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폴리테이아 :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체제론

폴리테이아 :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체제론 (Loan 4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ordes, Jacqueline 나정원 , 역
Title Statement
폴리테이아 :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체제론 / 쟈클린 보르드 지음 ; 나정원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아르케 ,   2000.  
Physical Medium
738 p. ; 23 cm.
Series Statement
대우학술총서 번역 ; 462
Varied Title
Politeia : dans la pensee Grecque jusqu'a Aristote
ISBN
8988791428 8988791002(세트)
General Note
부록: 고대 그리스 역사 관련연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635-654)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Political science --Greece --History.
주제명(개인명)
Plato.   Republic.  
000 01038namccc200301 k 4500
001 000000688395
005 20100806080619
007 ta
008 010105s2000 ulk 001a kor
020 ▼a 8988791428 ▼g 94340: ▼c \35000
020 1 ▼a 8988791002(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158944 ▼f 개가 ▼l 111158945 ▼f 개가 ▼l 111158946 ▼f 개가 ▼l 131007720 ▼f 의학 ▼l 131007721 ▼f 의학
082 0 4 ▼a 321.07 ▼2 21
090 ▼a 321.07 ▼b 2000
100 1 ▼a Bordes, Jacqueline
245 1 0 ▼a 폴리테이아 : ▼b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체제론 / ▼d 쟈클린 보르드 지음 ; ▼e 나정원 옮김.
246 1 9 ▼a Politeia : dans la pensee Grecque jusqu'a Aristote
260 ▼a 서울 : ▼b 아르케 , ▼c 2000.
300 ▼a 738 p. ; ▼c 23 cm.
440 0 0 ▼a 대우학술총서 번역 ; ▼v 462
500 ▼a 부록: 고대 그리스 역사 관련연표
504 ▼a 참고문헌(p.635-654)과 색인수록
600 0 0 ▼a Plato. ▼t Republic.
650 0 ▼a Political science ▼z Greece ▼x History.
700 1 ▼a 나정원 , ▼e▼0 AUTH(211009)41409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111589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111589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111589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510897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111589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111589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111589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1.07 2000 Accession No. 1510897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쟈클린 보르드(지은이)

<폴리테이아>

나정원(옮긴이)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석사 졸업. 1987년 프랑스 파리-소르본느대(Paris IV) 철학과에서 「플라톤의 개체성과 전체성: 플라톤 정치사상의 존재론적 분석」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그리스 아테네 대학교 철학과 교환교수, 강원대학교 박물관장,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방문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있다. 그리스 정치사상, 프랑스 정치사상, 환경 정치사상, 한국 정치사상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가톨릭과 이슬람을 중심으로 한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플라톤의 정치사상』, 『한국정치와 환경정치』, 『인간과 정치사상』(공저), 『한국 가톨릭지도자들의 국가관Ⅰ,Ⅱ,Ⅲ』(공저),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폴리테이아: 고대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체제론』, 『17세기 프랑스 정치사상』, 『18세기 프랑스 정치사상』, 『폭력과 정치』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외래불교와 토착신앙 그리고 정치사상-고구려를 중심으로」(2011)외 40여 편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말 = 13

