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681734 | |
005 | 20170511113809 | |
007 | ta | |
008 | 001211s2000 ulka 000c kor | |
020 | ▼a 8930037909 ▼g 94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66583 ▼f 개가 ▼l 111166584 ▼f 개가 ▼l 111166585 ▼f 개가 |
082 | 0 4 | ▼a 001.4/2 ▼2 21 |
085 | ▼a 001.42 ▼2 DDCK | |
090 | ▼a 001.42 ▼b 2000 | |
100 | 1 | ▼a Booth, Wayne C. ▼0 AUTH(211009)22336 |
245 | 1 0 | ▼a 학술논문 작성법 / ▼d W. 부스, ▼e G. 컬럼, ▼e J. 윌리엄스 ; ▼e 양기석 역 |
246 | 1 9 | ▼a The craft of research |
246 | 3 9 | ▼a Craft of research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c 2000 | |
300 | ▼a 378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790 |
650 | 0 | ▼a Research ▼x Methodology |
650 | 0 | ▼a Technical writing |
700 | 1 | ▼a Colomb, Gregory G., ▼e 저 ▼0 AUTH(211009)107088 |
700 | 1 | ▼a Williams, Joseph M., ▼e 저 ▼0 AUTH(211009)29039 |
700 | 1 | ▼a 양기석, ▼e 역 ▼0 AUTH(211009)18697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111665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11166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410421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5109801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510980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111665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11166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410421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5109801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001.42 2000 | 등록번호 1510980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논문을 쓸 때 항상 독자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논문을 독자와 함께 생각하고 대화를 전개하는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은 연구주제의 선정, 문제제기, 기존 문헌의 검토, 자료의 수집과 제시, 그리고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과 해석, 결론 등의 모든 절차에 적용된다. 이 점은 기존의 논술법이나 연구방법론의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이 책만의 특징이다.
이 책은 1995년에 출간되어 인문과 자연 분야의 학부생, 대학원생, 그리고 전문 연구자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였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일본어 그리고 중국어로 번역되었다. 두 차례의 수정과정을 거쳤는데, 논증부분이 대폭 수정되었고 온라인 연구에 대한 논의가 크게 확장되었다. 연구보고서의 초안작성이 2개의 장으로 확장되었고 시각적 제시부분도 업데이트되었다. 반복되는 내용이 삭제되고 모호한 표현이나 용어가 바뀌었으며, 불충분한 설명이 보완되는 등 제2,3판을 거치면서 독자의 불평과 호평이 아주 충실하게 반영되었다고 생각된다. 초판에 나오는 문단이 그대로 3판에까지 살아남은 것은 거의 없다시피 첫 문장부터 끝까지 완전히 다시 풀어 쓴 것으로 보면 된다.
이 책에서는 논문을 쓸 때 항상 독자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논문을 독자와 함께 생각하고 대화를 전개하는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은 연구주제의 선정, 문제제기, 기존 문헌의 검토, 자료의 수집과 제시, 그리고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과 해석, 결론 등의 모든 절차에 적용된다. 이 점은 기존의 논술법이나 연구방법론의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이 책의 독창성이라고 믿는다. 우리가 접하는 많은 학위논문이나 연구보고서가 매우 딱딱한 독백과 같은 인상을 풍기는 것은 바로 이 저자들이 주장하는 ‘독자와의 대화하는’ 태도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번역은 저자의 사상을 재창조하는 작업이라고 한다. 번역서를 접할 때마다 느끼는 불편은 원문에 충실하다보니 몇번씩 읽어도 무슨 의미인지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역자는 이 점을 깊이 고려하면서 가능한 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원문의 간결하면서도 친밀한 스타일을 한국어로 모두 전달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어느 정도의 영어 어학력이 갖추어진 분들은 원전에서 저자들과 직접 ‘대화하는’ 것을 권유하고 싶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W.부스(지은이)
