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내면서… = 3
제1부 한국의 교육문제와 대안제의 = 13
한국의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15
상호인식검사법은 교육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 = 22
제2부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 기법과 상호인식검사법 = 25
제1장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 기법(MSTQF) = 27
1. MSTQF의 개념 = 27
2. MSTQF의 환경과 조건 = 28
3.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 과정 = 36
1)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 원리 = 36
2)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 측정방법 = 39
제2장 상호인식검사법(MRTP) = 43
1. 상호인식검사법의 개념 = 43
2. 적용분야 = 44
1) 인성검사(P-MRT) = 45
2) 집단행동성향검사(B-MRT) = 46
3) 진로 및 진학적성검사(C-MRT) = 47
4) 수행·관찰 평가(E-MRT) = 48
5) 의사결정(D-MRT) = 49
3. 상호인식검사 방법 = 50
1) 상호인식검사 방법의 종류 = 50
(1) 선택법 = 50
(2) 서열법 = 50
(3) 등급법 = 51
2) 검사지와 검사요령 = 51
(1) A형 검사지 = 52
(2) B형 검사지 = 54
(3) C형 검사지 = 55
3) 검사결과의 처리방법 = 56
(1) 선택법 = 56
(2) 서열법 = 57
(3) 등급법 = 58
4. MRTP 적용사례 : 인성 및 집단행동성향 검사 = 59
1) 검사실시 요령 = 59
(1) 검사대상 = 59
(2) 검사시기 = 60
2) 검사 진행순서 = 61
3) 검사결과의 해석과 지도방향 = 63
(1) 개인별 검사결과 = 63
(2) 집단분석 결과 = 71
4) 검사결과의 활용 = 75
집단지도 = 76
학교교육 = 77
진학전형 = 77
가정지도 = 78
제3장 교육현장에서의 MRTP 응용 = 79
1. 조사영역과 문항 = 80
1) 인성특성 = 80
2) 집단행동성향 = 83
3) 의사결정 = 84
4) 수행평가 = 86
5) 진로·진학적성검사 = 86
2. 검사지 제작 = 90
3. 결과처리와 결과표 = 92
제3부 상호인식검사법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 95
1. 동기이론과 상호인식검사법의 관계 = 97
1) 호손 연구 및 메이요의 인간관 = 97
2) 골드스타인과 매슬로우의 인간관 = 98
3)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 99
4) 브룸의 기대이론 = 100
5) 형평이론 = 100
2. 집단이론과 상호인식검사법의 관계 = 102
1) 교환이론 = 103
2) 대인관계이론 = 105
3) 집단일치성이론 = 107
3. 평가이론과 상호인식검사법의 관계 = 108
4. 사회측정법과 상호인식검사법의 관계 = 110
1) 사회측정법 = 111
(1) 사회측정법의 실시와 처리 = 112
(2) 사회측정법의 유용성과 활용 = 122
(3) 사회측정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 123
(4) 사회측정법의 적용한계 = 124
2) 상호인식검사법과 사회측정법의 비교 =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