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
1.1 음성학과 음운론(Phonetics and Phonology) = 1
1.2 음성학의 영역(Domain of Phonetics) = 4
1.3 음운론의 영역(Domain of Phonology) = 8
1.4 표기방법 = 11
1.5 음소의 개념(Concept of Phoneme) = 12
제2장 음의 생성 = 19
2.1 자음(Consonants) = 24
2.2 이차적 조음(Secondary Articulation) = 48
2.3 모음(Vowels) = 52
제3장 철자와 발음 = 73
3.1 철자와 발음의 불일치 = 75
3.2 불일치의 원인 = 79
3.3 철자개혁(Spelling Reform) = 82
3.4 철자발음(Spelling Pronunciation) = 85
3.5 영어철자법의 장점 = 86
제4장 음절 = 89
4.1 음절의 정의 = 89
4.2 음절구조와 경계설정 = 93
제5장 초분절음소 = 121
5.1 음장(Quantity or Length) = 121
5.2 성조(Tone) = 124
5.3 강세(Stress) = 128
5.4 음조(Intonation) = 164
제6장 음의 음운론적 자질 = 181
6.1 주요부류자질(Major Class Features) = 182
6.2 조음위치자질(Place Features) = 183
6.3 조음방법자질(Manner Features) = 186
6.4 모음의 자질 = 189
6.5 반모음의 자질 = 191
6.6 잉여자질(Redundant Features) = 191
제7장 음운과정 = 199
7.1 동화과정(Assimilatory Processes) = 199
7.2 비동화과정(Non-assimilatory Processes) = 210
제8장 음운규칙 = 223
8.1 서론 = 223
8.2 음운영역(Phonological Domain) = 225
8.3 동화규칙(Assimilatory Rules) = 230
8.4 규칙순서(Rule Order) = 232
8.5 변항(Variables) = 236
8.6 경상규칙(鏡像規則, Mirror-Image Rule) = 239
8.7 괄호표기 = 241
제9장 어휘음운론 = 251
9.1 계층구조(Level or Stratum Structure) = 252
9.2 접사의 층위부여 = 254
9.3 층위유순가설(Level Ordering Hypothesis) = 258
9.4 유순가설의 문제점 = 261
9.5 제로파생과 강세(Zero Derivation and Stress) = 263
9.6 음운규칙과 계층이론 = 265
Glossary = 269
참고문헌 = 297
찾아보기 =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