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음성학 = 1
1.1 발음기관 = 2
1.1.1 호흡기관 = 2
1.1.2 발성기관 = 3
1.1.3 조음기관 = 4
1.2 자음과 모음 = 5
1.2.1 자음 = 6
1.2.1.1 성 = 6
1.2.1.2 조음장소 = 6
1.2.1.3 조음방법 = 7
1.2.1.4 이차조음 = 10
1.2.1.5 간략표기와 정밀표기 = 11
1.2.2 모음 = 12
1.2.3 음절과 초분절음 = 14
1.2.3.1 음절 = 14
1.2.3.2 강세 = 15
1.2.3.3 음장 = 17
1.2.3.4 소리의 높이 = 18
1.2.3.5 연접 = 19
1.2.3.6 억양 = 20
제2장 형태론 = 22
2.1 단어와 단어구조 = 22
2.1.1 형태소 = 23
2.1.1.1 형태소 자르기와 문제점 = 24
2.1.1.2 자유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 27
2.1.1.3 이형태 = 27
2.1.2 단어구조의 표시 = 29
2.1.2.1 어근과 접사 = 29
2.1.2.2 어기 = 31
2.1.3 몇 가지 공통된 형태론적 현상 = 33
2.1.3.1 접사화과정 = 33
2.1.3.2 접어화 과정 = 34
2.1.3.3 내부변화 = 35
2.1.3.4 보충법 = 36
2.1.3.5 강세와 성조 = 37
2.1.3.6 중첩현상 = 38
2.1.3.7 합성어 과정 = 39
2.2 파생과정 = 40
2.2.1 영어파생 접사 = 41
2.2.2 파생과정의 적용 = 43
2.2.2.1 복합어 파생과정 = 44
2.2.3 파생과정에 대한 제약 = 46
2.2.4 두가지 부류의 파생접사 = 46
2.3 합성어 과정 = 48
2.3.1 합성어 특성 = 51
2.3.2 합성어 유형 = 52
2.4 기타유형의 단어형성과정 = 53
2.4.1 전환과정 = 54
2.4.2 절단과정 = 55
2.4.3 혼성과정 = 59
2.4.4 역성과정 = 57
2.4.5 두자어과정 = 59
2.4.6 의성,의태어 과정 = 60
2.4.7 기타 출처에 의한 것: 신어 = 61
2.5 굴정과정 = 63
2.5.1 굴정과정 대 파생과정 = 64
2.5.1.1. 범주의 변화 = 64
2.5.1.2 배열순서 = 65
2.5.1.3 생산성 = 66
2.5.2 영어의 굴절과정 접사 = 67
2.5.2.1 규칙 굴정과정 대 불규칙 굴정과정 = 68
제3장 구문론(Ⅰ) = 70
3.1 전통문법 = 71
3.1.1 품사의 분류 = 71
3.1.1.1 Curme의 품사분류 = 72
3.1.1.2 Jespersen의 품사분류 = 72
3.2 문장구조 = 76
3.2.1 문구조의 형 = 76
3.2.2 주어와 술어 = 76
3.2.3 보어와 목적어 = 78
3.3 시제와 상 = 80
3.3.1 시제 = 80
3.3.1.1 시간과 시제 = 80
3.3.1.2 현제시제와 과거시제의 용법 = 82
3.3.2 상 = 84
3.3.2.1 진행형 = 84
3.3.2.2 완료형 = 86
3.4 서법 = 88
3.4.1 명령법 = 88
3.4.2 가정법 = 89
3.5 태 = 92
3.5.1 동사의 타동성 = 93
3.5.2 수동태의 용법 = 95
3.6 부정사와 동명사 = 97
3.6.1 부정사 = 97
3.6.1.1 원형부정사 = 97
3.6.1.2 to-부정사 = 98
3.6.2 동명사 = 99
3.6.2.1 명사적 기능 = 99
3.6.2.2 동사적 기능 = 100
3.7 격과 성 = 101
3.7.1 격 = 101
3.7.1.1 격의 분류 = 101
3.7.1.2 속격의 의미와 속격의 선택 = 103
3.7.2 성 = 105
3.7.2.1 생물의 성 표시 = 106
3.7.2.2 무생물의 성 표시 = 107
3.8 수와 인칭 = 108
3.8.1 수 = 108
3.8.1.1 복수형태 = 108
3.8.1.2 복수의 의미 = 110
3.8.1.3 수의 일치 = 111
3.8.2 인칭 = 111
3.8.2.1 인칭과 동사의 형태 = 111
3.8.2.2 개념적 인칭과 문법적 인칭 = 112
3.9 구조문법 = 114
3.9.1 구라파의 구조문법 = 114
3.9.2 미국의 구조문법 = 117
3.9.3 어류 분류 = 119
