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ⅰ
서장 교육에 관해 철학 하는 방법 = 1
제1절 서론 = 1
제2절 교육철학의 전제적 개념 = 2
1. 교육학의 정의 = 2
2. 철학의 정의 = 5
제3절 교육의 밖에서 철학 하는 방법 = 7
1. 교육원리의 탐구 = 7
2. 교육사상의 연구 = 9
3. 교육이론의 정립 = 10
제4절 교육의 안에서 철학 하는 방법 = 11
1. 교육 언어의 의미 = 11
2. 교육적 주장의 정당화 = 12
3. 교육적 명제의 논리적 전제 = 13
4. Dewey의 교육철학에 대한 정의 = 14
제1부 전통교육의 철학적 이해
제1장 이상주의 철학과 교육 = 19
제1절 서론 = 19
제2절 이상주의 철학의 체계 = 21
1. 이상주의 철학의 세계론 = 22
2. 이상주의 철학의 진리론 = 26
3. 이상주의 철학의 가치론 = 28
제3절 이상주의 철학의 교육적 시사 = 31
1. 교육목적 = 31
2. 교육과정 = 33
3. 교육방법 = 36
제2장 Platon의 정의와 교육 = 40
제1절 Platon 철학과 교육 = 40
제2절 정의개념에 대한 논의 = 45
제3절 국가의 정의개념과 교육 = 49
1. 국가의 형성요인 = 50
2. 국가의 계층과 정의 = 51
3. 국가의 교육론 = 56
제4절 개인의 정의개념과 교육 = 61
1. 영혼의 3요소 = 61
2. 개인의 정의 = 65
3. 개인의 교육론 = 67
제5절 비판적 논의 = 72
제6절 교육헌장의 시사점 = 75
제3장 실재주의 철학과 교육 = 78
제1절 서론 = 78
제2절 실재주의 철학의 체계 = 79
1. 실재주의 철학의 세계론 = 80
2. 실재주의 철학의 진리론 = 82
3. 실재주의 철학의 가치론 = 86
제3절 실재주의 철학의 교육적 시사 = 88
1. 교육목적 = 88
2. 교육과정 = 90
3. 교육방법 = 93
제4장 Aristoteles의 중용과 교육 = 96
제1절Aristoteles 철학과 교육 = 96
제2절 도덕적인 덕의 교육적 의의 = 102
1. 중용의 의미 = 102
2. 교육목적으로서 행복 = 106
제3절 개인적인 덕과 교육 = 113
제4절 공동체의 덕과 교육 = 119
1. 정의 = 120
2. 우애 = 123
제5절 비판적 논의 = 125
제6절 교육현장의 시사점 = 127
제2부 현대교육의 철학적 이해
제5장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철학 = 133
제1절 서론 = 133
제2절 Rousseau의 교육목적 = 134
제3절 Rousseau의 교육의 과정 = 138
1. 유아기 교육의 과정 = 140
2. 아동기 교육의 과정 = 142
3. 소년기 교육의 과정 = 145
4. 청년기 교육의 과정 = 148
5. 성인기 교육의 과정 = 154
제4절 Rousseau의 교육방법 = 156
1. 자연중심 교육방법 = 157
2. 소극적 교육방법 = 160
3. 생활중심 교육방법 = 162
4. 직관중심 교육방법 = 164
5. 사회중심 교육방법 = 165
제5절 비판적 논의 = 167
제6절 교육현장의 시사점 = 171
제6장 Dewey의 실용주의 교육철학 = 175
제1절 서론 = 175
제2절 Dewey의 교육목적론 = 177
1. 교육목적의 설정 기준 = 177
2. 민주주의 사회 속의 사회적 능률 = 184
제3절 Dewey의 교육내용론 = 189
1. 교육내용의 본질 = 189
2. 교육내용의 단계 = 193
제4절 Dewey의 교육방법론 = 200
1. 교육방법의 단계 = 200
2. 교육방법적 태도 = 209
제5절 비판적 논의 = 214
1. 교육목적에 대한 비판 = 214
2.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비판 = 218
제6절 교육현장의 시사점 = 223
제7장 Neill의 자유주의 교육철학 = 228
제1절 서론 = 228
제2절 Neill의 사상 = 231
1. 세계의 현상 = 231
2. 자유사상 = 233
제3절 Neill의 교육사상 = 238
1. 교육목적 = 238
2. 교육내용 = 242
3. 교육방법 = 245
4. 교사론 = 250
제4절 비판적 논의 = 253
1. 교육사상적 공헌 = 253
2. 교육사상의 한계 = 256
제5절 교육현장의 시사점 = 259
제8장 실존주의 교육철학 = 263
제1절 서론 = 263
제2절 실존주의의 철학적 배경 = 264
1. 대중사회의 위기 = 266
2. Kierkegaard의 유신론적 실존주의 = 269
3. Sartre 무신론적 실존주의 = 271
제3절 실존주의의 교육이론 = 273
1. 교육에서의 개인 = 273
