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형태론 : 단어의 기술적 분석

형태론 : 단어의 기술적 분석 (Loan 5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Nida, Eugene Albert, 김진형, 역
Title Statement
형태론 : 단어의 기술적 분석 / 유진 니다 지음 ; 김진형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아카넷 ,   2000.  
Physical Medium
608 p. ; 23 cm.
Series Statement
대우학술총서. , 번역 ; 481
Varied Title
Morphology : the descriptive analysis of words
ISBN
8989103142 8989103002(세트)
General Note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569-572)과 색인수록
000 00840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683033
005 20100806070947
007 ta
008 001215s2000 ulk 001a kor
020 ▼a 8989103142 ▼g 94700 : ▼c \27000
020 1 ▼a 8989103002(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165681 ▼f 개가 ▼l 111165682 ▼f 개가 ▼l 111165683 ▼f 개가
082 0 4 ▼a 415 ▼2 21
090 ▼a 415 ▼b 2000c
100 1 ▼a Nida, Eugene Albert, ▼0 AUTH(211009)5865
245 0 0 ▼a 형태론 : ▼b 단어의 기술적 분석 / ▼d 유진 니다 지음 ; ▼e 김진형 옮김.
246 1 9 ▼a Morphology : the descriptive analysis of words
260 ▼a 서울 : ▼b 아카넷 , ▼c 2000.
300 ▼a 608 p. ; ▼c 23 cm.
490 0 0 ▼a 대우학술총서. , 번역 ; ▼v 481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569-572)과 색인수록
700 1 ▼a 김진형,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111656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111656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111656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511878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111656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111656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111656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15 2000c Accession No. 1511878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유진 니다(지은이)

<형태론>

김진형(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Ph.D.)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객원교수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저서 : 영어와 한국어의 어형성에 관한 연구(1992, 서울대학교) 역서 : 형태론(Andrew Spencer 1994, 공역, 한신문화사), 형태론(Francis Katamba 1995, 공역, 한신문화사), 형태론&lt;대우학술총서 481&gt;(Eugene Nida 2000, 아카넷), 최적성이론의 주제별 안내(John J. Mccarthy 2003, 공역, 한국문화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5
역자서문 = 9
제1장 형태론의 소개
 1.1 형태론 = 33
 1.2 기술적 분석의 원리 = 34
  A. 기술적 분석은 사람들이 말하는 것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 = 34
  B. 형태가 우선이고 용례는 부차적이다 = 36
  C. 한 언어의 어떤 부분도 기타 다른 부분들에 대한 고려 없이는 적적하게 기술될 수 없다 = 37
  D. 언어는 계속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 놓여 있다 = 37
 1.3 기술언어학과 역사/비교언어학의 관계 = 39
 1.4 기술언어학의 용어 = 40
 1.5 이 책의 차례 배열 = 41
 1.6 이 책의 언어 연습문제 = 42
제2장 형태소의 식별
 2.1 최소 단위로서의 형태소 = 45
  2.1 1 형태 비교를 통한 형태소 분리 = 46
