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1
제1부 특성과 개인차 변수
제2장 대인지향, 욕구 ; 선호, 그리고 자기 - 지각과 관련된 척도 = 19
1. 개인차 척도 = 20
2. 신세대 특성 척도 = 26
3. 관계의지 척도 = 28
4. 신뢰감 척도 = 30
5. 친밀감 척도 = 32
6. 일관된 행동 척도 = 34
7. 도움에 대한 태도 척도 = 36
8. 예측된 즐거움 척도 = 38
9. 권태적 경향 척도 = 40
10. 쾌락지향 일반가치의 중요도 척도 = 42
11. 심미지향 소비가치의 중요도 척도 = 44
12. 한국형 인지욕구 척도 = 46
13. 수용자 인지욕구 척도 = 49
14. 논쟁성 척도 = 51
15. 냉소주의 척도 = 53
16. 부정적인 자기 스키마 척도 = 55
제3장 소비자의 충동성이나 강박감과 관련된 척도 = 57
1. 강박구매 척도 = 58
2. 구매충동 척도 = 62
3. 충동성 척도 = 65
4. 충동구매 행동 척도 = 67
제4장 소비자의 의견선도성이나 의견추구와 관련된 척도 = 69
1. 대인영향력에 대한 민감성 척도 = 70
제5장 혁신성과 관련된 척도 = 73
1. 카리스마적 리더십 척도 = 74
제6장 소비자의 사회적 영향력과 관련된 척도 = 77
1. 소비자 동조성 척도 = 78
2. 의복동조 유형 척도 = 80
3. 의복비동조 유형 척도 = 82
4. 주관적 규범에 대한 동조성향 척도 = 84
5. 상황적 규범 척도 = 86
6.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 88
7. 자기 - 감시 척도 = 90
8. 흡연행위에 대한 태도 척도 = 93
제2부 가치
제7장 일반적 가치 = 97
1. 가치관 척도 = 98
2. 쇼핑가치 척도 = 107
3. 라이프스타일(생활유형) 척도 = 112
4. 패션 라이프스타일 유형 척도 = 123
5. 가족 적응성 척도 = 126
제8장 환경주의 및 사회적 책임 소비와 관련된 가치 = 129
1. 구매제어 전술 척도 = 130
제9장 물질주의 및 소유 ; 대상과 관련된 가치 = 133
1. 물질주의적 가치관 척도 = 134
2. PC통신의 정보적 가치 척도 = 136
3. 향수 척도 = 138
4. 노년층의 성격묘사 척도 = 140
5. 쇼핑만족 척도 = 142
6. 쇼핑 기대일치 척도 = 144
7. 쇼핑 행동의도 척도 = 147
8. 의복 행동에 대한 태도 척도 = 149
제3부 관여, 정보처리, 그리고 가격의 지각
제10장 특수한 제품군에 대한 관여 = 155
1. 환경 관여도 척도 = 156
제11장 여러 제품군에 대한 일반적인 관여 = 159
1. 관여 척도 = 160
2. 제품 관여도 척도 = 168
3. 수용자 관여 척도 = 170
4. 지속적 기저관여 척도 = 172
5. PCB GRID 척도(변형) = 175
6. 이성 ; 감정관여 척도 = 177
제12장 구매 관여 = 179
1. 구매 관여 척도 = 180
2. 구매쇼핑 관여 척도 = 183
제13장 정보처리와 관련된 척도 = 185
1. 감각추구 경향 척도 = 186
2. 대안의 평가속성 척도 = 188
3. 백화점 쇼핑각본의 등위 측정법 = 190
4. 쿠폰 사용의 비용 및 편익에 대한 지각 척도 = 193
5. 소비자 정보추구 수준 척도 = 195
6. 미래지향 척도 = 197
7. 구매 유형 척도 = 199
8. 광고매체 정보탐색 노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척도 = 202
9. 소비자 이점 척도 = 204
10. (방문전·쇼핑 후) 점포태도 척도 = 206
제4부 광고자극에 대한 반응 척도
제14장 광고정서와 광고내용에 관련된 측정치 = 211
1. 광고상품에 대한 태도 척도 = 212
2. 광고에 대한 태도 척도 = 216
3. 광고 수용 태도 척도 = 244
4. 광고문안 선호도 척도 = 246
5. 광고 표현성 척도 = 248
6. TV광고에 대한 반응 척도 = 251
7. 텔레비전 정치광고 후보자에 대한 평가 척도 = 254
8. 정치광고 태도 척도 = 256
