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고고학 방법론 서설
Ⅰ. 머리말 = 19
Ⅱ.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방법론 = 20
1. 편년법 = 22
2. 편년 이외의 방법 = 26
3. 제방법의 문제점 = 28
Ⅲ. 방법론의 체계 = 30
1. 형식분류 = 31
2. 과학적 분석 및 자연유물의 분석 = 32
3. 편년법 = 34
4. 공간성의 연구 = 35
5. 통계적 분석 = 37
6. 자료의 해석 및 고고학 이론 = 38
Ⅳ. 맺음말 = 42
제2장 형식학적 방법의 검토
Ⅰ. 머리말 = 47
Ⅱ. 몬텔리우스의 약력 = 47
Ⅲ. 형식학적 방법의 내용 = 48
Ⅳ. 형식학적 방법의 영향 = 53
1. 일본 = 53
2. 한국 = 56
Ⅴ. 형식학적 방법의 문제점 = 59
제3장 방사성탄소연대 문제의 검토
Ⅰ. 머리말 = 65
Ⅱ. C^14연대측정법에 대한 종래의 인식 = 67
Ⅲ. C^14연대측정법의 검토 = 70
1. 기본이론 = 70
2. 측정방법 = 74
3. C^14연대의 편차수정 = 76
4. 시료의 취급방법 = 82
5. C^14연대의 의미 = 86
Ⅳ. C^14연대가 편년에 미친 영향 = 89
1. 유럽 = 89
2. 일본 = 91
3. 중국 = 93
Ⅴ. C^14연대와 한국고고학 = 97
1. 편년과 시대구분 = 97
2. C^14연대에 의한 선사시대의 편년 = 100
Ⅵ. 맺음말 = 107
제4장 고고학과 연대문제
Ⅰ. 머리말 = 119
Ⅱ. 연대결정법의 성격 = 120
1. 상대연대결정법 = 121
2. 절대연대결정법 = 123
Ⅲ. 각 시대의 연대결정과 문제점 = 125
1. 구석기시대 = 125
2. 신석기시대 = 127
3. 청동기시대 = 128
4. 철기시대 = 132
5. 삼국시대 = 133
Ⅳ. 연대결정의 원칙 = 135
Ⅴ. 맺음말 = 141
제5장 화산회층의 연구
Ⅰ. 머리말 = 145
Ⅱ. 화산회의 개념과 종류 = 146
1. 화산회의 개념 = 146
2. 화산회의 종류 = 149
3. 화산회의 구분법 = 154
Ⅲ. 남해안지역에서의 화산회층 = 156
Ⅳ. 한국고고학과 화산회층 = 160
Ⅴ. 맺음말 = 165
제6장 통계적 분석
Ⅰ. 머리말 = 169
Ⅱ. 고고학에 있어서 통계적 방법의 도입 = 170
Ⅲ. 통계적 방법 = 174
1. 통계적 방법의 필요성과 기본용어 = 174
2. 통계적 기법 = 178
3. 통계적 방법의 응용 = 195
Ⅳ.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통계적 분석의 적용 = 195
1. C^14연대의 통계적 의미 = 197
2. 송국리주거지의 통계적 분석 = 199
3. 마제석촉의 통계적 분석 = 201
Ⅴ. 통계적 분석의 문제점 = 203
Ⅵ. 맺음말 = 205
제7장 시대구분론
Ⅰ. 머리말 = 211
Ⅱ. 연구사 = 212
Ⅲ. 시대구분의 개념과 명칭문제 = 220
Ⅳ. 각 시대의 연대문제 = 226
1. 구석기시대와 중석기시대 = 226
2. 신석기시대 = 227
3. 청동기시대 = 228
4. 철기시대 = 229
5. 삼국시대 = 230
Ⅴ. 맺음말 = 231
제8장 전파론적 해석의 검토
Ⅰ. 머리말 = 235
Ⅱ. 전파론의 검토 = 236
1. 전파론의 내용 = 236
2. 전파론의 문제점 = 240
Ⅲ.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전파론적 해석 = 242
1. 전파론적 해석의 사례 = 242
2. 전파론적 해석의 문제점 = 245
Ⅳ. 전파론의 등장배경과 극복 = 247
1. 전파론의 등장배경 = 247
2. 전파론의 극복 = 250
Ⅴ. 맺음말 = 257
제9장 문화의 개념
Ⅰ. 머리말 = 261
Ⅱ. 유형과 문화유형 = 262
Ⅲ. 문화의 개념 = 267
Ⅳ. 고고학적 단위의 위계적 분류 = 278
Ⅴ. 맺음말 = 284
제10장 문화의 복원
Ⅰ. 머리말 = 289
Ⅱ. 문화 복원의 개념 = 290
Ⅲ. 문화 복원의 방법론과 실례 = 294
1. 문화 복원의 방법론 = 294
2. 문화 복원의 실례 = 297
Ⅳ. 문화 복원의 과정 = 306
1. 문화를 복원하는 목적의 수립 = 306
2. 관련된 모든 자료의 수집과 분석 = 307
3. 고고학적 이론에 의한 모델의 설정 = 309
4. 유추의 활용 = 313
5. 논리의 객관성 유지 = 314
Ⅴ. 맺음말 = 319
참고문헌 = 321
색인 = 351
영문목차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