  2.1 2 형태소의 정의 = 47
 2.2 형태소 식별에 사용된 원리 = 48
  2.2 1 원리 1 = 48
   2.2 1.1 원리 1의 의미 = 48
   2.2 1.2 원리 1의 적용 = 49
    A. 절차상의 단계 = 50
    B. 나머지 문제 = 51
    C. 분석자의 상호대조의 임시성 = 52
    D. 원리 1을 예증하는 보충문제 = 54
  2.2 2 원리 2 = 60
   2.2 2.1 원리 2의 의미 = 61
   2.2 2.2 원리 2의 적용 = 62
    A. 관련된 음들이 음성적 유사성을 보이는 경우 = 62
    B. 관련된 음들이 음성적 유사성을 보이지 못하는 경우 = 63
    C. 음소의 연쇄와 관련된 경우 = 66
    D. 원리 2를 예증하는 연습문제 = 66
    E. 원리 2와 관련된 연습문제를 위한 절차상의 단계 = 69
    F. 연습문제에 대한 해답의 작성 = 70
    G. 과정의 측면에서 기술되는 음운론적 환경의 유형 = 73
     1. 동화 = 74
     2. 이화 = 77
     3. 성조소의 동화 = 78
     4. 자음 음소의 소실 = 82
     5. 모음 음소의 소실 = 89
     6. 구개음화 = 96
    H. 원리 2를 예증하는 보충문제 = 99
  2.2 3 원리 3 = 106
   2.2 3.1 원리 3의 의미 = 107
   2.2 3.2 원리 3의 적용 = 110
    A. 상보적 분포에 의한 이형태의 결정 = 110
    B. 상보성의 근거 = 111
    C. 이형태들 사이의 음운론적 차이의 정도 = 112
    D. 기본 이형태와 비기본 이형태 = 113
    E. 제로의 유형 = 114
    F. 원리 3을 예증하는 보충문제 = 115
  2.2 4 원리 4 = 126
   2.2 4.1 원리 4의 의미 = 126
   2.2 4.2 원리 4의 적용 = 127
  2.2 5 원리 5 = 128
   A. 동음형의 정의 = 128
   B. 관련형의 정의 = 129
   C. 관련된 의미영역의 유형 = 129
   D. 분포적 차이의 유형 = 130
   E. 원리 5를 예증하는 연습문제 = 133
  2.2 6 원리 6 = 133
   A. 조건 1 = 133
   B. 조건 2 = 134
   C. 조건 3 = 135
제3장 형태소의 유형
 3.1 형태소의 내부 구조 = 139
  3.1 1 형태소를 구성하는 음소의 유형 = 139
   3.1 1.1 분절음소로 구성된 형태소 = 140
   3.1 1.2 초분절 음소로 구성된 형태소 = 140
   3.1 1.3 분절음소와 초분절 음소로 구성된 형태소 = 145
  3.1 2 형태소들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 = 145
  3.1 3 형태소 구성성분들의 형식적 관계 = 148
 3.2 형태소 상호간의 형식적 관계 = 150
  3.2 1 형태소 상호간의 구조적 관계 = 151
   3.2 1.1 부가 형태소 = 151
   3.2 1.2 대체 형태소 = 155
   3.2 1.3 공제 형태소 = 160
  3.2 2 형태소 상호간의 배치적 관계 = 162
제4장 형태소의 분포
 4.1 형태소 분포의 의의 = 165
 4.2 분포에 의한 형태소의 유형 = 170
  A. 의존형과 독립형 = 171
  B. 어근과 비어근 = 172
  C. 어근과 어간 = 174
  D. 핵과 비핵 = 175
  E. 핵심구조와 주변구조 = 176
  F. 동일한 순번의 형태소와 상이한 순번의 형태소 = 176
  G. 상호 배타적인 형태소 = 177
  H. 상호 의무적인 형태소 = 177
  I. 필수적 형태소와 비필수적 형태소 = 177
  J. 마감 형태소와 비마감 형태소 = 178
 4.3 형태소의 형식적 결합 = 179
 4.4 직접구성성분 = 182
  4.4 1 직접구성성분의 의의 = 182
  4.4 2 직접구성성분 상호간의 위치 관계 = 185
   A. 두 개의 직접구성성분들의 결합 = 185
    1. 연속적인 핵심적·주변적 직접구성성분 = 185
    2. 불연속적인 직접구성성분 : 핵성분, 주변성분 또는 두 성분 모두 = 188
   B. 두 개 이상의 직접구성성분들의 결합 = 189
  4.4 3 직접구성성분을 결정하는 절차상의 원리 = 190
   4.4 3.1 원리 1 = 190
   4.4 3.2 원리 2 = 191
   4.4 3.3 원리 3 = 192
   4.4 3.4 원리 4 = 193
   4.4 3.5 원리 5 = 193
  4.4 4 직접구성성분 상호간의 기능적 관계 = 195
   4.4 4.1 내심적 구조와 외심적 구조 = 196
   4.4 4.2 등위적, 종속적, 비등위·비종속적 구조 = 197
 4.5 형태론적 구조의 유형 = 200
 4.6 1차적 구조층렬 = 209
 4.7 형태론적 주조의 영역한계 = 209
  4.7 1 구조상의 대조 = 209
  4.7 2 형태론적 구조의 영역한계를 결정하는 음운론적 기준 = 210
  4.7 3 형태론적 구조의 영역한계를 결정하는 분포적 기준 = 211
  4.7 4 음운론적 기준과 형태론적 기준의 중복 = 213
  4.7 5 형태론적 분포자료와 통사론적 분포자료의 중복 = 214
  4.7 6 단어의 실제적인 영역한계 = 216
제5장 구조부류
