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03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685593 | |
005 | 20211021163201 | |
007 | ta | |
008 | 001226s2000 ulka 001a kor | |
020 | ▼a 8987315231 ▼g 03340 : ▼c \9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49 | 1 | ▼l 111156237 ▼f 개가 ▼l 111156238 ▼f 개가 ▼l 111156239 ▼f 개가 |
082 | 0 4 | ▼a 327 ▼2 21 |
090 | ▼a 327 ▼b 2000d | |
100 | 1 | ▼a 田中明彦, ▼d 1954- ▼0 AUTH(211009)13348 |
245 | 2 0 | ▼a (타나까 아끼히꼬의)새로운 中世 : ▼b 21세기의 세계시스템 / ▼d 田中明彦 지음 ; ▼e 이웅현 옮김. |
260 | ▼a 서울 : ▼b 지정, ▼c 2000. | |
300 | ▼a 303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World politics |
650 | 0 | ▼a International relations |
650 | 0 | ▼a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
700 | 1 | ▼a 이웅현, ▼e 옮김 ▼0 AUTH(211009)88748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111562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111562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111562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510840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510840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111562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111562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111562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510840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 2000d | Accession No. 1510840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21세게 세계시스템이 유럽 중세시대의 특징을 갖는 '새로운 중세'시대가 될 것이라는 획기적인 세계질서론을 주장하는 미래서이자 국제관계학서이다. 저자는 21세기를 이해하는데 가장 유용하고 정확한 키워드는 '상호의존의 심화'와 '글로벌리제이션의 확대'라고 주장한다.
아울러 "21세기 세계가 도대체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문제를 이 두 키워드의 프리즘을 통해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21세기 국제사회를 상징하는 표제어로 '새로운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새로운 중세>는 이미 1996년 일본경제신문사(Nihon Keizai.co)에서 발행하여 10쇄를 돌파한 일본내 인문사회과학분야 베스트셀러로 일본의 권위있는 학술상인 '산토리 학예상' 정치.경제부문 수상작(1996)으로 그 학문적 평가가 이미 검증되었고, 국제관계학계에서 21세기 세계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화제작이기도 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타나까 아끼히꼬(지은이)
1954년 사이따마현 출생. 1977년 동경 대학 교양학부 졸업. 1981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Ph.D(정치학) 취득.1990년부터 동경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조교수. 저서: <세계 시스템>(東京大學出版會, 1989) <중-일 관계 1945-1990>(東京大學出版會, 1991) <전쟁과 세계 시스템>(東京大學出版會, 1992) <안전보장: 전후 50년의 모색>(讀賣新聞社, 1997)
이웅현(옮긴이)
고려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도쿄대학교에서 러시아(소련)외교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지정학연구원 원장이다. 저서로는 『소련의 아프간 전쟁』(2001), 『중앙아시아의 문명과 반문명』(편저, 2007), 『동아시아 철도네트워크의 역사와 정치경제학 II』(편저, 2008),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의 미래』(공저, 2019)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일본인은 왜 사과를 잘 하는가?』(1991), 『평화와 전쟁』(1999), 『새로운 중세: 21세기의 세계시스템』(2000), 『러시아의 자본주의혁명』(공역, 2010)이 있다. 