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21C 영어교육

21C 영어교육 (4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정렬
서명 / 저자사항
21C 영어교육 = English education / 김정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홍릉과학출판사 ,   2000.  
형태사항
595 p. : 삽도 ; 26 cm.
기타표제
내용, 방법 및 매체를 중심으로 본
ISBN
8972831727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포함
000 00681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80840
005 20100806064039
007 ta
008 001204s2000 ulka 001a kor
020 ▼a 8972831727 ▼g 03000 : ▼c \19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73158 ▼f 개가 ▼l 111173159 ▼f 개가 ▼l 111173160 ▼f 개가
082 0 4 ▼a 420.71 ▼2 21
090 ▼a 420.71 ▼b 2000
100 1 ▼a 김정렬 ▼0 AUTH(211009)52665
245 1 0 ▼a 21C 영어교육 = ▼x English education / ▼d 김정렬 지음.
246 0 3 ▼a 내용, 방법 및 매체를 중심으로 본
260 ▼a 서울 : ▼b 홍릉과학출판사 , ▼c 2000.
300 ▼a 595 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포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1 2000 등록번호 1111731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1 2000 등록번호 1111731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1 2000 등록번호 1111731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정렬(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학을 전공했으며, 하와이대학교에서 응용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초등교육과에 재직 중이며, Korea TESOL 회장/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영어다독학회 KEERA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웹 기반 영어교육』, 『ICT활용 영어교육』,『한국영어교육사』등 저서는 문화체육부와 학술원의 우수 학술도서로 지정되었다. 영어교육과정, 영어 교과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및 기획, 영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작업등에 참여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언어학과 영어교육
 제1장 구조주의 언어학과 영어교육 = 17
  1.1 구조주의 = 17
   1.1.1 역사비교언어학 = 17
   1.1.2 유럽 구조주의 = 18
   1.1.3 미국 구조주의 = 21
   1.1.4 구조문법의 과학적 접근 = 26
   1.1.5 구조주의 언어학의 구 분석 = 29
   1.1.6 직접 구성성분(Immediate constituent) = 31
   1.1.7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과 구조문법의 특징 및 약점 = 32
  1.2 구조중심 영어 교수법 = 34
   1.2.1 구화식 교수법(Oral Method) = 34
   1.2.2 상황적 영어교수법(Situational Language Teaching) = 37
   1.2.3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 39
   1.2.4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 44
 제2장 의사소통능력과 영어교육 = 47
  2.1 언어능력 = 47
   2.1.1 Chomsky의 정의 = 48
   2.1.2 언어능력의 창조성 = 49
  2.2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51
   2.2.1 외국어 교수 - 학습에서의 의사소통능력 = 54
   2.2.2 외국어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 59
  2.3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방법론 = 61
   2.3.1 Rivers의 방법론 = 61
   2.3.2 Paulston과 Bruder의 방법론 = 63
   2.3.3 Brumfit과 Johnson의 방법론 = 64
   2.3.4 의사소통적 언어교수(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 66
 참고문헌 = 68
제2부 학습이론과 영어교육
 제3장 행동주의와 영어교육 = 73
  3.1 행동주의 심리학 = 73
