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2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681342 | |
005 | 20100806064916 | |
007 | ta | |
008 | 001207s1999 ulk 001a kor | |
020 | ▼a 8988791193 ▼g 94700 : ▼c \17000 | |
020 | 1 | ▼a 8988791002(세트)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72346 ▼f 개가 ▼l 111172347 ▼f 개가 ▼l 111172348 ▼f 개가 |
082 | 0 4 | ▼a 410.1 ▼2 21 |
090 | ▼a 410.1 ▼b 1999 | |
245 | 0 0 | ▼a 최소주의 이론의 이해 = ▼x Understanding the minimalist program / ▼d 강명윤...[등저]. |
260 | ▼a 서울 : ▼b 아르케 , ▼c 1999. | |
300 | ▼a 354 p. ; ▼c 24 cm. | |
490 | 0 0 | ▼a 대우학술총서 공동연구 ; ▼v 440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
700 | 1 | ▼a 강명윤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111723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111723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111723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511126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111723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111723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111723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10.1 1999 | 등록번호 1511126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의 `최소주의`를 연구한 논문을 모았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어렵다고 알려진 촘스키의 <최소주의> 4장을 쉽게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80년대 촘스키는 원리 매개변항 이론을 확립한 바 있다. 이후 새로운 이론적 모색을 하는 가운데 그는 <최소주의>의 출간을 통해 앞의 이론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소주의>중 4장은 기존의 몇몇 원리 및 개념을 폐기 및 해체하여 아주 새로운 내용의 원리이론을 제시한 것이다.
공저자들은 <최소주의> 4장이 기존의 원리이론과 다른 면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단절의 측면보다는 연속의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다. 곧 양자의 어떤 면이 닿아 있으며, 기존의 원리 매개변항 이론의 원리들이 최소주의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들은 먼저 최소주의 개관을 통해 최소주의가 언어에 대해 갖는 기본적인 생각 및 가정이 무엇인가를 소개하였다. 최소주의에서 부각되는 자실(featere), 어휘부, 이동, 어순 등을 고찰하고, 그 이전의 이론과 말이 달라진 구조 이론 및 문장 구조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최소주의적 발상에서 아주 중요한 언어라는 능력이 인간의 다른 능력과 접한다는 점에서 접합면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앞으로 논의해야할 부분들을 제기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명윤(지은이)
1981년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1985년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석사, 1988년 미국 MIT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언어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어 통사론의 제 문제>, <최소주의 이론의 이해>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촘스키 언어학 사전>, <영어와 한국어의 통사구조 연구>외 다수가 있다.
문귀선(지은이)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명예교수 대표 논저: On the Validity of the Skolemized Choice Function Approach to small pro anaphora in Korean(2019), A Non-Isomorphism Approach to Null Argument Anaphora in Korean (2015), 영논항의 속성 재조명(2010), 저서 ??형식의미론 입문??(2011)
박갑용(지은이)
Univ.of North Carolina의 언어학 박사이며 현재 남서울 대학교 영어과 교수이다. 수원 원천침례교회와 중앙기독초중학교 그리고 BELL(성경적교육실천운동)에서 교육분야의 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안성호(지은이)
한양대학교 영어교육과 부교수.
이숙희(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영문학부 부교수이다.
김선웅(지은이)
광운대학교 영문학과 부교수.