9. 정치광고에 대한 유권자의 태도유형 척도 = 258
10. 비교광고 효과 척도 = 262
11. 국내 상품광고에 대한 태도 척도 = 264
12. 외국브랜드 상품광고에 대한 태도 척도 = 266
13. 광고에 대한 감정 반응 척도 = 268
14. 광고에 대한 감정 척도 = 273
15. 광고를 통하여 느낀 감정 척도 = 275
16. 정치광고에 대한 감성적 반응 척도 = 277
17. 광고에 대한 평가적 태도 척도 = 279
18. 정보 - 전이 광고 척도 = 281
19. 상표(브랜드)에 대한 태도(Ab) 척도 = 284
20. 구매의도 척도 = 305
21. 광고 친숙도 척도 = 315
22. 제품 친숙성 척도 = 317
23. 상표(브랜드) 친숙도 척도 = 322
24. 상표(브랜드) 충성도 척도 = 327
25. 상표(브랜드) 흥미 척도 = 329
26. 인쇄매체 반응 프로파일(VRP) = 331
27. 시청자 반응 프로파일(VRP) = 336
28. 활자체 감정반응 척도 = 340
29. 광고모델 속성 척도 = 342
30. 감정강도 측정 척도 = 346
31. 감정(정서)반응 척도 = 351
32. 인지적 반응 측정기법 = 358
33. 인지적 반응 척도 = 361
34. 상표인지 척도 = 365
35. 정치광고에 대한 인지적 반응 척도 = 367
36. 정치광고 후보자에 대한 인지적 반응 척도 = 369
37. 인지적 평가 반응 척도 = 371
38. 평가적 반응 척도 = 374
39. 제품의 평가적 특성 척도 = 378
40. 제품상징주의 척도 = 382
41. 구매 평가 척도 = 383
42. 구전정보 유용성 척도 = 385
43. 광고구전 효과 척도 = 387
44. 국내 상품에 대한 태도 척도 = 390
45. 외국브랜드 상품에 대한 태도 척도 = 392
46. PPL(영화속에서의 제품배치)에 대한 태도 척도 = 394
47. 메시지 구성요인 척도 = 396
48. 서구 ; 전통 가치 표현광고의 가치지향성 척도 = 398
49. 광고에 대한 노인들의 일반적인 태도 척도 = 400
50. 광고의 노인 묘사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 척도 = 402
51. 지각된 노인 묘사가 기업 및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척도 = 404
제15장 광고 신뢰성과 관련된 측정치 = 407
1. 정보원 지각 반응 척도 = 408
2. 인물(광고모델) 신뢰도 평가 척도 = 410
3. 제품광고 신뢰도 평가 척도 = 412
4. 공익광고 신뢰도 평가 척도 = 414
5. 경고정보에 대한 신뢰성 척도 = 416
6. 정보원의 공신력 척도 = 418
7. 구전 정보원 공신력 척도 = 422
8. 광고주의 공신력 척도 = 424
9. 정보원에 대한 태도 척도 = 426
제16장 아동과 관련된 광고 측정치 = 429
1. 아동기의 소비자경험 척도 = 430
제5부 기업의 성과, 만족과 구매 후 행동, 사회적 중재, 그리고 시장에 대한 태도
제17장 기업의 활동과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 435
1.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노력에 대한 인식 척도 = 436
2. 광고 후원 조직에 대한 태도 척도 = 438
3. 광고 반응수단 제공에 대한 태도 척도 = 440
4. 기업이미지 척도 = 442
제18장 구매 후 행동과 관련된 척도 : 소비자 불만 = 445
1. 구매 후 문제 척도 = 446
제19장 기업윤리 척도 = 449
1. 기업윤리에 대한 태도 척도 = 450
2. 윤리적 판단 척도 = 452
제6부 판매, 판매 관리, 조직의 행동, 그리고 기업간 - 기업내 문제
제20장 판매, 판매 관리, 그리고 조직의 행동에 관련된 문제 = 457
1. 불황기의 광고관리에 관한 조사 척도 = 458
제21장 기업간의 문제와 관련된 측정치 = 461
1. 아웃소싱 성공 척도 =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