   3.1.1 Thorndike의 결합주의(Connectionism) = 73
   3.1.2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 74
   3.1.3 Watson의 단어 형성 이론 = 75
   3.1.4 Skinner의 작동 조건화 학습이론 = 76
   3.1.5 행동주의의 한계점 = 78
  3.2 행동주의의 교육법칙과 기법들 = 80
   3.2.1 연습의 법칙 = 80
   3.2.2 반복의 법칙 = 80
   3.2.3 분산의 법칙 = 81
   3.2.4 부분의 법칙 = 82
   3.2.5 강화의 법칙 = 83
   3.2.6 전이의 법칙 = 85
   3.2.7 일반화의 법칙 = 88
   3.2.8 기억화의 법칙 = 88
  3.3 행동주의와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 90
   3.3.1 행동주의의 영향 = 90
   3.3.2 청화식 교수법의 장점 = 92
   3.3.3 청화식 교수법의 문제점 = 92
   3.3.4 청화식 교수법의 쇠퇴 = 93
 제4장 발달 심리학과 영어교육 = 95
  4.1 발달과 발달심리학 = 95
   4.1.1 발달심리학의 성격 = 95
   4.1.2 발달심리학의 연구영역 = 96
   4.1.3 발달심리학의 내용과 구성 = 96
   4.1.4 발달심리학의 이론적 접근 = 97
  4.2 Piaget의 이론과 발달 단계 = 98
   4.2.1 평형화(equilibration) = 99
   4.2.2 인지구조 = 100
   4.2.3 인지발달 단계 = 101
  4.3 언어와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 102
   4.3.1 아동기 언어발달 특성 = 102
   4.3.2 언어발달의 이론적 접근 = 103
   4.3.3 언어발달 단계 = 104
   4.3.4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 109
  4.4 발달심리학과 관련된 이론들 = 112
   4.4.1 인지발달과 자연 교수법 = 112
   4.4.2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영어 어휘 습득에 관한 연구 = 115
   4.4.3 Chomsky의 문법의 성장에 관한 견해 = 117
 제5장 인지적 접근과 영어교육 = 119
  5.1 인지 발달과 언어습득 = 119
   5.1.1 두뇌 발달 = 119
   5.1.2 인지 발달 단계 = 120
  5.2 언어습득 이론 = 121
   5.2.1 습득과 학습이론 = 121
   5.2.2 Chomsky의 언어습득 이론 = 123
   5.2.3 언어습득 이론의 생물학적 근거 = 123
   5.2.4 인지학설(Cognitive-field theories) = 125
   5.2.5 Ausubel의 유의적 학습 이론과 체계적 망각 = 128
  5.3 Chomsky의 언어 이론 = 131
  5.4 인지적 접근과 영어교육 = 133
   5.4.1 인지적 접근과 인본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 133
   5.4.2 인지적 접근이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 134
  5.5 관련 교수법 = 135
   5.5.1 인지적 교수법 = 135
   5.5.2 경험학습 = 143
   5.5.3 총체적 언어학습 = 146
   5.5.4 과제 수행형 교수법 = 149
 제6장 인본주의 학습이론 = 153
  6.1 인본주의(Humanity) = 153
   6.1.1 인본주의적 접근(Humanistic approach) = 154
  6.2 인본주의적 접근과 언어교육 = 155
   6.2.1 언어교수법에 있어서 인본주의적 접근 = 156
   6.2.2 교육과정 속에서의 인본주의적 접근 = 162
   6.2.3 우리나라 언어교육 현장에서의 인본주의적 접근 = 166
 제7장 책략과 스타일 = 171
  7.1 영어 학습 과정 = 172
   7.1.1영어 학습 과정과 유형 = 172
  7.2 언어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 173
   7.2.1 인지적 요인들(cognitive factors) = 173
   7.2.2 정의적 요인들 = 175
   7.2.3 사회 문화적 요인들 = 178
  7.3. 학습책략에 관한 연구 = 180
   7.3.1 학습책략의 분류와 정의 = 184
   7.3.2 학습책략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89
   7.3.3 학습책략의 지도 = 192
   7.3.4 학습책략의 훈련 = 194
   7.3.5 학습책략의 제시 방법 = 195
   7.3.6 학습책략 지도시 고려해야 할 요인 = 196
   7.3.7 학습책략의 지도 방법 = 198
   7.3.8 학습책략 중심 수업의 특성 및 절차 = 204
  7.4 영어 학습과 의사소통책략 = 207
  7.5 초등 학생들의 영어 학습책략 = 210
   7.5.1 Vertriglia의 외국어 학습책략 = 211
   7.5.2 초등학생들의 담화책략 = 213
 참고문헌 = 219
제3부 언어학습과 습득
 제8장 언어의 이해 기능 = 231
  8.1 듣기 및 읽기 지도의 필요성 = 231
  8.2 듣기 지도 = 233
   8.2.1 듣기 우선 학습의 장점 = 233
