평가와 교육과정 설계 관계 = 32
라. 다양한 사회적 운동 = 32
제2장 교육과정 평가의 근거 및 명분 = 35
1. 교육과정 평가의 의의 = 36
가. 교육과정 평가의 필요성 = 36
나. 교육과정 평가의 교육자의 책무성 관계 = 37
다. 교육과정 평가의 기대 효과 및 영향 = 40
라. 교육과정 평가의 주안점 = 41
2. 교육과정 평가의 구체적인 목적 설정 = 42
가. 교육과정 자체에 관한 평가 목적 = 46
나. 교육과정 운영 및 실천에 관한 평가 목적 = 47
다. 교육과정의 성과 및 영향에 관한 평가 목적 = 50
라. 기타 교육과정과 관련된 평가 목적 = 51
제3장 교육과정 평가 논리의 탐색 = 53
1. 교육과정 평가의 정립과 관련 논리의 탐색 = 54
가. 평가와 교육과정 개선 = 54
나. 평가와 사회적 감사 = 55
다. 평가와 교육과정의 모니터링 = 55
라. 교육연구방법과 교육과정 평가 관계 = 56
마. 비교 논리와 타일러의 명분 = 56
바. 평가와 경영관리이론 = 57
사. 평가와 문학 비평 = 58
아. 평가와 재판 논리 = 58
자. 평가와 소비자 보호 = 59
2. Stake의 평가적 설득 논리 = 60
가. 책무성 중심의 설득 = 61
나. 사례연구 중심의 설득 = 61
다. 상황 - 투입 - 과정 - 산출 평가적 설득 = 62
라. 감식안전적 설득 = 62
마. 민주적적 설득 = 63
바. 불일치 활용한적 설득 = 63
사. 문화기술적적 설득 = 64
아. 실험적적 설득 = 64
자. 탈목표적적 설득 = 65
차. 조명적적 설득 = 65
카. 사법적적 설득 = 65
타. 자연적적 설득 = 66
파. 반응적적 설득 = 66
3. 교육과정 논리에 적절한 평가 논리의 이해 = 67
가. 비교 논리 = 68
나. 대조 및 기술 논리 = 68
다. 추측 및 예측 논리 = 69
라. 인과론적 추론 논리 = 69
마. 체제 논리 = 70
바. 수행 평정 논리 = 70
사. 판단 및 결정 논리 = 71
아. 감정 논리 = 71
자. 비평 논리 = 71
차. 설득 논리 = 72
카. 확인 및 점검 논리 = 72
타. 전문가 조언 논리 = 73
파. 심의 및 심사 논리 = 73
하. 재판 논리 = 74
거. 정보관리 논리 = 74
4. 평가 논리와 평가 모형 관계 = 75
제4장 교육과정 평가 전략의 탐색 = 77
1. 교육과정 평가의 기본 전략 = 78
가. 준거 중심의 평가 전략 = 79
나. 학생 중심의 평가 전략 = 82
다. 현장연구 중심의 평가 전략 = 83
라. 쟁점 중심의 평가 전략 = 85
2. 종합적인 전략의 필요성 = 86
제5장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의 구안 = 89
1. 교육과정 논리와 평가 논리와의 관계 = 90
가. 프로그램 논리의 개념과 기능 = 90
나. 프로그램 논리와 교육과정 논리에 관한 이해 = 93
다. Chen의 프로그램 논리와 평가방법 논리 관계 = 95
라. 교육과정 논리에 적합한 평가 논리의 탐구 = 99
2. 교육과정의 개념 정립 = 103
가. 교육과정의 정의 방식 = 103
나.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 및 내용 = 106
3. 교육과정 평가의 유사 개념과의 관련성 = 108
가.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평가 관계 = 108
나. 교육평가와 교육과정 평가 관계 = 110
다. 학교과정과 교육과정 평가 관계 = 112
4. 교육과정 평가 관련 변인의 탐색 = 113
가.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 113
나. 교육과정의 여러 국면 = 115
다. 교육과정 의사결정 수준 = 116
라. 교육과정 관련 자료 수집 단위 = 116
마. 평가 주관자 = 117
바.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 118
