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학의 본질 = 11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13
1. 문학을 보는 눈 = 13
2. 광의의 문학과 협의의 문학 = 18
3. 예술로서의 문학 = 22
2. 문학의 기능 = 27
1. 교시적 기능 = 27
2. 쾌락적 기능 = 30
3. 종합적 기능 = 33
3. 문학의 특성 = 35
1. 문학의 언어 = 35
2. 항구성과 보편성 = 39
3. 문학의 개성 = 40
4. 문학의 요소 = 42
1. 정서 = 42
2. 상상 = 44
3. 사상 = 48
4. 구조 = 51
5. 문체 = 56
5. 문학의 장르 = 65
Ⅱ. 소설의 본질 = 71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73
2. 소설의 기원 = 79
1. 어원적 고찰 = 79
2. 소설의 발전 과정 = 82
3. 소설의 요소 = 86
1. 플롯 = 86
2. 작중 인물 = 95
3. 주제 = 100
4. 시점과 거리 = 104
5. 배경과 분위기 = 110
6. 문체와 문장 = 112
4. 소설의 분류 = 117
1. 플롯을 중심한 분류 = 117
2. 양을 중심한 분류 = 121
3. 그 밖의 분류 = 125
5. 현대소설의 위상과 특성 = 127
Ⅲ. 시의 본질 = 131
1. 시란 무엇인가 = 133
2. 시의 기본성격 = 139
1. 정서의 표출 = 139
2. 형식의 압축미 = 140
3. 이미지와 상상 = 142
4. 진실성 = 144
3. 시의 언어 = 147
1. 언어의 양면성 = 147
2. 언어의 난해성 = 154
4. 시의 운율 = 157
1. 외재율 = 158
2. 내재율 = 160
5. 시의 표현 = 162
1. 비유 = 162
2. 상징 = 167
3. 반어법 = 169
4. 역설 = 171
6. 시의 구조 = 174
7. 시의 주제 = 177
8. 시의 종류 = 181
1. 외형상의 분류 = 181
2. 내용상의 종류 = 186
9. 현대시의 경향 = 190
Ⅳ. 수필의 본질 = 195
1. 수필이란 무엇인가 = 197
1. 수필의 정의 = 197
2. 수필의 개념 = 200
3. 수필의 특징 = 203
2. 수필의 유형 = 215
1. 제재의 의한 분류 = 215
2. 내용에 의한 분류 = 215
3. 수필의 발달 = 220
1. 근대 이전의 수필 = 220
2. 근대 수필 = 223
4. 현대 수필 = 227
Ⅴ. 희곡의 본질 = 229
1. 희곡이란 무엇인가 = 231
1. 희곡의 정의 = 231
2. 희곡의 변별성 = 233
3. 희곡의 효용과 관습 = 236
4. 희곡의 특성 = 239
2. 희곡의 구성 요소 = 244
1. 인물 = 244
2. 행동 = 247
3. 대사 = 249
4. 구조 = 251
3. 희곡의 유형 = 257
1. 비극 = 257
2. 희극 = 260
3. 희비극 = 262
4. 희곡의 발달 = 264
1. 고대극 = 264
2. 중세극 = 266
3. 고전주의 연극과 낭만주의 연극 = 268
4. 근대극 = 271
5. 현대극 = 273
Ⅵ. 비평의 본질 = 277
1. 비평이란 무엇인가 = 279
2. 비평의 기능 = 284
1. 해석 = 284
2. 감상 = 286
3. 평가 = 287
3. 비평의 유형 = 289
1. 비평의 양상 = 289
2. 비평의 종류 = 291
4. 비평의 방법 = 296
1. 서지 주석적 방법 = 296
2. 역사·전기적 방법 = 297
3. 형태·구조론적 방법 = 303
4. 심리학적 방법 = 309
5. 사회 윤리적 비평 = 314
6. 신화 원형적 방법 = 318
7). 문예학적 방법 = 322
Ⅶ. 비교문학의 본질 = 327
1. 비교문학이란 무엇인가 = 329
1. 비교문학의 정의 = 329
2. 비교문학의 성립 = 331
2. 비교문학의 방법 = 335
1. 원천자·수용자·매개자 = 335
2. 비교문학의 연구 방법 = 337
3. 비교문학의 과제 = 341
1. 형식의 연구 = 342
2. 주제의 연구 = 344
3. 제재의 연구 = 346
4. 한국의 비교문학 = 348
Ⅷ. 간추린 문예사조 = 355
1. 고전주의 = 358
1. 고전주의의 특성 = 358
2. 텍스트와 전개 과정 = 362
2. 낭만주의 = 364
1. 낭만주의의 특성 = 364
2. 사조적인 전개 과정 = 367
3.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 370
1. 사실주의 = 371
2. 자연주의 = 373
3.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의 차이점 = 377
4. 상징주의 = 382
1. 상징주의의 특성 = 382
2. 상징주의 운동과 그 수용 = 386
5. 전후 문예사조 = 390
1. 실존주의 = 391
2. 앙띠 로망(누보 로망) = 393
3. 앵글리 영맨 = 395
4. 비트 제너레이션 = 397
6. 포스트모더니즘 = 401
1.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 = 403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법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