3.9.4 문형 = 125
3.9.5 수식어구 = 127
3.9.6 직접구성 성분 = 131
3.9.7 내심구조와 외심구조 = 133
제4장 구문론(Ⅱ) = 136
4.1 변형생성문법 = 136
4.1.1 역사적 배경 = 136
4.1.2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 138
4.1.3 보편문법과 개별문법 = 139
4.2 구구조 = 140
4.2.1 P-Marker와 어휘삽입 = 140
4.2.2 구절구조규칙과 어휘삽입규칙 = 144
4.2.3 X'-Theory = 150
4.3 변형 = 154
4.3.1 심층구조와 표층구조의 이해 = 154
4.3.2 변형규칙 = 156
4.3.2.1 의문문 변형규칙 = 157
4.3.2.2 수동문 변형 = 159
4.3.3 지배결속 이론 = 161
4.4 여러 가지 제약들 = 163
4.4.1 복합명사구 제약 = 164
4.4.2 등위구조 제약 = 165
4.4.3 WH-섬제약 = 166
4.4.4 좌분지 제약 = 167
4.4.5 상위범주 우선원칙 = 167
4.4.6 하위인접 조건 = 169
4.4.7 시제문 조건 = 170
4.4.8 명시주어 조건 = 171
4.5 격이론 = 172
4.5.1 성분통어와 지배 = 172
4.5.2 구조격과 본유격 = 175
4.6 이동규칙 = 179
4.6.1 명사구 이동 = 179
4.6.2 WH-이동 = 182
4.6.3 구이동과 몇 가지 제약 = 184
4.6.4 WH-이동과 결속이론 = 186
4.7 결속이론 = 187
4.7.1 명사구의 분류 = 188
4.8 PRO와 PRO 해석 = 193
4.8.1 PRO = 193
4.8.2 PRO해석-통제이론 = 197
4.9 공범주 이론 = 199
4.9.1 공범주 = 199
4.9.2 공법주 원리 = 201
4.9.3 기생 공백 = 203
제5장 의미론 = 203
5.1 서론 = 205
5.2 의미적 특성 = 208
5.2.1 중의성 = 208
5.2.2 동의성 = 210
5.2.3 동음이의어 = 211
5.2.4 반의 = 212
5.2.5 반의와 부정 = 213
5.2.6 이형과 잉여성 = 215
5.2.7 함의 = 216
5.3 의미 기술 = 217
5.3.1 명제논리 = 218
5.3.1.1 통사부 = 218
5.3.1.1.1 어휘 = 219
5.3.1.1.2 통사규칙 = 225
5.3.1.2 의미부 = 226
5.3.1.2.1 진리치 = 226
5.3.1.2.3 의미규칙 = 229
5.3.2 술어논리 = 231
5.3.2.1 이름과 술어 = 231
5.3.2.2 정항과 변항 = 233
5.3.2.3 양화사 = 234
5.3.3 통사부 = 236
5.3.3.1 통사규칙 = 237
5.3.4 의미부 = 238
5.3.5 요약 = 243
제6장 영어교수 이론 = 246
6.1 영어교수법의 변천 = 246
6.2 영어 교수법의 이해 = 250
6.3 영어 교수법 = 253
6.3.1 문법 번역식 교수법 = 253
6.3.2 직접식 교수법 = 255
6.3.2.1 단계별 직접 교수법 = 256
6.3.2.2 음성중심 교수법 = 256
6.3.2.3 심리학적 교수법 = 257
6.3.2.4 자연식 교수법 = 258
6.3.2.5 구두 교수법 = 258
6.3.3 독서중심 교수법 = 260
6.3.4 구두청각 교수법 = 261
6.3.5 인지접근 교수법 = 262
6.3.6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 263
6.3.6.1 상황중심강조 교수법 = 264
6.3.6.2 마이크로웨이브 교수법 = 266
6.3.7 비관례 교수법 = 269
6.3.7.1 상담 학습방법 = 270
6.3.7.2 전신 반응 교수법 = 272
6.3.7.3 연상 교수법 = 274
6.3.7.4 침묵식 교수법 = 277
6.3.8 절충식 교수법 = 281
제7장 언어 기능별 지도법 = 282
7.1 문법지도 = 282
7.1.1 문형연습의 유형 = 282
7.1.1.1 반복연습 = 282
7.1.1.2 대치연습 = 283
7.1.1.3 확대연습 = 285
7.1.1.4 완결연습 = 285
7.1.1.5 축약연습 = 286
7.1.1.6 변형연습 = 287