 5.1 구조부류의 유형 = 219
  5.1 1 형태부류 = 219
  5.1 2 연쇄부류 = 222
  5.1 3 분포부류 = 224
   5.1 3.1 의의있는 자질의 정의 = 224
   5.1 3.2 분포적 배열의 유형 = 227
    5.1 3.2 1 단일 연쇄부류에서의 분포적 배열 = 227
     5.1 3.2 1.1 한정사 - 피한정사 계열에 나타나는 형태 = 227
     5.1 3.2 1.2 한정사 - 피한정사 계열에 나타나지 않는 형태 = 229
    5.1 3.2 2 복합적 연쇄부류에서의 분포적 배열 = 253
 5.2 구조부류의 체계 = 276
제6장 형태소와 형태소 연쇄의 의미
 6.1 의미론적 원리 = 283
  6.1 1 원리 1 = 284
  6.1 2 원리 2 = 285
   A. 비언어적 환경 = 286
    1. 객관적 환경 = 286
    2. 주관적 환경 = 286
   B. 언어적 환경 = 288
    1. 구조적 환경 = 288
    2. 문맥적 환경 = 290
  6.1 3 원리 3 = 296
 6.2 상징의 사용 = 302
 6.3 의미의 정의가능성 = 302
 6.4 형태소의 의미를 결정하는 절차 = 305
 6.5 형태소의 표지매김 = 309
 6.6 의존형에 의해 표현되는 문법적 범주 = 311
 6.7 문법적 연쇄의 의미 = 323
제7장 현장연구의 절차
 7.1 단일 언어적 접근방식 = 328
 7.2 이중 언어적 접근방식 = 333
  7.2 1 자료 = 334
   7.2 1.1 물체지칭 단순단어 = 334
   7.2 1.2 형태론적 범주가 있음직한 물체지칭 단어 = 338
   7.2 1.3 과정지칭 단순단어 = 341
   7.2 1.4 형태론적 범주가 있음직한 과정지칭 단어 = 342
   7.2 1.5 물체와 과정이 결합된 단어 = 344
   7.2 1.6 원문 = 350
  7.2 2 자료의 기록 = 353
  7.2 3 자료제공자 = 355
   7.2 3.1 자료제공자들 사이의 방언적 차이 = 355
   7.2 3.2 자료제공자의 자격 = 357
   7.2 3.3 자료제공자의 관리 = 358
제8장 분석적 절차
 8.1 현장연구와 분석적 절차의 관계 = 362
 8.2 분석적 절차의 단계 = 362
  8.2 1 1차적 관찰 = 363
   8.2 1.1 음성학적 관찰 = 363
   8.2 1.2 식별적 관찰 = 364
   8.2 1.3 분포적 관찰 = 365
  8.2 2 자료의 정리 = 367
   8.2 2.1 자료정리의 목적 = 367
   8.2 2.2 정리전표의 형태 = 368
   8.2 2.3 자료정리와 분석의 관계 = 370
   8.2 2.4 정리될 자료의 특성과 범위 = 374
   8.2 2.5 정리목록표의 수 = 375
   8.2 2.6 구조적 정리목록표의 형태 = 376
    8.2 2.6 1 형태음소적 영역 = 376
    8.2 2.6 2 형태론 영역 = 378
 8.3 형태소의 상대적인 순서 결정 = 385
 8.4 형태식별에서의 자의적인 부호 사용 = 388
제9장 형태론의 기술적 진술
 9.1 구조상의 난제 = 411
  9.1 1 예시적 개요 = 412
   9.1 1.1 와트킨스의 Chichewa 기술 = 413
   9.1 1.2 호이저의 Chiricahua Apache 기술 = 416
   9.1 1.3 뵈겔린의 Delaware 기술 = 418
   9.1 1.4 홀의 불어 기술 = 419
   9.1 1.5 해리스의 히브리어 기술 = 422
   9.1 1.6 호켓의 Potawatomi 기술 = 424
   9.1 1.7 사피어의 Southern Paiute 기술 = 426
   9.1 1.8 슬로컴의 Tzeltal 기술 = 429
   9.1 1.9 핼퍼른의 Yuma 기술 = 432
  9.1 2 예시적 개요에 대한 논의 = 435
 9.2 기법상의 난제 = 439
  9.2 1 개요의 체제 = 439
  9.2 2 전문용어 = 441
  9.2 3 기술적 진술의 유형 = 442
 9.3 예시적 언어 연습문제 = 447
부록
 제1부 보충문제
  A. 2.2 2.2절의 보충문제 = 505
   A.1 동화와 이화 = 505
   A.2 모음사이에서의 유성음화 = 514
   A.3 어말의 비유성음화 = 515
   A.4 성조소의 동화와 이화 = 516
   A.5 어중 자음군의 축약 = 518
   A.6 어말 자음군의 축약 = 522
   A.7 모음 연쇄의 축약 = 523
   A.8 자음의 약화 = 528
   A.9 비강세 음절에서의 모음의 약화 = 530
   A.10 비강세 음절에서의 모음의 소실 = 531
   A.11 음절의 개폐성에 따른 모음길이의 차이 = 535
   A.12 보상적 장음화 = 536
   A.13 개발된 음소 = 537
   A.14 구개음화 = 539
   A.15 비음화 = 541
   A.16 베르너 현상 = 542
   A.17 음위전환 = 543
  B. 2.2 3.2절의 보충 문제 = 545
  C. 제3장의 보충 문제 = 548
  D. 제5장의 보충 문제 = 554
  E. 제6장의 보충 문제 = 558
 제2부 음성부호표 = 564
 제3부 영어의 음소표기 = 567
참고문헌 = 569
역자해제 = 573
찾아보기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