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의용군의 밀입북과 6.25전쟁

조선의용군의 밀입북과 6.25전쟁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중생 , 1933-
서명 / 저자사항
조선의용군의 밀입북과 6.25전쟁 / 김중생 著.
발행사항
서울 :   명지출판사 ,   2000.  
형태사항
274 p. : 삽도 ; 22 cm.
ISBN
8931107447
일반주기
부록 : 조선의용군 간부 명단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636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82745
005 20100806070345
007 ta
008 001213s2000 ulka 000a kor
020 ▼a 8931107447 ▼g 03910 : ▼c \7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6359 ▼f 개가 ▼l 111166360 ▼f 개가 ▼l 111166361 ▼f 개가
082 0 4 ▼a 953.07
090 ▼a 953.07 ▼b 2000
100 1 ▼a 김중생 , ▼d 1933- ▼0 AUTH(211009)121320
245 1 0 ▼a 조선의용군의 밀입북과 6.25전쟁 / ▼d 김중생 著.
260 ▼a 서울 : ▼b 명지출판사 , ▼c 2000.
300 ▼a 274 p. : ▼b 삽도 ; ▼c 22 cm.
500 ▼a 부록 : 조선의용군 간부 명단 외
504 ▼a 참고문헌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0 등록번호 111166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2000 등록번호 1111663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953.07 2000 등록번호 111166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중생(지은이)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최고 인물로 평가되는 경북 안동 출신 一松 金東三의 손자요, 망명지 만주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북한으로 들어가 6ㆍ25전쟁의 한복판에 서 있다가 다시 만주로 돌아가 고난의 시절을 보내고, 한중 관계의 변화 속에 일찍 영주 귀국한 인물이다. 저서로는 영주귀국하기 전에 조부 김동삼의 맏며느리이자 필자의 어머니인 이해동의 구술을 담은『만주생활 77년』(1990)에 이어,『조선의용군의 밀입북과 6·25전쟁』(2000),『북만주 반일운동 근거지 취원창』(2001)이 출판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의 말 / 趙東杰 교수 = 15
오직 그분만이 펴낼 수 있는 책 = 19
머리글 = 22
증언을 해준 조선의용군 출신 인민군제대 군관 = 27
제1장 동북조선의용군의 유래 = 35
 1. 조선의용대의 창건과 국내외형세 = 37
 2. 화북조선청년연합회와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 40
 3. 조선독립동맹과 화북조선의용군 = 43
제2장 해방 후 조선의용군의 만주 집결 = 46
 1. 일본의 항복과 조선의용군 = 46
 2. 중국공산당 중앙의 만주선점 전략 = 50
 3. 연안지구 조선의용군의 만주이동 = 59
 4. 기동지구 조선의용군의 만주선점 = 64
 5. 태행산 지구 조선의용군의 만주이동 = 67
 6. 중원지구 조선의용군의 북상이동 = 71
 7. 산동지구 조선의용군의 해상이동 = 75
 8. 만주 집결 조선의용군의 종합적인 통계 = 78
제3장 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과 조선의용군 = 80
 1. 조선의용군 제1지대의 남만주 활동 = 81
 2. 북만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제3지대 = 89
 3. 동만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제5지대 = 98
 4. 길림에서 조직된 조선의용군 제7지대 = 106
 5. 지방부대의 조선족 청년 = 108
 6. 중국인 부대에 참군한 조선족 청년들 = 114
 7. 만주조선족 참군 통계에 대한 점검과 분석 = 117
제4장 동북조선의용군의 초기 밀입북 = 120
 1. 조선의용군 주요 간부의 1차입북자 명단 = 121
 2. 조선의용군 주요 간부의 2차입북자 명단 = 127
 3. 조선의용군 선견종대와 압록강 지대 = 135
 4. 동북군정대학 길림분교 = 138
 5. 훈춘보안단의 밀입북 = 140
제5장 조선의용군의 전원 밀입북 = 142
 1. 동북군구166사단, 인민군6사단으로 개편 = 143
 2. 동북군구164사단, 인민군5사단으로 개편 = 146
 3. 중남군구독립15사단, 인민군12사단으로 개편 = 149
 4. 제4야전군 47군 조선족 독립단, 인민군18연대로 개편 = 152
 5. 중국철도병단 조선독립단 = 154
 6. 동북군구 심양조선족 혼성단 = 156
 7. 인민군에 편입된 만주조선족부대의 병력규모 = 158
제6장 조선인민군에 편입된 의용군부대와 6.25전쟁 = 173
 1. 인민군 제6보병사단 = 174
 2. 인민군 제5보병사단 = 184
 3. 인민군 제12보병사단 = 188
 4. 인민군 4사단18보병연대 = 193
제7장 인민군 제15보병연대 = 198
 1. 입북 전 15연대의 전신1동북군구 166사 498단 = 198
 2. 38선에서 호남평야의 대우회작전 = 201
 3. 마산 서북산 부근에서 치열한공방전 = 204
 4. 남해안에서 자강도까지 퇴각행군 = 208
 5. 제2차 남진과 동부전선에서 기동전 = 210
 6. 동해안 방어임무와 정전 전후 = 214
제8장 6.25전쟁 관련 및 문제제기 = 217
 1. 남조선해방과 대만상륙작전 관계 = 217
 2. 동간변사처(인민군 후방사령부) = 225
 3. 모스크바 동방대학 = 228
 4. 조선노동당 8∼9월 전원회의와 그 영향 = 231
 5. 전시 인민군장성편제와 계파분석 = 236
제9장 조선의용군의 후기 역사 = 242
 1. 중국에 남은 조선의용군 주요간부의 인생 = 242
 2. 입북했다가 중국으로 간 조선의용군 간부의 운명 = 249
 3.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의용군 출신 중하위 제대군관들 = 256
 4. 조선의용군의 역사적 평가 = 264
맺는 말 = 269
부록 = 275
중국 각 성·시 자치구 간약자 일람표 = 276
조선의용군 간부 명단 = 277
중국 동북 3성 조선족 집중 거주 지도 = 280
조선의용군 만주 집결도 = 281
동북 조선족 부대 밀입북 경로도 = 282
참고문헌 = 283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서종원 (2022)
김민수 (2022)
최보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