그 밖에 「아프가니스탄 반군의 계보」(2013), 「일본 문부과학성 교과서조사관의 계보」(2014), 「파키스탄의 격동과 파란: 동맹의 패러독스」(2015), 「1950년대 일본의 교과서 국정화 시도」(2016), 「전후 일본 보수인맥의 태동: ‘역코스’기를 중심으로」(2017) 등의 논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제1장 냉전이라 무엇이었는가? = 17 1. 미 - 소 양극대립으로서의 냉전 = 20 두 개의 초강대국 = 20 양극대립의 원리 = 22 냉전의 전장(戰場) = 26 2. 이데올로기 대립으로서의 냉전 = 33 정치적, 경제적 자유주의 = 33 맑스, 레닌주의 = 35 이데올로기 대립의 전장 = 38 제2장 포스트 냉전(Post-Cold War) = 44 1. 냉전종결의 과정 = 45 맑스, 레닌주의의 쇠퇴 = 45 소비에트 제국의 종언 = 47 2. 냉전종결의 의미 -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 54 양극이냐 다극이냐? = 55 양극체제와 다극체제, 어느 쪽에서 전쟁이 일어나기 쉬운가? = 62 이데올로기 대립은 종언되었는가 아니면 재발할 것인가? = 67 제3장 미국의 패권 = 73 1. 패권과 초강대국 = 75 「지배」인가 「리더십」인가? = 75 「패권」의 의미의 호전(好轉) = 78 패권과 초강대국의 관계 = 80 2. 패권의 기능 - 국제 공공재의 제공 = 83 자유무역의 유지, 국제통화의 안정 = 83 모든 국제공공재를 제공한다? = 85 3. 패권의 기초 - 경제적 힘인가 아니면 총체적 힘인가? = 88 경제력을 중요시하는 견해 = 88 경제력, 군사력, 문화적 영향력, 정치력 = 89 4. 미국의 패권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 91 소련은 패권국가가 아니었다 = 91 평화가 아니라 경제레짐에 기여 = 94 제4장 포스트 패권(Post-Hegemony) = 98 1. 미국 패권의 쇠퇴 = 99 경제면에서의 쇠퇴 = 99 군사면에서의 우위의 감소 = 101 소프트 파워(Soft Power)는 쇠퇴하지 않았다 = 103 2. 패권쇠퇴의 영향 = 105 자유무역은 죽지 않았다 = 106 불안정해진 국제통화체제 = 111 여러 가지 다양한 레짐의 쇠퇴와 탄생 = 113 3. 패권쇠퇴의 이론 = 117 패권쇠퇴가 패권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 117 패권쇠퇴 후에도 레짐이 유지된 이유 = 120 패권의 장기(長期)변동론 = 122 제5장 상호의존이 심화되는 세계 = 126 1. 상호의존의 지표 - 민감성과 취약성 = 127 2. 국가 간의 상호의존 = 130 군사적인 상호의존 = 130 경제적 상호의존 = 133 취약성의 경감(經減)은 곤란 = 135 3. 국가와 비(非)국가주체의 상호의존 = 141 정보, 통신기술에 의한 상호의존의 심화 = 141 거대기업과 국가의 관계 = 146 비국가주체의 확산과 국가의 취약성 증대 = 151 제6장 상호의존의 제도화 = 154 1. 상호의존의 이론 = 154 경제적 상호의존은 평화를 촉진한다? = 154 회의적인 견해 = 157 2. 상호의존의 관리 - 국제 레짐 = 164 국제연합과 집단안전보장 = 166 국제연합의 「평화유지」 기능 = 169 핵관리 레짐 = 174 다양한 경제레짐 = 177 제7장 「새로운 중세」? = 184 1. 유럽 중세의 특징 = 186 주체의 다양성 = 186 이데올로기의 보편성 = 190 2. 근대 세계시스템 = 192 근대 주권국가의 압도적 우월성 = 192 이데올로기 대립 = 194 3. 현재의 세계시스템은 「새로운 중세」인가? = 196 비국가주체의 중요도(重要度)가 증가한다 = 197 이데올로기 대립의 종언 = 200 경제적 상호의존의 면에서 중세와 다르다 = 204 제8장 세 개의 권역(圈域 Sphere) = 208 1. 세 개의 권역이란? = 209 2. 제1권역(신중세권) = 214 국제문제와 국내문제를 구별하기 어렵다 = 214 「설득력」의 중요성이 증대한다 = 217 3. 제2권역(근대권) = 218 각국의 정치, 경제사정이 불균형(unbalance)하다 = 218 고전적인 국제정치의 패턴이 지속된다 = 221 4. 제3권역(혼돈권) = 224 5. 세 개의 권역의 상호작용 = 225 제1권역과 제2권역의 관계 - 국가중심의 상호작용 = 226 제3권역과의 관계 - 국제연합 및 NGO의 역할 증대 = 232 제9장 아시아, 태평양 「새로운 중세」와 「근대」의 대결 = 235 1. 세 가지 문제군(群) = 236 영토문제 = 236 중국의 분열, 한반도의 분단 = 241 군비확장경쟁의 위험 = 246 2. 아시아, 태평양에 있어서의 「근대」 = 249 「다극화」에 영향 = 249 정치체제의 혼재, 패권교대의 가능성 = 252 3. 아시아, 태평양에서의 「새로운 중세」 = 254 경제적 상호의존과 정보화 = 254 다각적인 지역조직들 = 255 제10장 일본은 무엇을 할 것인가? = 259 1. 「새로운 중세」에 있어서의 국가의 역할 = 260 내셔널리즘의 행방 = 260 영역은 필요한가? = 263 2. 일본의 역할 - 대(對)제1권역 정책 = 265 공통의 이익을 체현(體現)하는 미 - 일 안전보장조약 = 267 서구, 오스트레일리아의 중오시 = 271 3. 일본과 제2권역의 관계 = 274 일종의 세력균형이 필요 = 274 다국간 협의를 이용한다 = 277 러시아와의 관계개선 = 280 4. 대(對)제3권역 정책 - 평화유지와 원조 = 283 무시, 격리는 불가능 = 283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에의 적극적 참가 = 285 경제원조, 인적협력 = 286 후기 = 288 인명색인 = 293 사항색인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