사. 평가의 역할(기능) = 119
아. 평가의 시기 = 119
5. 교육과정 평가의 역동성 = 120
6.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화 모형의 구안 = 123
가. 교육과정 평가 관련 변인의 총체적 관계 = 123
나. 교육과정 평가 목적과 그 대상 영역 및 내용 관계 = 127
다. 평가논리, 평가 모형, 평가 전략 간의 관계 = 128
라. 구체적인 평가활동의 설계와 자료 수집활동 관계 = 134
마. 판단근거 자료의 종합 및 평가적 판단과 평가결과 보고 관계 = 135
바. 평가활동의 실현 가능성, 효율성, 충실성 관계 = 137
제6장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 절차 = 140
1. 평가의 일반적 절차 모형 = 141
2.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 및 절차 = 143
가. 평가적 질문과 평가 방법간의 관계 = 144
나. 교육과정 평가의 주요 절차 = 147
다.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인 절차와 방법의 개념화 = 149
라. 평가적 질문을 통한 평가목표의 설정 = 150
마. 평가적 질문을 통한 평가준거의 설정 = 153
3. 교육과정 평가의 영역 및 준거 = 155
4. 평가지표의 설정 및 활용 = 161
가. 평가 지표의 설정 방법 = 162
나. 평가 자료 및 지표의 출처 확인 = 165
5. 근거 자료의 수집 방법(기법) = 168
가. 관련 근거 서류의 분석 = 169
나. 설문조사 = 170
다. 면담 = 171
라. 관찰 = 171
마. 자기 보고 = 172
바. 추적 조사법 = 173
사. 결정적 사건 기법 = 173
아. 관행 분석법 = 174
자. 임상적 면접법 = 175
차. 점검목록표 활용법 = 175
카. 의미변별기법 = 176
6. 수집된 자료의 처리 = 176
7. 판단 기준의 설정 및 활용 = 178
8. 종합 및 결론 ; 평가적 판단 = 183
9. 평가 결과의 보고 = 185
10. 교육과정 평가 수행의 기본 원칙 = 188
제7장 교육과정 평가 결과의 활용 = 193
1. 교육과정 평가 결과의 활용 지침 = 194
2. 학교교육과정 평가 결과의 구체적 활용 = 195
가. 평가 대상 내용 및 강조점에 따른 활용 = 196
나. 평가 관련 집단별, 수준별 활용 = 197
다. 평가 기능과 관련된 활용 = 203
라. 메타 분석법 및 메타 평가법의 적용 = 205
3.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 평가 결과의 활용 = 207
가. 교육과정 평가 중심의 학교평가 = 207
나. 교육과정 평가 관련 정책 수준에서의 활용 = 210
제8장 교육과정 평가의 과제와 전망 = 213
1. 교육과정 평가 활동의 질 관리 ; 주요 과제 = 214
가. 학교교육과 평가상의 문제점 및 과제 = 214
2. 예상되는 교육과정 평가의 문제점 및 부작용 = 218
가. 평가 관련 심리적인 면 = 218
나. 평가 시행과정 면 = 219
다. 평가자 자질 및 준비도 면 = 220
라. 평가 결과의 활용도 면 = 222
3. 교육과정 평가의 부작용 및 문제의 원인 진단 = 224
가. 평가에 관한 부정확한 인식 및 잘못된 해석 = 224
나. 부족한 평가 전문성 및 부정확한 방법론 사용 = 226
다. 평가 결과의 부적절한 활용 = 227
라. 평가 철학의 부재 및 지원체제의 미약 = 228
4. 교육과정 평가시 유의할 사항 = 231
5.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부정적 영향과 그에 대한 대처 = 232
가. 예상되는 부정적 영향 = 232
나. 대책의 강구 = 234
6. 교육과정 평가의 전망 = 236
참고문헌 = 243
찾아보기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