시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조지 풀번 석좌교수 역임저서:《허구의 수사학》,《즐기는 아마추어리즘과 경쟁》《웨인 부스의 핵심》(시카고대학 출판부)
조셉 윌리엄스(지은이)
전 시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윌리엄스는 영어의 역사에 관한 연구로 학자의 길에 들어섰다. 1975년 출간된 <영어의 기원에 관하여In Origins of the English Language: A Social and Linguistic History>에서 그는 인간의 진화과정까지 거슬러 올라가 어떻게 현대 영어가 발달해 왔는지 추적한다. 하지만 그는 이때부터 이미 문법과 수사학 사이에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이러한 관심은 같은 해 나온 <새로운 영어The New English: Structure, Form, Style>에서도 찾을 수 있다. 문법과 수사학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1981년, 그의 영원한 명저로 기억되는 <문체Style: Lessons in Clarity and Grace>에서 꽃을 피운다. <문체>에서 윌리엄스는 “글은 언제나 명확하게 써야 하며, 이는 누구나 쓸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명확하게 글을 쓰는 방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해 나간다. 이 책이 발간되던 해 윌리엄스는 뜻을 같이 하는 동료들과 함께 혁신적인 글쓰기 교육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시카고대학 공식 라이팅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은 리틀 레드 스쿨하우스The Little Red Schoolhouse이다. 리틀 레드 스쿨하우스에는 학부생, 대학원생은 물론, 교수, 교직원, 전문분야에 종사하는 일반인들까지 드나들며 글쓰기를 배웠고, 그 성과 또한 눈부셨다. 이렇게 글쓰기교육을 진행하면서 윌리엄스의 관심은 문체를 넘어 글쓰기로 옮겨갔다. 그가 바라보는 글쓰기는 곧 “윤리”이다. 글쓰기는 글을 쓰는 사람과 글을 읽는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사회적 행동이며, 따라서 글은 언제나 일관성 있고 정직해야 한다고 말한다. 1995년 윌리엄스는 리틀 레드 스쿨하우스에서 함께 글쓰기를 가르치는 동료들과 함께 <학술논문작성법The Craft of Research>이라는 책을 발표하고, 2001년에는 콜럼과 함께 <논증의 탄생The Craft of Argument>을 세상에 내놓는다. 그 동안 자신들이 쌓아온 글쓰기에 관한 모든 노하우를 집대성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책을 만들어 낸 것이다. 이 책에서는 특히 글쓰기의 핵심기술로 논증을 제시하며, 논증이란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설득을 위한 수사학적 상황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윌리엄스는 리틀 레드 스쿨하우스의 성공에 힘입어 동료들과 함께 클리어라인즈Clearlines라는 글쓰기컨설팅회사를 세워 정부기관, 대기업, 로펌, 컨설팅회사, 전문직 종사자 등 학교 밖에 있는 일반인들을 위한 글쓰기컨설팅과 교육 사업을 하기도 하였다. 조셉 윌리엄스는 교육과 책을 통해 미국의 글쓰기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시카고대학이 학부생 교육에서 훌륭한 성과를 내는 교수에게 주는 콴트렐어워드Quantrell Award를, 미국평론가협회에서 주는 크리틱스초이스어워드Critics’ Choice Award를, 미국 법률문서작성연구소Legal Writing Institute에서 법률문서의 수준을 높이는 데 특별하게 기여한 사람들에게 주는 골든펜어워드Golden Pen Award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에게 상을 주는 이유로 법률문서작성연구소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명확한 글쓰기에 대한 그의 명저들은 오늘날 법률가들의 글쓰기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법률가들을 키워내는 법률대학원 교수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소중한 가르침에 대해 우리는 보잘것없는 이 상으로나마 감사함을 표하고자 한다.” 조셉 윌리엄스는 2008년 2월 미시건 사우스헤븐 자신의 집에서 75년의 삶을 뒤로하고 세상을 떴다.
그레고리 콜럼(지은이)
버지니아 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이자 버지니아 대학 글쓰기 프로그램 책임운영자다. 글쓰기, 18세기 문학, 문학이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조셉 윌리엄스와 함께 리틀레드스쿨하우스를 이끌었다. 대표 저서로 는 《진실의 설계Designs on Truth: The Poetics of the Augustan Mock-Epic》가 있다.
양기석(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학을 전공하였다. 텍사스 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에서 저널리즘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방송영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현재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옮긴 책으로는 <작가의 탄생>(2006), <학술논문의 작성>(2000), <영국의 방송재정>(1995), <문화(株): 공공의사 표현의 사유화>(1994), <세계의 방송제도>(1992) 등이 있다.
