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3
서문 = 7
편집자 서문 = 11
책의 소개 = 13
제1장 국가중심과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 역사적 조망 = 23
함의점 = 36
제2장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39
1. 교육과정 = 39
2. 개발 = 43
3. 학교중심 = 48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 = 50
함의점 = 52
제3장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형태 = 55
1. 학교와 학급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선정 = 56
2. 교육과정 재구성 = 63
3. 교육과정 통합 = 67
4. 보충적 교육과정 보조 자료 = 70
5. 심화 자료 = 73
1) 교정 학습자료 = 76
2) 지역 관심 단원 = 80
3) 시사문제 = 83
4) 새로운 수업 단원 = 84
함의점 = 86
제4장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참여자 집단 = 89
1. 법규에 규정된 집단 = 91
1) 지역 행정당국 = 91
2) 지역 교육당국 = 92
3) 학교사회 = 94
2. 법규에 규정되지 않은 집단 = 99
1) 지역사회 = 100
2) 학부모 참여 = 103
3) 교육과정 결정에서 학습자 참여 = 106
3. 협력체제 = 110
1) 교육과정 개발시 대학과 협력한 두 가지 사례 = 111
함의점 = 114
제5장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프로젝트의 평가 = 117
1. 개발 및 이용에 연계된 지속적 평가 = 119
1) 사전 개발 단계 = 119
2) 개발 단계 = 120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성과물의 사용 = 124
2. 학교 수준에서 SBCD의 모니터링 = 125
3. 소비자 지향 평가 = 126
1) 체제 수준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영향의 평가 = 129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데이터 베이스를 위한 틀 = 130
함의점 = 133
제6장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논쟁 = 135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찬성 입장 = 137
1) 사회·정치적 이념 = 137
2) 교사의 역활에 대한 정의 = 137
3) 지역적 요구의 방향 = 139
4) 효과적 점검과 통제 = 140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반대 입장 = 141
1)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 능력 = 141
2) 교육과정 산출물의 질 = 142
3) 교사의 전문적 역할 정의 = 142
4) 교사 주도 변화의 특성 = 143
5) 박약한 평가근거 = 143
6) 공통 지식의 핵심 = 144
3. 전국적 수준의 시험에서 내용 편차 = 145
4. 국가수준 교육과정 체제 내의 SBCD = 147
함의점 = 151
제7장 국가 교육과정 체제와 학교 교육과정 개발= 155
부록 = 161
1. 이스라엘 교육체제에서 국가와 학교중심 교육과정 결정(A. Lewy) = 161
2. 국가중심 교육과정 개발(March,C. J) = 189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March,C. J) = 197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운영 모형(OECD의 CERI) = 207
참고문헌 = 219
찾아보기 =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