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심리 치료적 접근
1. 성폭력의 개념정의 = 14
2. 성폭력 피해자 심리치료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 = 15
(1) 외상성 스트레스 / 피해자의 이론 = 15
(2) 자아-발달 이론 = 17
(3) 손실이론 = 18
(4) 여성주의적 이론 = 20
제2장 성폭력 피해자들의 피해 후유증
1. 성인 성폭력 피해자들의 후유증 = 23
(1) 정서적 영역 = 23
(2) 인지적 영역 = 27
(3) 대인관계 = 29
(4) 신체적 영역 = 30
(5) 성적인 영역 = 31
(6) 약물남용
2. 친족 성폭력 피해자 = 33
(1) 신체적 영역 = 34
(2) 심리적 영역 = 35
(3) 사회적 영역 = 42
(4) 성적 영역 = 44
3. 남성 성폭력 피해자 = 46
(1) 신체적 영역 = 46
(2) 심리적 영역 = 48
(3) 인지적 영역 = 50
(4) 행동 영역 = 52
(5) 성적 영역 = 52
4. 성폭력 피해 가족들의 심리적 반응 = 53
(1) 분노와 보복심리 = 55
(2) 무력감과 절망감 = 56
(3) 죄의식 = 56
(4) 성적 혐오감 = 57
(5) 비난 = 57
(6) 비밀유지 = 57
제3장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평가
1.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치료과정의 개요 = 59
(1) 피해자의 심리치료에 대한 결심단계 = 60
(2) 위기의 단계 = 60
(3) 성폭력 피해기억의 재생단계 = 61
(4) 성폭력이 사실이었다고 믿는 단계 = 61
(5) 성폭력 피해감정의 표현단계 = 62
(6) 자기에 대한 수치감의 해소 및 정확한 귀인 추구 단계 = 62
(7) 애도와 슬픔의 단계 = 63
(8) 왜곡된 신념이나 인지의 재구성 단계 = 63
(9) 성폭력 피해에 대한 공개 및 가해자 대면 단계 =63
(10) 자신의 새로운 인생에 대한 결심과 행동변화의 단계 = 64
2.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평가 = 64
(1) 심리치료 의뢰 = 66
(2) 초기의 면접평가 = 67
(3) 사전 질문지에 의한 평가 = 73
(4)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심리검사 = 81
제4장 성피해자의 초기 심리치료
1. 성피해자에 대한 심리치료과정의 전략 = 83
(1) 초기단계 = 83
(2) 해결단계 = 91
(3) 사회와 재연결 단계 = 92
2. 성피해자의 심리치료과정 = 92
(1) 치료의 초기단계 = 92
(2) 심리치료를 위한 면접상담의 기술 = 96
(3) 심리치료에 대한 동기가 강한 내담자의 예 = 105
(4) 초기 면접시 흔한 사례 = 110
(5) 남성 피해자의 사례 = 113
제5장 심리치료의 중기 및 종결단계
1. 치료의 중기단계 = 119
(1) 내담자의 현재 상황에 관한 평가 = 120
(2) 외상에 대한 심리치료의 실제 = 125
(3) 성폭력 피해 후유증 다루기의 실제 = 139
2. 치료의 종결단계 = 150
(1) 내담자의 자기개념 = 150
(2) 자아존중감 = 150
(3) 외상의 해결 정도 = 151
(4) 과거에 대한 슬픔의 해결단계 = 151
(5) 고통에 대한 인내성 = 151
제6장 성피해자를 위한 인지 - 행동적 접근
1. 이론적 배경 = 157
(1) 인지 - 행동적 세계관 = 157
(2) 다문화를 고려한 인지치료 접근 = 158
(3) 인지치료 모델 = 159
(4) 성피해자의 역기능적인 사고패턴 = 161
2. 성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인지적 접근 = 165
(1) 성폭력 피해에 관련된 사고와 감정의 파악 = 166
(2) 자동적 사고 확인하기 = 167
(3) 자동적 사고 논박하기 = 169
(4) 성폭력 피해에 대한 핵심적 사고 파악하기 = 173
(5) 핵심사고 논박하기 = 175
(6) 변화 유지시키기 = 180
(7) 성폭력 피해자의 우울증 치료 = 183
제7장 성피해자를 위한 집단치료
1. 성피해자 집단의 치료적 요인 = 195
(1) 다른 피해자들과의 동질성 확인 및 치료적 동맹관계 형성 = 195
(2) 비밀유지 중지와 피해사실 인정하기 = 196
(3) 지지그룹 형성 및 대리가족 형성 = 196
(4) 감정과 신념에 대한 탐색의 장 마련 = 197
(5) 왜곡된 신념에 대한 도전 = 197
