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ⅰ
들어가기전에 = ⅴ
Chapter1 Unix의 소개 = 1
유닉스 언어 = 4
운영체제 = 5
유닉스는 하나의 특정 운영체제를 지칭한다 = 6
유닉스는 운영체제군을 지칭한다 = 6
무료 유닉스 시스템 = 8
유닉스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 9
Chapter2 Unix의 시작
사용자명과 패스워드 = 13
로그인(유닉스로 작업 시작하기) = 14
로그인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 15
작업의 시작점 : 쉘 프롬프트 = 16
로깅아웃(유닉스 작업 마치기) : logout, exit = 17
유닉스는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 19
간단한 유닉스 작업 예 = 20
패스워드 변경하기:passwd = 22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사용자명과 터미널 보기 : last = 23
Chapter3 Vi편집기 = 25
어느 편집기를 사용해야 하는가 = 27
ⅵ 시작하기 = 28
명령모드와 입력 모드 = 28
읽기 전용으로 Vi사용하기 : -R옵션, view = 31
시스템다운 때 데이터 복구하기 : -r옵션 = 31
ⅵ 마치기 = 32
ⅵ의 화면을 사용하는 방법 = 33
ⅵ 사용하기와 ex명령 = 34
ⅵ 명령어를 배우는 전략 = 36
커서 이동하기 = 37
편집버퍼에서 이동하기 = 41
패턴 검색하기 = 42
줄에 번호를 붙이자 = 44
데이터를 편집버퍼에 입력하기 = 46
편집버퍼에서 내용 수정하기 = 49
패턴에 의한 치환하기 = 52
변경사항을 취소및 반복하기 = 56
대소문자 변경하기 = 57
줄길이 조정하기 = 58
데이터를 편집버퍼에서 삭제하기 = 60
마지막으로 삭제한 것을 복사하기 = 63
줄 복사 및 이동하기 = 66
쉘 명령 입력하기 = 67
데이터를 편집버퍼에서 읽기 = 68
데이터 처리를 위한 쉘 명령 사용하기 = 70
데이터를 파일에 쓰기 = 72
편집하고 있는 파일 변경하기 = 73
약어 사용하기 = 74
ⅵ초기화를 위한 .exrc파일 사용하기 = 75
Chapter4 간단한 프로그램 사용하기 = 77
시간과 날짜 보기 : date = 79
달력 보기 : cal = 80
내장된 계산기 : bc = 82
사용하기 = 82
변수 사용하기 : bc = 85
Chapter5 통신 하기 = 87
로그인 한 사용자명 보기 : users = 89
로그인 한 사용자 정보 보기 : who = 89
지역 네트워크로 로그인 한 사용자 정보 보기 : rwho = 90
사용자명에 대한 정보 보기 : finger = 92
다른 시스템 사용자 정보 보기 : finger = 93
컴퓨터의 상태 체크하기 : ping = 94
다른 사람과 대화하기 : talk = 95
Chapter6 E-메일 = 99
유닉스 메일 프로그램 = 101
mail프로그램 = 102
메일 보내기 = 103
메시지의 제목(supject) = 104
메시지의 입력 = 105
메시지 전달 확인 = 106
도착한 메일 확인하기 = 107
elm메일 프로그램 = 109
elm메일 읽기 = 110
elm을 사용해서 메시지 보내기 = 110
메일 답신하기 = 112
메시지 삭제하기 = 113
메시지 저장하기 = 114
메일 다시보내기 = 115
유닉스 명령어 사용하기 = 115
Chapter7 필터 = 119
가장 간단한 필터 : cat = 121
파일 합치기 : cat = 123
각 줄에서 선택된 부분만 뽑아내기 : cut = 124
특정한 패턴에 속하는 줄만 뽑어내기 : grep = 127
데이터 항목 합치기 : paste = 131
데이터 정렬 및 합치기 : sort = 133
선택한 문자 삭제 및 옮기기 : tr = 138
줄, 단어. 문자 헤아리기 : wc = 141
명령어 치환하기 : test = 143
Chapter8 파일 보기 = 145
파일이란 무엇인가 = 174
세 가지 유형의 유닉스 파일 = 148
문서파일, 2진 파일, 비트&바이트 = 149
문서 파일과 2진 파일의 기술적 차이점 = 150
디렉토리와 서브 디렉토리 = 151
유닉스 파일 시스템은 나무구조 = 152
/(루트) 디렉토리 = 154
dev 디렉토리에 있는 특수 파일 이용 = 155