2. 전인교육 = 275
3. 인격교육 = 277
4. 교육과정 = 278
제4절 실존주의의 비판적 논의 = 279
제3부 교육이론의 철학적 이해
제9장 진보주의 교육이론 = 284
제1절 서론 = 284
제2절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배경 = 285
제3절 진보주의 교육이론 = 287
1.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강령 = 287
2. 진보주의 교육이론에 대한 Dewey의 비판 = 288
3. Kilpatrick의 프로젝트 교수방법 = 291
제4절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비판적 논의 = 295
제5절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교육현장의 시사점 = 299
제10장 항존주의 교육이론 = 305
제1절 서론 = 305
제2절 항존주의 교육이론의 배경 = 306
제3절 항존주의의 교육이론 = 307
1. Hutchins의 항존주의 교육이론 = 309
2. 종교적 항존주의 교육이론 = 313
3. 항존주의 교육이론의 부활 = 317
제4절 항존주의 교육이론의 비판적 논의 = 320
제5절 항존주의 교육이론의 교육현장의 시사점 = 325
제11장 본질주의 교육이론 = 330
제1절 서론 = 330
제2절 본질주의 교육이론의 배경 = 331
제3절 본질주의 교육이론 = 333
1. 본질주의 교육이론의 강령 = 333
2. Bestor의 지적도야 교육과정 = 335
3. 본질주의 교육이론의 부활 = 341
4. 본질주의 교육이론의 전망 = 344
제4절 본질주의 교육이론의 비판적 논의 = 346
제5절 본질주의 교육이론의 교육현장의 시사점 = 348
제12장 사회 개조주의 교육이론 = 353
제1절 서론 = 353
제2절 사회 개조주의 교육이론의 배경 = 354
제3절 사회 개조주의의 교육이론 = 357
1. Counts의 선구자적 과업 = 357
2. 학교와 문화개조 = 364
3. Brameld의 사회 개조주의 교육이론 = 366
4. 사회 개조주의 교육이론의 전망 = 368
제4절 사회 개조주의 교육이론의 비판적 논의 = 371
제5절 사회 개조주의 교육이론의 교육현장의 시사점 = 373
제4부 교육문제의 철학적 이해
제13장 권위와 교육 = 380
제1절 서론 = 380
제2절 권위의 개념 = 382
1. 권위의 의미 = 382
2. 권위와 권력 = 383
3. 권위자와 전문가 = 384
제3절 권위의 유형과 정당화 = 385
1. 전통적 권위와 합리적 권위 = 386
2. 카리스마적 권위 = 388
제4절 교육에 있어서의 권위 = 389
1. 형식적 권위와 실질적 권위 = 389
2. 교사의 권위적 역할 = 390
3. 교사의 권위주의 = 393
제5절 교육현장의 시사점 = 395
제14장 자유와 교육 = 397
제1절 서론 = 397
제2절 교육에서의 자유 = 398
제3절 교육자의 자유 = 401
제4절 학습자의 자유 = 405
제5절 교육현장의 시사점 = 409
제15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411
제1절 서론 = 411
제2절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 412
1. 포스트모더니즘의 부정적 개념 = 413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긍정적 개념 = 414
제3절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의 특성 = 417
1. 가치부하 이론 = 419
2. 상이한 개념적 틀로 형성된 지식이론 = 421
3. 진리의 다원성과 개방성 = 422
4. 인식에서 능동적인 주체성의 역할 = 423
5. 비판적 대화를 통한 협동적 노력 = 426
6. 사회 문화적 전통의 영향 = 427
제4절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철학 = 429
1. 교육목적 = 429
2. 교육내용 = 431
3. 교육방법 = 435
제5절 결론 = 439
제16장 미래학과 교육 = 442
제1절 서론 = 442
제2절 미래학의 정의 = 444
제3절 미래학의 연구 방법 = 448
제4절 교육의 미래학적 접근 = 452
제5절 정보화 사회의 교육 = 456
1. 교육목적 = 457
2. 교육내용 = 457
3. 교육방법 = 458
4. 교육조직 = 459
제6절 결론 = 460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