최기용(지은이)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한국어에서 형용사 구하기」(2019), 「피동 구문의 VP periphery」(2018), 「피결속-변항 대명사로서의 ‘자기’」(2014), 「한국어 격과 조사의 생성 통사론」(2009)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최소주의 : 개관 1 최소주의의 궁극적인 질문 및 지침 = 18 2 언어에 대한 기본 구상 : 최소주의의 기본 가정 및 개념들 = 21 3 연산 체계 = 30 4 마무리 = 38 더 읽을 거리 = 38 참고문헌 = 39 제2장 자질 이론 1 자질의 종류 및 형식 자질 = 44 2 형식 자질의 강약성 = 47 3 자질의 이동과 점검 = 55 4 형식 자질의 해석가능성과 이동원리 = 62 5 자질의 삭제 및 제거 = 68 6 자질 불일치 = 72 7 일치소의 설정 및 제거 = 74 더 읽을 거리 = 80 참고문헌 = 81 제3장 최소주의 이론에서의 어휘부 1 들어가기 = 83 2 어휘부의 구조와 어휘의 정보 = 85 3 어휘부와 언어 변이 = 91 4 파생과 굴절 = 93 5 어휘의 선택과 연산 = 95 6 마무리 = 97 더 읽을 거리 = 98 참고문헌 = 99 제4장 최소주의 이론에서의 통상구조 1 들어가기 = 101 2 구절구조의 형성 : 병합과 이동 = 108 3 관련된 몇 가지 개념 : 항, 부가, 지정어, 보충어 = 111 4 최소주의 이론에서의 기본적인 통사구조 = 113 5 영역의 정의 = 117 6 Agr의 제거와 다중 지정어 구조 Multiple Spec Constructions = 123 7 마무리 = 125 더 읽을 거리 = 126 참고문헌 = 126 제5장 이동 규칙과 자질 이동 1 서론 = 129 2 이동의 동기 = 130 2.1 이동의 필요성 = 130 2.2 이기원리의 재해석 = 132 2.3 이동과 의미역 이론 = 135 3 이동의 대상 = 137 4 내현적 이동의 논항적 성격 = 138 5 이동의 제약 및 특성 = 141 5.1 사슬 균일성 조건 = 141 5.2 최소고리조건 = 142 5.3 유인·이동 = 145 5.3.1 자질 유인 = 145 6 이동과 관련된 문제들 = 152 6.1 중간 흔적 = 152 6.2 핵이동조건의 문제 = 157 더 읽을 거리 = 158 참고문헌 = 158 제6장 이동과 관련괸 몇 가지 가정 1 목표물의 투사 = 161 2 구조 보존 가설 = 170 3 확장 조건과 엄밀 순환 조건적 효과 = 175 3.1 Chomsky(1993)에서의 논의 = 176 3.2 Chomsky(1995 : 4장)에서의 논의 = 181 4 마무리 = 183 더 읽을 거리 = 184 참고문헌 = 185 제7장 최소주의 이론에서의 어순 1 들어가기 = 187 2 기본 어순의 도출 = 188 3 동사의 이동 : 영어 대 프랑스어 = 195 4 SVO(SOV) 언어 대 VSO 언어 = 197 5 Kayne(1994) = 200 6 Chomsky(1994, 1995) = 204 7 마무리 = 211 더 읽을 거리 = 211 참고문헌 = 212 제8장 허사 구문 분석 1 영어 허사 it과 there의 차이 = 215 2 최소주의 이전의 분석 = 218 2.1 격전이 분석 = 218 2.2 부분격 분석 = 220 3 최소주의에 따른 분석 = 226 3.1 이기원리 = 226 3.2 계몽괸 이기성 = 229 3.3 순수 허사 = 234 3.4 허사와 경제성 = 236 3.5 허사 구문의 구조 = 241 3.5.1 허사의 위치 = 243 3.5.2 한정성 효과 = 246 3.5.3 다중 주어 구문 = 248 3.5.4 비대격 허사 구문 = 253 4 요약 = 254 더 읽을 거리 = 255 참고문헌 = 256 제9장 접합면 1 마음·두뇌의 조합성 = 259 2 접합면 : 역사적 고찰 = 262 3 접합면 표상 층위들 = 264 3.1 조음-감지 접합면 = 264 3.2 개념-의도 접합면 = 265 3.3 어휘부 접합면 = 266 4 접합면 조건 = 269 4.1 완전해석원리의 역사적 발전 양상 = 269 4.2 필수 출력 조건 = 275 5 연산 체계에 대한 접합면 조건의 영향 = 280 5.1 구절구조 이론 = 280 5.2 변형 이론 : 이동 및 삭제 = 282 5.2.1 이동과 필수 출력 조건 = 282 5.2.2 삭제와 필수 출력 조건 = 286 5.3 배번집합의 결정과 필수 출력 조건 = 293 5.4 결속 이론 = 294 5.5 격 이론과 자질 점검 이론 = 295 5.6 의미역 이론 = 295 6 접합면 해석의 빈약성 = 301 7 결언 = 303 더 읽을 거리 = 303 참고문헌 = 305 제10장 Chomsky(1995)의 몇 가지 문제 1 기존의 S-구조 조건 = 310 1.1 법의 표시 mood indication[69] = 310 1.2 주술관계 조건 predication condition[71] = 311 1.3 기생 공범주 인허[75] = 312 1.4 재생성과 구조 보존 가설[78] = 314 2 D-구조와 관련된 문제 = 317 3 해석에 대한(표면구조 효과) = 318 4 전위 속성 = 318 5 최후수단원리 밖의 전위 현상 = 321 6 양화사 인상의 문제 = 321 7 지배 = 325 8 결언 = 330 더 읽을 거리 = 331 참고문헌 = 331 영한 용어 대조표 = 337 찾아보기 =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