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머리말 = 3
머리말 = 9
1. 도입 = 13
1.1 정보 구조란 무엇인가? = 13
1.2 문법에서 정보 구조의 위치 = 19
1.3 정보 구조와 문장 형식 : 예 분석 = 27
1.3.1 세 가지 예 = 27
1.3.2 정보 구조에서 유표성의 특징 = 30
1.3.3 분석 = 34
1.3.4 요약 = 40
1.4 정보 구조와 통사 = 42
1.4.1 문법의 자율성과 유발 = 42
1.4.2 통사 구조의 기능에 대한 미명세 = 47
1.4.3 문장 유형과 문법적 구성의 개념 = 49
2. 정보 = 55
2.1 담화 세계 = 55
2.2 정보 = 64
2.3 전제와 단언 = 72
2.4 전제 구조의 화용적 수용 = 90
3. 담화 지시체의 심적 표상 = 101
3.1 담화 지시체 = 101
3.2 확인가능성 = 105
3.2.1 확인가능성과 전제 = 105
3.2.2 확인가능성과 한정성 = 107
3.2.3 담화에서 확인가능성의 정립 = 118
3.3 활성화 = 126
3.3.1 지시체의 활성화 상태 = 127
3.3.2 화용적 해석의 원리 = 137
3.4 요약과 설명 = 142
3.5 확인가능성, 활성화, 주제 - 초점 변수 = 152
4. 화용론적 관계 : 주제 = 157
4.1 주제의 정의 = 157
4.1.1 주제와 대하여성 = 157
4.1.2 주제 지시체와 주제 표현 = 170
4.2 주제와 주어 = 176
4.2.1 무표적 주제로서의 주어 = 176
4.2.2 비-주제적 주어와 단정 - 정언 구분 = 183
4.2.3 주제적 비-주어와 다중 주제의 문장 = 195
4.3 주제, 전제, 그리고 의미적 해석 = 201
4.4 주제와 지시체의 심적 표상 = 214
4.4.1 주제 관계와 활성화 상태 = 214
4.4.2 주제 용인가능성 등급 = 220
4.4.3 선호되는 주제 표현으로서 악센트가 없는 대명사어 = 229
4.4.4 주제 인상 = 234
4.4.4.1 제시적 구성 = 235
4.4.4.2 분리 구성 = 241
4.5 통사 이론에 대한 시사점 = 245
4.5.1 지시와 역할의 분리 원칙 = 246
4.5.2 PSRR과 전형적인 문장 모형 = 251
4.5.3 분리된 구성성분의 통사적 지위 = 254
4.6 주제와 화용적 수용 = 259
4.7 주제와 어순 = 264
5. 화용론적 관계 : 초점 = 273
5.1 초점의 정의 = 273
5.1.1 초점, 전제, 단언 = 273
5.1.2 초점과 문장 악센트 = 288
5.2 초점 구조와 초점 표시 = 291
5.2.1 초점 구조의 유형 = 291
5.2.2 서술어 - 초점 구조 = 297
5.2.3 논항 - 초점 구조 = 300
5.2.4 문장 - 초점 구조 = 306
5.2.5 요약 = 309
5.3 운율 악센트 : 도상성, 규칙, 당연값 = 313
5.3.1 악센트, 억양, 강세 = 313
5.3.2 도상적 유발 대 문법 규칙 = 316
5.3.3 당연값 강세화 = 325
5.4 초점과 지시체의 심적 표상 = 338
5.4.1 초점 관계와 활성화 상태 = 338
5.4.2 서술어와 논항 = 345
5.4.3 초점 관계, 활성화, 전제 = 352
5.4.3.1 완전한 전제 명제 = 353
5.4.3.2 열린 전제 명제 = 361
5.4.4 초점과 정보 질문 = 368
5.5 대조성 = 374
5.5.1 대조적 초점 = 374
5.5.2 대조적 주제 = 380
5.6 유표적 초점 구조와 무표적 초점 구조 = 387
5.6.1 서술어 초점과 논항 초점 = 388
5.6.2 문장 초점 = 401
5.6.2.1 이론적 문제 = 402
5.6.2.2 이전의 접근 = 406
5.6.2.3 운율적 도치 = 416
5.7 문장 강세화에 대한 통일된 기능적 설명 = 421
5.7.1 활성화 운율 재고찰 = 421
5.7.2 주제 악센트와 초점 악센트 : 몇 가지 예 = 425
6. 요약과 결론 = 437
참고문헌 = 445
더 읽을거리 = 464
찾아보기 = 469
영어 술어 찾아보기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