   8.2.2 듣기가 다른 언어 학습에 미치는 전이 효과 = 234
   8.2.3 듣기학습의 특징 = 235
   8.2.4 청취 이해활동 및 교재모형 = 236
   8.2.5 듣기학습 방안 = 238
   8.2.6 듣기교육 방법론 = 239
   8.2.7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듣기교육 = 241
   8.2.8 청취력 저해요소 = 242
   8.2.9 효율적인 청취력 연습 및 지도 방안 = 243
   8.2.10 청취지도를 위한 제언 = 244
  8.3 읽기 지도의 실제 = 246
   8.3.1 읽기의 개념 = 246
   8.3.2 읽기의 과정 = 247
   8.3.3 영어 읽기 지도 = 250
 제9장 언어의 표현 기능 = 259
  9.1 말하기 지도 = 259
   9.1.1 말하기의 특성 = 259
   9.1.2 말하기 기능 = 261
   9.1.3 말하기 지도의 내용 = 262
   9.1.4 단계별 말하기 지도 = 265
   9.1.5 말하기 지도의 책략 = 269
   9.1.6 말하기 활동의 구성 = 271
   9.1.7 말하기 활동 유형 = 273
  9.2 쓰기 지도 = 288
   9.2.1 쓰기(Writing)의 특성 = 288
   9.2.2 쓰기 지도 = 292
   9.2.3 쓰기 과정 = 294
   9.2.4 단계별 쓰기 지도 = 295
   9.2.5 쓰기 지도시 유의사항 = 300
   9.2.6 쓰기 활동 유형 = 302
 제10장 제1언어 습득 = 313
  10.1 음성 체계 습득 = 314
  10.2 문법적 형태소 습득 = 315
  10.3 구문 습득 = 317
   10.3.1 초기 어휘 발달의 양적 팽창 = 317
   10.3.2 초기 발달 어휘의 종류 = 318
   10.3.3 유아 어휘 발달의 특징 = 321
   10.3.4 초기 어휘 발달 이론 = 323
 제11장 제2언어 습득 = 329
  11.1 제2언어습득 이론 = 330
  11.2 언어습득에서의 주요 논쟁 = 335
  11.3 자료 분석 = 338
  11.4 중간언어 = 341
 참고문헌 = 349
제4부 매체의 변화와 영어교육
 제12장 시청각 영어교육 = 355
  12.1 시청각 교육 = 355
   12.1.1 시청각 교육의 발달 = 355
   12.1.2 시청각 교육의 의미 = 356
   12.1.3 시청각 교재 = 357
   12.1.4 시청각 교육의 이론 = 360
  12.2 시청각 교수법 = 365
   12.2.1 시청각 교수법의 특징 = 365
   12.2.2 시청각 교수법의 목적 = 366
   12.2.3 시청각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 절차 = 366
 제13장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 373
  13.1 영어과 교수 - 학습 내용의 멀티미디어 컨텐츠화 = 374
   13.1.1 영어과 멀티미디어 컨텐츠 요소 = 374
   13.1.2 멀티미디어 교수 - 학습 코스웨어의 준거 = 375
  13.2 컨텐츠의 개발 및 교수요목의 설계 = 376
   13.2.1 멀티미디어 교수 - 학습 타이틀의 유형 = 378
  13.3 멀티미디어 교수 - 학습 미디어 = 379
   13.3.1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기능 = 380
  13.4 멀티미디어 언어 실습실 = 381
   13.4.1 기존의 언어 실습실 = 382
   13.4.2 멀티미디어 언어 실습실 = 385
  13.5 멀티미디어 교수 - 학습 패러다임 및 코스웨어 = 388
   13.5.1 멀티미디어 교수 - 학습 패러다임 = 388
  13.6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현장 영어교육 = 390
   13.6.1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영어 수업 모형 = 391
   13.6.2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영어 수업 절차 = 394
 제14장 웹기반 영어교육 = 397
  14.1 영어교육 내용의 웹기반 컨텐츠 구성 = 399
   14.1.1 영어교육 웹기반 요소 = 399
   14.1.2 영어교육 컨텐츠의 방향 = 401
   14.1.3 웹기반 멀티미디어 구성 요소들의 통합 = 402
   14.1.4 영어 학습에 쓰일 웹기반 도구 = 404
  14.2 컨텐츠의 개발 및 교수요목의 설계 = 405
   14.2.1 멀티미디어 교수 - 학습 설계의 유형 = 406
   14.2.2 영어과 교수 - 학습 컨텐츠의 개발 절차 = 411
  14.3 웹기반 영어 교수 - 학습 모형 = 418
   14.3.1 웹기반 활용형 교수 - 학습 모형 = 418
   14.3.2 웹기반 제시형 교수 - 학습 모형 = 419
   14.3.3 웹기반 탐구형 교수 - 학습 모형 = 420
  14.4 앞으로의 과제 = 421
 참고문헌 = 423
제5부 영어과 교육과정
 제15장 영어과 교육과정 = 429
  15.1 영어과 교육과정 = 429
  15.2 영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 = 430
  15.3 영어과 교수요목(Syllabus) = 433
   15.3.1 문법중심 교수요목(grammatical structural syllabus) = 433