(6) 성피해 감정 나눠갖기 = 197
(7) 대인관계의 새로운 탐색과 자신의 역동성 확인 = 198
2. 집단의 구성 = 198
3.집단치료의 실제 = 200
(1) 집단의 규칙만들기 = 200
(2) 성피해 치료집단 소개하기 = 201
(3) 집단의 목표 정하기 = 202
(4) 집단치료 중 시간 할당하기 = 203
(5) 집단의 응집력 = 204
(6) 집단과제 = 205
4. 성피해여성을 위한 집단치료 모델 = 208
(1) 집단치료 모델Ⅰ : Dr. Gil의 모델에 근거한 변형 = 208
(2) 집단치료 모델Ⅱ = 226
5. 집단치료시 문제행동 다루기 = 241
(1) 저항 = 241
(2) 적대감과 공격적인 행동 = 243
(3) 독점적인 대화 = 243
(4) 집단의 시전을 회피하기 = 244
(5) 집단에서의 침묵 = 244
(6) 왕따 행동 = 245
(7) 자살에 대한 위협이나 지나치게 자학하는 행동 = 245
제8장 성피해아동의 심리평가
1. 어린이 성학대 정의와 형태 = 247
(1) 성인이 성적으로 흥분하면서 아동의 신체를 만지는 경우 = 247
(2) 어른이 성적 흥분을 위해 몸을 만지게 하는 경우 = 248
(3) 아동을 성적인 자극을 위해서 사진찍는 경우 = 249
(4) 성적으로 지나친 말이나 농담하기 = 249
(5) 포르노를 아동에게 보이거나 보도록 방치하는 경우 = 249
(6) 아동의 성적인 신체발달, 성적인 기관을 이용한 농담 = 250
(7) 성적인 만족을 위해서 아동 앞에서 성기관 노출 = 250
(8) 아동 앞에서 자위행위 및 성행위 = 251
(9) 아동에게 성기부분을 노출하는 옷을 입도록 강요하거나 지나치게 감추게 하기 = 251
(10) 아동의 옷을 벗기고 때리기 = 252
(11) 아동이 강제적으로 동물과 성적으로 흥분하도록 하는 행위 = 252
(12) 청소년 매춘부와 성관계 = 252
(13) 아동의 성교 = 253
2. 성피해아동의 특징 = 253
(1) 비밀유지의 압박감 = 253
(2) 무기력감 = 253
(3) 감금당한 느낌과 적응력 발달 = 254
(4) 폭로의 결과에 대한 책임감 = 255
(5) 상황에 대한 혼동과 불안감 = 256
3. 아동의 대응기제와 생존전략 = 256
(1) 부정 = 257
(2) 해리 = 257
(3) 생리적 방어 = 257
(4) 인지적 방어 = 258
4. 성학대 피해아동의 대인관계 = 258
(1) 공격성 = 258
(2) 회피 = 259
(3) 문제행동의 시도 = 260
(4) 도발적인 행위 = 260
(5) 성적인 행위 = 260
(6) 정서적 / 표현적 장애 = 261
5. 성학대 피해아동의 후유증 = 261
(1)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 = 262
(2) 또래관계의 어려움 = 262
(3) 신뢰감의 결여 = 263
(4) 분노감 / 배신감 = 263
(5) 불안감 = 263
6. 성학대 피해아동의 세계관 = 264
(1)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나에게 상처를 준다. = 264
(2) 사람들은 피해자이거나 가해자이다. = 265
(3) 세상은 위험한 곳이다. = 265
7. 성학대 피해아동에 대한 심리평가 = 265
8. 성학대 피해아동의 평가 면접시 고려사항 = 268
9. 평가면접의 형태 = 269
(1) 면접의 녹음이나 녹화 = 269
(2) 아동 성학대 평가 모델 = 170
(3) 아동과 평가면접 절차 = 273
(4) 성폭력 피해아동들에 대한 치료를 고려한 평가 = 283
제9장 성피해아동의 심리치료
1. 성피해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적 접근 = 287
(1) 개인 심리치료를 위한 요건 = 287
(2) 성학대 피해아동의 개인 심리치료과정 = 289
(3) 성피해아동과의 초기 치료관계 = 291
2. 성피해아동의 치료 사례 = 304
제10장 청소년 성피해자의 가족치료
1. 성피해 청소년들을 위한 가족치료 모델 = 321
2. 청소년기의 발달과제 = 323
3. 성피해가 가족의 발달단계에 끼치는 영향 = 324
4. 성피해 청소년 가족치료의 과정과 내용 = 327
(1) 문제해결 및 대화의 기술 = 327
(2) 가치체계 = 334
(3) 구조적 체계 = 339
(4) 가족의 기능적 분석 = 341
(5) 행동 - 가족 체계 이론에 의한 성피해자 가족치료 모델 = 343
부록 = 351
참고문헌 = 431
찾아보기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