신순옥(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학을 전공하였다. 남일리노이대학교 교육심리학으로 석사를, 텍사스 주립대학교 교육심리학 전공으로 박사를 받았다. 2013년 현재 동아대학교 강사이다.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7 서문 = 11 제1부 연구, 연구자 그리고 독자 서설 연구의 시작 = 27 제1장 쓰면서 생각하기 : 연구의 사적 및 공적 사용가치 = 33 1. 연구는 왜 하는가? =33 2. 왜 글로 써 놓는가? = 36 3. 글의 형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38 제2장 독자에게 다가가기. 자신과 독자의 역할 (재)창조 = 41 1. 연구자들간의 대화 = 41 2. 저자와 독자의 사회적 역할 = 43 3. 독자들의 공통적 관심사 = 50 4. 글쓰는 사람들의 공통적 관심사 = 55 요령 독자 이해를 위한 점검표 = 59 제2부 질문하기, 해답찾기 서설 연구과제의 계획 = 63 요령 논문의 공동집필 = 66 제3장 연구주제에서 연구질문 찾기 = 73 1. 관심사, 주제, 질문 및 문제 = 73 2. 관심사로부터 연구주제 찾기 = 75 3. 주제의 폭 좁히기 = 76 4. 좁혀진 주제로부터 연구질문 만들기 = 78 5. 연구질문에서 시사점 찾아내기 = 83 요령 연구주제 찾기 = 88 제4장 연구질문에서 연구문제 도출하기 = 91 1. 문제, 문제, 문제 = 92 2. 연구문제의 구조 = 96 3. 연구문제 설정 = 106 4. 문제의 문제 = 111 제5장 연구질문과 문헌찾기 = 113 1. 도서관에서 정보찾기 = 114 2.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 119 3. 참고문헌의 탐색여행 = 122 4. 찾아낸 정보 = 124 제6장 문헌자료의 사용 = 125 1. 제2차 자료의 사용 = 125 2. 비판적으로 읽어라 = 127 3. 노트 기록을 충분히 한다 = 128 요령 속독 = 138 제3부 주장과 근거의 제시 서설 논술, 초안 작성 및 대화 = 143 제7장 논술의 요소:개관 = 147 1. 대화와 논술 = 147 2. 주장과 증거 = 150 3. 가정 = 151 4. 단서달기 = 153 제8장 주장과 증거 = 157 1. 강한 주장의 천명 = 157 2. 주장은 연구의 길잡이가 된다 = 160 3. 신뢰성있는 증거 제시 = 162 4. 증거에 따라 논문의 구조와 논술의 틀을 잡는 방법 = 171 요령 반론의 유형 = 175 제9장 가정 = 181 1. 가정 신념과 사고의 토대 = 181 2. 가정은 어떻게 생겼는가? = 184 3. 가정의 질 = 187 요령 도전적인 가정 : 모험적인 사람들을 위한 게임 = 202 제10장 단서달기 = 209 1. 복습 = 209 2. 논술에 단서붙이기 = 212 3. 완전한 논술의 구조 = 223 4. 연구와 독서의 안내자로서의 논술 = 225 5. 학문적 신념의 표현에 관한 몇 마디 = 226 요령 논술 : 두 가지 흔한 함정 = 229 제4부 초안의 준비, 진행, 그리고 교정 서설 연구의 재계획 = 235 요령 개요 쓰기 = 239 제11장 예비초안과 초안쓰기 = 243 1. 초안 쓰기의 예비작업 = 243 2. 초안의 설계 : 네 가지 함정 = 246 3. 초안쓰기의 설계 = 250 4. 수정가능한 초안의 작성 = 257 5. 반드시 피해야 할 함정 = 260 6. 마무리 작업 = 265 요령 인용하기와 풀어쓰기 = 268 제12장 자료의 시각적 표현 = 273 1. 시각적 제시와 언어적 제시 = 273 2. 도표 작성의 일반적 원칙 = 276 3. 도표 = 278 4. 차트 = 281 5. 그래프 = 287 6. 시각적 제시와 윤리의 문제 = 293 8. 말과 그림의 연결 = 295 9. 과학적 시각화 = 296 10. 기타 종류의 도시화 = 297 11. 구성 논리의 도시화 = 297 12. 사고를 돕는 시각물 = 299 요령 논문작성의 상담원 이용 = 301 제13장 논문구조와 논술내용의 수정 = 303 1. 독자의 입장에서 = 303 2. 논문구조의 분석과 수정 = 305 3. 논술의 수정 = 312 4. 마지막 단계 = 314 요령 제목과 초록 = 315 제14장 문장의 수정 = 319 요령 논문의도의 분명한 전달 = 319 1. 글쓰기 스타일의 판단 = 319 2. 첫번째 원칙 : 이야기와 문법 = 322 3. 두번째 원칙 : 익숙한 것을 먼저 제시하는 원칙 = 332 4. 능동태와 수동태의 선택 = 336 5. 마지막 원칙 : 복합적 개념은 마지막에 = 338 6. 논문의 마지막 손질 = 342 요령 신속한 수정 = 343 제15장 서론 쓰기 = 345 1. 서론의 세가지 요소 = 346 2. 연구문제의 제기 = 349 3. 공감대를 형성한다 = 356 4. 문제제기로 공감대의 균형을 교란한다 = 357 5. 문제해결의 제시 = 360 6. 문제제기의 템포 = 364 7. 서론의 전체적 모습 = 365 요령 논문의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 쓰기 = 367 제5부 최후의 몇 가지 고려할 사항 연구활동과 윤리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