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광준
서명 / 저자사항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 이광준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학문사 ,   2000.  
형태사항
351 p. ; 23 cm.
ISBN
8946710888
서지주기
참고문헌(p.337-338)과 색인수록
000 00600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87923
005 20100806080139
007 ta
008 010104s2000 ulk 001a kor
020 ▼a 8946710888 ▼g 9318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58733 ▼f 개가 ▼l 111158734 ▼f 개가 ▼l 111158735 ▼f 개가
082 0 4 ▼a 150.195 ▼2 21
090 ▼a 150.195 ▼b 2000b
100 1 ▼a 이광준 ▼0 AUTH(211009)71991
245 1 0 ▼a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 ▼d 이광준 지음.
260 ▼a 서울 : ▼b 학문사 , ▼c 2000.
300 ▼a 351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337-338)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111587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111587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111587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51110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511100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111587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111587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111587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51110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150.195 2000b 등록번호 1511100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광준(지은이)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해체주의 철학의 기초개념 = 17
 1. 해체철학의 등장 = 17
  (1) 해체주의의 사상적 배경 = 17
  (2) 자크 데리다의 문제제기 = 24
  (3) 전통적 휴머니즘의 사멸 = 25
 2. 해체주의의 주요 개념 = 31
  (1) 해체 = 31
  (2) 백색신화 = 34
  (3) 구조주의 = 34
  (4) 로고스중심주의 = 37
  (5) 차이/차연 = 37
  (6) 목소리 = 38
  (7) 에크리튜르 = 39
  (8) 흔적 = 40
  (9) 여백 = 43
  (10) 산종 = 43
  (11) 보충 = 44
  (12) 반복 = 45
제2장 정신분석학 해체 = 49
 1.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 49
 2. 의식과 무의식, 꿈 = 51
  (1) 의식 = 51
  (2) 무의식 = 54
  (3) 꿈 = 65
 3. 동인론 = 76
  (1) 본능 = 76
  (2) 리비도 = 79
 4. 인격구조와 그 기능 = 81
  (1) 이드 = 82
  (2) 에고 = 84
  (3) 슈퍼에고 = 87
 5. 성격형성 = 90
  (1) 동일시 = 91
  (2) 전이 = 92
  (3) 성격형성의 기제 = 93
  (4) 행동역동 = 96
 6. 마음의 병 - 노이로제 = 99
  (1) 신경증의 병인 = 99
  (2) 신경증과 불안의 문제 = 102
  (3) 자유연상법 = 106
 7. 수정주의 학파의 대두 = 107
  (1) 수정주의자들의 입장 = 107
  (2) 수정주의자들의 공헌 = 111
  (3) 프로이트주의의 회고 = 113
제3장 선심리학의 입장 = 119
 Ⅰ. 선심리학의 기초 = 119
  1. 선심리학 서설 = 119
  2. 달마선의 심리학적 고찰 = 124
   (1) 벽관 = 124
   (2) 불가득의 마음 = 126
   (3) 임제문답 = 129
 Ⅱ. 자아구조의 해체 = 132
  1. 세존의 자아관 = 132
  2. 자아의 심리구조 = 138
   (1) 자아의 의미 = 138