7.1.1.7 통합연습 = 288
7.1.2 문법지도의 절차 = 289
7.1.2.1 문형의 제시 = 289
7.1.2.2 문형 이해를 위한 질문 = 290
7.1.2.3 문형의 확인 = 290
7.1.2.4 문형의 형태적 설명 = 290
7.1.3 문법지도의 기법 = 295
7.1.3.1 Chart 이용하기 = 295
7.1.3.2 물건이용하기 = 296
7.1.3.3 지도 또는 그림이용하기 = 297
7.1.3.4 대화이용하기 = 297
7.1.3.5 문자 텍스트 이용하기 = 299
7.2 듣기 지도 = 299
7.2.1 듣기 지도의 목표 = 299
7.2.2 듣기 지고의 일반 원칙 = 300
7.2.3 듣기 지도의 단계 = 302
7.2.3.1 듣기전 활동 = 302
7.2.3.2 듣기중 활동 = 302
7.2.3.3 듣기후 활동 = 303
7.2.4 듣기지도의 실제 = 304
7.2.4.1 식별연습 = 304
7.2.4.2 인식연습 = 305
7.2.4.3 구문해독 = 307
7.2.4.4 메시지 듣고 이해하기 = 308
7.2.4.5 전화 및 방송매체를 통한 듣기 연습 = 311
7.3 말하기 지도 = 312
7.3.1 말하기의 유형 = 312
7.3.1.1 imitative = 312
7.3.1.2 Intensive = 313
7.3.1.3 Responsive = 313
7.3.1.4 Transcactional = 314
7.3.1.5 Interpersonal = 314
7.3.1.6 Extensive = 315
7.3.2 말하기 지도의 실제 = 315
7.3.2.1 신용진이 제안한 기법 = 315
7.3.2.2 Paulston & Bruder가 제안한 기법 = 321
7.3.2.3 대화를 통한 말하기 지도 = 326
7.4 읽기 지도 = 329
7.4.1 읽기 지도의 목표 = 329
7.4.2 읽기 지도 방법론 = 330
7.4.2.1 상향식 과정 = 330
7.4.2.2 하향식 과정 = 331
7.4.2.3 상화작용식 과정 = 331
7.4.3 읽기 지도의 제 기법 = 332
7.4.3.1 Techniques and Exercise = 333
7.4.4 읽기 지도의 수업절차 = 339
7.5 쓰기 지도 = 342
7.5.1 쓰기의 유형 = 342
7.5.1.1 Imitative/Writing doun = 342
7.5.1.2 Intenseive/controlled = 342
7.5.1.3 Self-writing = 343
7.5.1.4 Display writing = 343
7.5.1.5 Real writing = 343
7.5.2 작문 지도법의 종류 = 344
7.5.2.1 통제식 작문지도법 = 344
7.5.2.2 안내식 작문 지도법 = 347
7.5.2.3 자유작문 = 347
7.5.3 작문 지도의 단계 = 347
7.5.3.1 Pre-writing = 348
7.5.3.2 Composing = 348
7.5.3.3 Revision = 349
7.5.3.4 Post-writing = 350
7.5.4 작문지도를 위한 제 기법 = 350
7.5.4.1 신용진이 제안한 기법 = 350
7.5.4.2 Rrown의 Microskill for writing = 352
제8장 심리 언어학 = 353
8.1 언어습득 이론 = 354
8.1.1 행동주의 이론 = 354
8.1.2 이성주의 이론 = 356
8.1.3 인지주의 이론 = 358
8.2 언어와 문법 = 360
8.2.1 언어이전 단계 = 361
8.2.1.1 말소리 지각 = 361
8.2.1.2 말소리 산출 = 363
8.2.1.2.1 울음 = 363
8.2.1.2.2. 옹알이 = 364
8.2.2 언어 단계 = 366
8.2.2.1 한 단어 발화 = 367
8.2.2.2 두 단어와 세 단어 발화 = 371
8.2.2.2.1 주축문법 = 371
8.2.2.2.2 전보문장식 언어 = 373
8.3 언어와 의미 = 376
8.3.1 초기 참조 언휘의 발달 = 376
8.3.1.1 명사의 발달 = 376
8.3.1.2 동사와 형용사의 발달 = 380
8.3.2 관계어휘의 발달 = 381
8.4 언어와 심리작용 = 382
참고문헌 = 387
색인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