 낱말의 출현과 사용 = 21

  1) 증거들 = 21

   ① 문헌 = 23

   ② 비문 = 29

   ③ 간접적 전통 = 31

  2) 상황들 = 40

제1부: 개인적 폴리테이아

 서론: 헤로도토스와 최초 사용의 의미들 = 49

 제1장 도시국가의 권리부여: 귀화 시민과 출생 시민

  1 권리 부여의 형식과 범위 = 66

  2 개인·집단·도시국가에 대한 부여에서 잠재적 폴리테이아와 실질적 폴리테이아 = 83

  3 고전시대에 공동 폴리테이아 개념의 부재 = 102

 제2장 국적과 정치적 권리

  1 폴리테이아가 박탈된 출생 시민: 정치에 의한 배제와 형벌에 의한 배제 = 112

  2 폴리테이아의 박탈과 추방: 개인적 폴리테이아와 도시국가의 정체 = 130

  3 지위에 대한 활동의 우위를 향하여 = 141

  4 제한된 경우: 참주제에서 개인적 폴리테이아 = 150

 제3장 정치

  1 정부로부터 시민의 공공생활까지, 폴리테이아에 의해 규정된 정치적 활동의 다양한 수준 = 157

  2 4세기에 '정치를 한다'의 의미 = 163

  3 데모스테네스와 정치적 선택: 정치를 나타내는 폴리테이아의 엄격하게 인격적인 사용 = 169

제2부: 폴리테이아의 집단적 가치에 대한 접근-도시국가의 폴리테이아에 대한 논의

 서론: 헤로도토스와 폴리테이아 개념 형성의 모호성 ; 추상적 폴리테이아와 구체적 폴리테이아 = 183

 제1장 가(假)크세노폰의 『아테네 폴리테이아』

  1 도시국가와 개인 생활에 성격을 부여하는 모든 것에 대해 폴리테이아의 확대 = 200

   1) 『아테네 폴리테이아』의 내용 = 200

   2) 아테네의 성격: 해상권, 제국, 지리적 위치 = 202

   3) 시민생활: 재산에 대한 참여와 개인적 축재 = 204

  2 도덕과 정치: 자유 = 209

   1) 정치적 표현의 취약성, 도덕적 특징: '법을 잘 지키지 않음' = 209

   2) 정치적 자유와 관습적 자유 = 213

   3) 자유와 권력 의지 = 221

  3 아르케: 민주제와 폴리테이아 = 224

 제2장 크세노폰의 『스파르타 폴리테이아』

  1 도시국가와 개인생활에 성격을 부여하는 모든 것에 대한 폴리테이아의 확대 = 235

   1) 『스파르타 폴리테이아』의 내용 = 235

   2) 스파르타의 특징: 리쿠르고스와 그의 법률 = 239

   3) 일상생활에 대한 규정 = 244

  2 도덕과 정치: 스파르타의 덕목 = 249

   1) 덕과 정치적 덕목 = 249

   2) 복종 = 257

  3 아르케 = 261

   1) 지배자와 피지배자: 귀족들의 '공동체' = 261

   2) 민선장관과 국왕: 왕정과 과두제 = 270

   3) 제14장: 아르케와 법률 = 280

 제3장 폴리테이아의 단편들과 다른 저술 속의 폴리테이아

  1 폴리테이아의 단편들 = 290

  2 다른 저술 속의 폴리테이아 = 295

   1) 장례 추도사들 = 295

   2) 투키디데스에 의한 페리클레스의 장례 추도사 = 300

   3) 이소크라테스의 『아레오파구스』 = 307

제3부: 폴리테이아와 아르케-다양한 폴리테이아

 제1장 주권자의 범위에 대한 기준

  1 아르케라는 기준의 초기 사용 모습 = 324

  2 정체들의 명칭 = 328

  3 정체의 분류 = 340

   1) 헤로도토스 = 340

   2) 플라톤: 트라시마코스 = 349

   3) 아이스키네스 = 353

   4) 이소크라테스 = 355

  결론 = 361

 제2장 군주제

  1 군주제를 포괄하는 복수 폴리테이아 = 368

  2 군주제를 지칭하는 단수 폴리테이아 = 370

  3 군주제와 관련해서 사용되지만 아르케를 지칭하지 않는 폴리테이아 = 376

  4 군주제와는 반대되는 폴리테이아 = 382

  결론 = 386

 제3장 과두제

  1 스파르타 또는 원형적인 과두제: 아르케의 이차적 역할 = 392

   1) 투키디데스 = 393

   2) 크세노폰 = 396

   3) 이소크라테스 = 398

   4) 데모스테네스 = 410

   결론 = 412

  2 아테네의 과두제: 민주제로 이어지는 과두제 = 414

   1) 400인과 30인 정체를 위한 폴리테이아의 사용: 아르케에 의한 규정 = 414

   2) 구체에서 추상으로의 이행: 아르케에 기초한 과두제·민주제의 이원론 = 422

   3) 아테네의 구체적 폴리테이아와 추상적 폴리테이아의 계승: 아르케의 변화와 폴리테이아의 변화 = 432

   4) 폴리테이아와 과두제의 동등 가치 유지: 결론 = 445

 제4장 민주제

  1 아테네와 다른 민주제 도시 국가들 = 451

  2 아르케와 이론적 평등: 한 집단이 아닌 모든 사람의 아르케 = 456

  3 아르케와 실제 현실 = 465

   1) 정부: 배제되는 압력집단 = 465

   2) 행정관 선택의 평등과 장점 = 470

  4 조상들의 폴리테이아: 두 개의 민주제와 그 기준 = 478

   1) 두 민주제의 구분 = 478

   2) 두 민주제의 기준: 정신상태와 제도 = 496

  결론 = 498

제4부: 폴리테이아와 법률

 제1장 현실정치: 아테네 민주제에서 아르케와 법률의 결합

  1 민주제 폴리테이아와 법률 = 507

   1) 정체의 이름을 동반하는 폴리테이아 = 507

   2) 법률과 폴리테이아의 결합 = 511

   3) 법원의 역할 = 516

  2 민주제 폴리테이아와 관습 = 525

   1) 폴리테이아와 관습 = 525

   2) 민주제에서 성문법과 불문법: 민주제 문화 = 530

 제2장 철학: 플라톤의 새로운 정체분류와 그 기준-이상적인 폴리테이아를 향하여

  1 플라톤의 폴리테이아와 아르케 = 539

   1) 새로운 분류와 그 외형적 모순 = 539

   2) 플라톤 폴리테이아의 다양한 가치 = 543

   3) 아르케 기준의 불충분함 = 549

  2 넓은 의미의 법률과 관련된 기준들 = 555

   1) 부유와 가난 = 556

   2) 자유와 억압 = 564

   3) 평등과 불평등 = 572

   4) 법과 무법 = 576

  3 플라톤의 폴리테이아와 법률 = 581

   1) 아르케와 법률에 대한 전통적 관계의 거부 = 581

   2) 이상: 법률 없는 폴리테이아 = 584

    (1) 철학자들의 아르케 = 584

    (2) 불필요한 법률 = 585

    (3) 지배자와 피지배자: 폴리스의 단일성 = 589

   3) 『법률』의 '두 번째 항해' = 592

    (1) 아르케의 불충분함과 위험요소들: 절대적인 법률 = 592

    (2) 화합 = 596

  결론 = 599

결론

 결론: 제도사: 아르스토텔레스 = 607

참고문헌 = 635

그리스 문헌 찾아보기 = 655

옮긴이의 말 = 707

부록: 고대 그리스 역사 관련 연표 = 711

찾아보기 = 7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