   15.3.2 상황중심 교수요목(situational syllabus) = 433
   15.3.3 의미 기능 중심 교수요목(notional-functional syllabus) = 434
  15.4 앞으로의 과제 = 436
 제16장 제6차 교육과정 = 439
  16.1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 440
   16.1.1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제정의 배경 = 440
   16.1.2 제6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주요 내용 = 440
   16.1.3 제6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중점 = 448
  16.2 제6차 중·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 450
   16.2.1 제5차와 비교한 제6차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 450
   16.2.2 제6차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 454
 제17장 제7차 교육과정 = 459
  17.1 수준별 교육과정 = 459
   17.1.1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의 = 459
   17.1.2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 = 460
   17.1.3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 461
  17.2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 464
   17.2.1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 464
   17.2.2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 465
   17.2.3 초등학교 영어과의 성격 = 466
  17.3 영어과 목표 및 내용 = 468
   17.3.1 영어과의 목표 = 468
   17.3.2 영어과의 내용 = 471
   17.3.3 학년 / 단계별 성취 기준 = 472
  17.4 효과적인 교수 - 학습 방법 = 476
   17.4.1 총체적 언어교수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원리 = 476
   17.4.2 효과적인 영역별 지도방법 = 477
  17.5 영어과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방안과 한계 = 481
  17.6 제6차 교육과정에 비춰본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 484
 참고문헌 = 489
제6부 영어과 평가
 제18장 기능과 요소 중심 평가 = 493
  18.1 구성 요소로 본 의사소통능력의 정의와 평가의 변화 = 494
  18.2 평가의 목적 = 498
  18.3 평가 방법 = 499
   18.3.1 제6차 교육과정의 평가지침 = 499
   18.3.2 제7차 교육과정의 평가지침 = 499
  18.4 평가의 구비 요건 = 502
   18.4.1 타당성 = 502
   18.4.2 신뢰성 = 502
   18.4.3 객관성(objectivity)과 실행가능성(practicability) = 503
  18.5 기능별 평가 = 504
   18.5.1 듣기 이해 시험 = 505
   18.5.2 말하기 시험 = 506
   18.5.3 읽기와 쓰기 시험 = 508
  18.6 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 510
   18.6.1 정의적 특성 평가의 전제 = 510
   18.6.2 정의적 특성을 수집하는 방법 = 510
  18.7 평가 결과의 처리 및 활용 = 511
 제19장 의사소통능력 중심 평가 = 513
  19.1 의사소통적 영어 능력 평가의 발달사 = 514
   19.1.1 과학 이전 시기 = 514
   19.1.2 측정이론·구조주의 언어학 시기 = 514
   19.1.3 통합적·사회언어학적 시기 = 515
  19.2 용어의 정의 = 516
   19.2.1 수행(Performance) = 516
   19.2.2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516
  19.3 언어 숙달도(Proficiency) = 517
   19.3.1 유창성 개념의 변화 = 519
   19.3.2 언어수행과 유창성의 문제 = 519
   19.3.3 언어 숙달도 사용 능력 등급 기준 = 525
 제20장 수행평가와 영어교육 = 549
  20.1 수행평가의 의미 = 550
  20.2 수행평가의 방법 = 551
   20.2.1 수행평가의 종류 = 553
   20.2.2 언어기능별 수행평가의 방법 = 564
  20.3 수행평가의 시행 방법 및 절차 = 567
  20.4 수행평가의 기준 = 571
  20.5 수행평가에 있어서 질 관리 문제 = 572
  20.6 평가 결과의 활용 = 574
참고문헌 = 577
인명색인 = 581
용어색인 = 58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