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형사절차와 정보보호

형사절차와 정보보호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단체저자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서명 / 저자사항
형사절차와 정보보호 = Data protection in criminal procedure / 李相暾 著.
발행사항
서울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형태사항
157 p.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95-22
ISBN
897366204X
서지주기
참고문헌 : p.151-154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680458
005 20221128095119
007 ta
008 001130s1996 ulk 000a kor
020 ▼a 897366204X ▼g 93360 : ▼c \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71794 ▼f 개가 ▼l 111171795 ▼f 개가 ▼l 111171796 ▼f 개가
082 0 4 ▼a 342.53085
090 ▼a 342.53085 ▼b 1996
100 1 ▼a 이상돈
245 1 0 ▼a 형사절차와 정보보호 = ▼x Data protection in criminal procedure / ▼d 李相暾 著.
260 ▼a 서울 : ▼b 한국형사정책연구원, ▼c 1996.
300 ▼a 157 p. ; ▼c 25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95-22
504 ▼a 참고문헌 : p.151-154
710 ▼a 한국형사정책연구원 ▼0 AUTH(211009)57934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형사정책연구원) ; ▼v 95-2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2.53085 1996 등록번호 1111717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2.53085 1996 등록번호 1111717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편집부(엮은이)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연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문제상황 = 13
 1. 정보화사회의 양면성 = 13
 2. 정보보호의 법적 계기 = 14
  가.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 14
  나. 국가안전 = 15
  다. 정보보호법형성의 방향 = 16
 3. 연구의 목적 = 17
제2장 정보적 자기결정권 = 19
 1. 정보적 자기결정권의 개념 = 19
  가.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인구조사법에 대한 결정 = 19
  나. 개인정보와 정보적 자기결정권 = 23
 2. 정보적 자기결정권의 내용 = 24
  가. 정보적 자기결정권의 효력 = 24
  나. 방어권으로서 정보적 자기결정권 = 25
  다. 능동적 참여권으로서 정보적 자기결정권 = 25
  라. 결과제거청구권 = 26
 3. 정보적 자기결정권의 실효성확보방안 = 27
제3장 정보보호의 법제화동향 = 29
 1. 정보보호를 위한 선진각국의 입법동향 = 29
  가. 국제적인 입법동향 = 29
   1) 사생활보호와 개인정보의 국제유통에 관한 지침 = 29
   2) 개인정보의 자동처리와 개인정보에 관한 조약 = 34
  나. 미국의 정보보호법제 = 34
   1) 사생활보호법과 개인정보보호원칙 = 34
   2) 컴퓨터연결 및 사생활보호법 = 43
   3) 전자통신사생활보호법 = 44
   4) 금융사생활보호법 = 46
   5) 공정신용보고법 = 49
  다. 독일의 정보보호법제 = 53
   1) 연방정보보호법의 총칙 = 53
   2) 공공기관의 정보처리 = 55
   3) 비공공기관과 공법상의 경쟁기업의 정보처리 = 57
   4) 정보당사자의 권리 = 58
   5) 정보보호감독관 = 59
  라. 프랑스의 정보보호법제 = 62
   1) 정보처리·축적 및 자유에 관한 법률과 정보처리의 규제 = 62
   2) 국가정보처리자유위원회 = 66
    마 영국의 정보보호법제 = 68
   1) 정보보호법과 개인정보처리절차 = 68
   2) 개인기록접근법 = 74
   3) 도청과 통신제한조치법 75
  바. 일본의 정보보호법제 = 76
   1) 전산처리정보의 보호 = 76
   2) 지방조례에 의한 개인정보보호 = 78
 2. 우리나라에서 정보보호를 위한 법제 = 81
  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법 = 81
   1) 공공기관의 개인정보수집과 이용 및 정보제공의 제한 = 82
   2) 정보주체의 열람정정권 = 84
   3) 개인정보보호심의위원회 = 85
  나. 신용정보업과 개인정보보호 85
  다. 성폭력범죄피해자와 개인정보보호 = 88
  라. 형법에 의한 개인정보보호 = 88
 3. 정보보호법의 특성과 구조 = 90
  가. 정보보호의 일반법 = 90
  나. 각영역에 특수한 정보보호법 = 91
  다. 일반법과 특별법의 관계 = 92
  라. 형사절차에서 정보보호의 법제화 필요성 = 92
제4장 형사절차에서 정보보호의 기본원칙 = 95
 1. 형사절차에서 정보보호의 필요성 = 95
  가. 정보보호에 대한 무감각 = 95
  나. 법제화의 불충분 = 96
 2. 비례성원칙 = 97
  가. 비례성원칙의 일반적 의미 = 97
  나. 정보처리의 필요성 = 98
  다. 정보처리의 균형성 = 99
  라. 구체화의 문제 = 102
 3. 공개주의와의 조화 = 103
  가. 공개주의와 정보보호의 대립성 = 103
  나. 공개주의와 정보보호의 친화성 = 104
 4. 목적구속원칙 = 106
  가. 기술적 전보처리의 특징 = 106
  나. 정보수집의 목적과 사용의 일체성 = 107
   다.형사절차에서 목적구속원칙 = 108
제5장 형사절차에서 정보보호의 개별문제 = 111
 1. 예방적 범죄투쟁과 정보보호 = 111
  가. 매스컴이용공개수배 = 111
  나. 검문소 = 113
   1) 검문의 운영현실과 문제점 = 113
   2) 자동차검문의 문제 = 114
  다. 컴퓨터로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는 범죄투쟁활동 = 115
   1) 형사절차에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정보의 보호법규 = 116
   2) 문제점 = 117
  라. 도청 = 118
   1) 도청과 정보적 자기결정권 = 118
   2) 통신비밀보호법의 정보보호 = 118
   3) 문제점 = 122
  마. 출입국관리 및 체류외국인관리 = 123
   1) 출국금지 처분절쯤뽕 정보보호 = 124
   2) 출국자 대한 신원조사와 정보보호 = 126
   3) 외국인출입국의 통제와 정보보호 = 127
   4) 외국인등록 및 외국인동향조사와 정보보호 = 128
  바. 예금계좌추적 = 130
   1) 금융정보의 보호에 관한 법규 = 131
   2) 수사기관의 예금계좌추적 = 132
   3) 문제점 = 133
 2. 공판절차에서 정보보호 = 133
  가. 증거능력제한과 정보보호 = 134
   1) 증거능력제한제도의 지평확대 = 134
   2) 증거능력제한의 법원칙에서 정보적 자기결정권의 보호범위 = 136
   3) 정보보호를 위한 증거능력제한제도의 관찰가능성과 교정가능성 = 139
  나. 공개주의의 정보보호법적 재구성 = 140
   1) 매스컴공개의 배제 = 140
   2) 증인보호와의 조화 = 141
  다. 전과기록활용에 대한 규제 = 142
   1) 전과기록의 관리법제 = 142
   2) 문제점 = 143
제6장 결론 = 145
참고문헌 = 15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