   (2) 유식에 있어서 「식」의 의미 = 140
   (3) 8식의 구조 = 141
   (4) 8식의 연기 = 143
   (5) 연기의 진상 = 144
  3. 인식의 구조 = 147
   (1) 능소의 개념 = 147
   (2) 삼성설 : 자아, 실아, 진아와 자기의 심리구조 = 149
   (3) 사분설 : 4가지의 심리기능 = 158
   (4) 심량설 : 3가지의 인식구조 = 161
   (5) 착각 : 인식오류의 연기 = 162
  4. 자아의 해체 = 165
   (1) 자아설의 해체 = 165
   (2) 오온설의 해체 = 168
   (3) 무아설의 해체 = 170
   (4) 업아설의 해체 = 172
   (5) 해체된 자아 = 175
 Ⅲ. 선심리와 정신분석 단상 = 179
  1. 아뢰야식과 자기개념 = 179
  2. 선심리적 관점 = 182
  3. 정신분석적 관점 = 184
 Ⅳ.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아자세 콤플렉스 = 188
  1. 문제의 소재 = 188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190
   (1)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개념 = 190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유래 = 191
   (3) 인격형성 과정과 그 극복 = 194
  3. 아자세 콤플렉스 = 203
   (1) 아자세 콤플렉스의 개념 = 203
   (2) 아자세 콤플렉스의 유래 - 왕사성의 비극 = 206
    1) 제바의 시기 = 206
    2) 제바의 음모 = 209
    3) 아자세의 반역 = 214
    4) 위제희 부인의 유폐 = 216
    5) 정토세계에의 흠모 = 218
    6) 아자세 대왕의 악질 = 220
    7) 아자세대왕의 참회 = 222
    8) 세존의 설법 = 224
   (3) 내용의 해설 = 226
    1) 왕사성 비극의 진상 = 226
    2) 왕사성 비극의 현재성 = 227
    3) 위제희부인의 통찰 = 228
    4) 정토의 세계와 그 관행 = 231
  4. 청점심의 관법 - 16관법 = 236
   (Ⅰ) 정선관 = 236
    (1) 일상관 = 236
    (2) 수상관 = 236
    (3) 지상관 = 237
    (4) 보수관 = 238
    (5) 지수관 = 239
    (6) 보루관 = 239
    (7) 화좌관 = 240
    (8) 상관 = 242
    (9) 전신관 = 243
    (10) 관음관 = 245
    (11) 세지관 = 246
    (12) 보관 = 248
    (13) 잡상관 = 248
   (Ⅱ) 산선관 = 249
    (14) 상배관 = 249
    (15) 중배관 = 253
    (16) 하배관 = 255
   (Ⅲ) 종결 = 258
  5. 아자세의 인격변화 과정 = 259
   (1) 아자세의 죄의 인식과정 = 259
   (2) 문수사리와의 문답 = 262
   (3) 허깨비의 비유 = 266
   (4) 부처님의 인가 = 270
  6. 16관법해설 = 272
   (1) 정통의 관법 = 272
   (2) 서방낙일 = 274
   (3) 물과 같은 관법 = 275
   (4) 정토의 세계 = 277
   (5) 조화심의 관법 = 278
   (6) 유연심의 관법 = 279
   (7) 고뇌를 제거하는 관법 = 281
   (8) 부처님의 보좌관 = 282
   (9) 심상을 채우는 관법 = 283
   (10) 심신이 섭수되는 관법 = 284
   (11) 대자비심의 관법 = 285
   (12) 관음관과 세지관의 의미 = 285
   (13) 보관의 의미 = 287
   (14) 잡상관의 의미 = 288
   (15) 정업의 길 = 288
   (16) 종결 = 290
  7. 아자세 콤플렉스의 선심리학적 해설 = 290
 Ⅴ. 참선의 선심리학적 이해 = 295
  1. 선수행의 조건 = 295
   (1) 선수행의 선결조건 = 295
   (2) 화두선의 심리 = 301
   (3) 참선중의 마경(魔境)문제 = 307
   (4) 선수행의 난이성(難易性) = 309
  2. 깨달음의 선행조건 = 315
   (1) 인과법을 믿을 것 = 315
   (2) 도덕성을 지닐 것 = 317
   (3) 굳은 신심이 있을 것 = 318
   (4) 일념 정진할 것 = 319
  3. 참선 방법 = 320
   (1) 좌선시의 유의사항 = 320
   (2) 마음공부의 시초 = 322
   (3) 화두와 의정 = 323
   (4) 조고화두와 반문문자성 = 328
   (5) 생사심과 장원심 = 329
  4. 참선의 선심리학적 의미 = 330
   (1) 참선에 있어서 응병여약론 = 330
   (2) 참선의 선 심리적 의미 = 33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