/usr 디렉토리 = 157
홈(home) 디렉토리 = 157
파일보기 : pg = 158
Chapter9 디렉토리 명령 = 163
디렉토리 이동하기 : cd, pwd = 165
새로운 디렉토리 만들기 : mkdir = 167
디렉토리 삭제하기 : rmdir = 170
디렉토리 이동 및 이름 변경하기 : mv = 172
디렉토리 내용 보기 : Is -rCFR1 = 173
디스크 공간 유지하기 : Is -s = 176
.파일(숨겨진 파일) : Is -s = 177
Is를 사용한 유용한 별명 사용하기 = 177
Chapter10 파일 작업하기 = 181
파일 복사하기 : cp = 183
다른 디렉토리로 파일 복사하기 : cp = 184
다른 디렉토리로 디렉토리 복사하기 : cp -r = 185
파일 삭제하기 : rm = 186
잘못된 파일 삭제 방지하기 : rm -if = 187
모든 서브 디렉토리 삭제하기 : rm -r = 189
파일 찾기 : find = 191
파일 사용 권한 = 193
파일 권한 관리 = 194
파일 권한 알아보기 : Is-Ⅰ = 195
파일 모드 = 197
파일 권한 변경하기 : chmod = 198
파일 비교 : cmp = 199
줄 단위 파일 비교 : diff = 200
Chapter11 쉘 = 201
쉘 = 203
Bourne-쉘 = 204
C-쉘 = 205
쉘의 선택 = 206
쉘 변경하기 = 207
기본 쉘 변경하기 = 207
표준 입력과 표준 출력 = 208
표준 출력의 리다이렉션 = 210
리다이렉션에 의한 오류 조작 방지 = 210
파이프라인(pipelines) = 212
표준 입력의 리다이렉션 = 213
파이프라인의 분리 : tee = 215
Chapter12 C-쉘 사용하기 = 217
쉘 변수 : set, unset = 219
값을 저장하는 쉘 변수 : set, echo = 220
환경 변수 : setenv, printenv = 222
환경 변수와 쉘 변수의 연결 = 224
쉘의 내장 명령 = 225
탐색 경로 = 226
쉘 프롬프트 = 228
히스토리 치환 기능의 설정 : history = 229
히스토리 치환 기능의 사용 = 232
히스토리 치환 기능의 예 = 234
명령어에 별명 사용하기 = 236
별명에서 인수의 사용 = 237
별명 사용의 예 = 238
엉뚱한 파일 지우는 것을 방지 = 239
초기화 파일과 종료 파일 : .cshrc, .login, .logout = 240
쉘 스크립트 = 242
Chapter13 쉘 프로그래밍 = 245
스크립트 작성 = 248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 250
인용 처리 = 250
환경 변수 및 인자 변수 = 252
test와 []구문 = 255
if구문 = 258
elif구문 = 259
for구문 = 261
while구문 = 262
until구문 = 264
case구문 = 265
다중 조건 = 268
and(&&) = 269
or(ll) = 270
함수(fundtion) = 272
break = 275
:(콜론) = 276
contiue = 277
.(마침표) = 278
echo = 278
eval = 279
exec = 279
exit n = 280
export = 281
expr = 282
printf = 283
리턴(return) = 284
Chapter14 인터넷 서비스 = 285
기본 개념 = 287
인터넷의 컴퓨터 : host = 287
파일 전송 프로토콜 : ftp = 290
ftp 명령어 = 292
익명 ftp = 297
익명 ftp 200배 사용하기 = 301
압축 파일의 사용 : compress, uncompress = 302
파일 결합의 사용 : tar = 304
이중 압축 파일의 사용 : uncompress. tar -xvf = 306
원격지 컴퓨터에 로그인하기 : telnet = 307
아키(archie)서비스 = 309
변수의 설정 : archie = 312
실제로 사용하기 : archie = 316
실제의 사용 예 : archie = 319
고퍼(gopher) = 320
고퍼를 이해하자 = 321
고퍼의 아픔(?) = 323
wais의 사용 = 324
Appendix A. 온라인 매뉴얼 = 327
Appendix B. vi 명령어 요약 = 335
Appendix C. 홈페이지 만들기 = 343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