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말 / 趙東杰 교수 = 15
오직 그분만이 펴낼 수 있는 책 = 19
머리글 = 22
증언을 해준 조선의용군 출신 인민군제대 군관 = 27
제1장 동북조선의용군의 유래 = 35
1. 조선의용대의 창건과 국내외형세 = 37
2. 화북조선청년연합회와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 40
3. 조선독립동맹과 화북조선의용군 = 43
제2장 해방 후 조선의용군의 만주 집결 = 46
1. 일본의 항복과 조선의용군 = 46
2. 중국공산당 중앙의 만주선점 전략 = 50
3. 연안지구 조선의용군의 만주이동 = 59
4. 기동지구 조선의용군의 만주선점 = 64
5. 태행산 지구 조선의용군의 만주이동 = 67
6. 중원지구 조선의용군의 북상이동 = 71
7. 산동지구 조선의용군의 해상이동 = 75
8. 만주 집결 조선의용군의 종합적인 통계 = 78
제3장 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과 조선의용군 = 80
1. 조선의용군 제1지대의 남만주 활동 = 81
2. 북만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제3지대 = 89
3. 동만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제5지대 = 98
4. 길림에서 조직된 조선의용군 제7지대 = 106
5. 지방부대의 조선족 청년 = 108
6. 중국인 부대에 참군한 조선족 청년들 = 114
7. 만주조선족 참군 통계에 대한 점검과 분석 = 117
제4장 동북조선의용군의 초기 밀입북 = 120
1. 조선의용군 주요 간부의 1차입북자 명단 = 121
2. 조선의용군 주요 간부의 2차입북자 명단 = 127
3. 조선의용군 선견종대와 압록강 지대 = 135
4. 동북군정대학 길림분교 = 138
5. 훈춘보안단의 밀입북 = 140
제5장 조선의용군의 전원 밀입북 = 142
1. 동북군구166사단, 인민군6사단으로 개편 = 143
2. 동북군구164사단, 인민군5사단으로 개편 = 146
3. 중남군구독립15사단, 인민군12사단으로 개편 = 149
4. 제4야전군 47군 조선족 독립단, 인민군18연대로 개편 = 152
5. 중국철도병단 조선독립단 = 154
6. 동북군구 심양조선족 혼성단 = 156
7. 인민군에 편입된 만주조선족부대의 병력규모 = 158
제6장 조선인민군에 편입된 의용군부대와 6.25전쟁 = 173
1. 인민군 제6보병사단 = 174
2. 인민군 제5보병사단 = 184
3. 인민군 제12보병사단 = 188
4. 인민군 4사단18보병연대 = 193
제7장 인민군 제15보병연대 = 198
1. 입북 전 15연대의 전신1동북군구 166사 498단 = 198
2. 38선에서 호남평야의 대우회작전 = 201
3. 마산 서북산 부근에서 치열한공방전 = 204
4. 남해안에서 자강도까지 퇴각행군 = 208
5. 제2차 남진과 동부전선에서 기동전 = 210
6. 동해안 방어임무와 정전 전후 = 214
제8장 6.25전쟁 관련 및 문제제기 = 217
1. 남조선해방과 대만상륙작전 관계 = 217
2. 동간변사처(인민군 후방사령부) = 225
3. 모스크바 동방대학 = 228
4. 조선노동당 8∼9월 전원회의와 그 영향 = 231
5. 전시 인민군장성편제와 계파분석 = 236
제9장 조선의용군의 후기 역사 = 242
1. 중국에 남은 조선의용군 주요간부의 인생 = 242
2. 입북했다가 중국으로 간 조선의용군 간부의 운명 = 249
3.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의용군 출신 중하위 제대군관들 = 256
4. 조선의용군의 역사적 평가 = 264
맺는 말 = 269
부록 = 275
중국 각 성·시 자치구 간약자 일람표 = 276
조선의용군 간부 명단 = 277
중국 동북 3성 조선족 집중 거주 지도 = 280
조선의용군 만주 집결도 = 281
동북 조선족 부대 밀입북 경로도 = 282
참고문헌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