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사회학 제3판

현대 사회학 제3판 (Loan 39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Giddens, Anthony, 1938- 김미숙, 역 김용학, 역 박길성, 역 송호근, 역 신광영, 역 유홍준, 역 정성호, 역
Title Statement
현대 사회학 / 앤터니 기든스 지음 ; 김미숙 [외] 옮김
판사항
제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을유문화사,   1998   (2000)  
Physical Medium
574 p. : 삽화, 도표 ; 23 cm
Varied Title
Sociology (3rd ed.)
ISBN
8932451915
General Note
공역자: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성호  
부록: 기본 개념 풀이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51-566)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ociology
000 01140namcc2200385 c 4500
001 000000680047
005 20140328174051
007 ta
008 001127s1998 ulkad b 001c kor
020 ▼a 8932451915 ▼g 933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171810 ▼f 개가 ▼l 111171811 ▼f 개가
082 0 4 ▼a 301 ▼2 23
085 ▼a 301 ▼2 DDCK
090 ▼a 301 ▼b 2000d
100 1 ▼a Giddens, Anthony, ▼d 1938- ▼0 AUTH(211009)67657
245 1 0 ▼a 현대 사회학 / ▼d 앤터니 기든스 지음 ; ▼e 김미숙 [외] 옮김
246 1 9 ▼a Sociology ▼g (3rd ed.)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을유문화사, ▼c 1998 ▼g (2000)
300 ▼a 574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역자: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성호
500 ▼a 부록: 기본 개념 풀이
504 ▼a 참고문헌(p. 551-566)과 색인수록
650 0 ▼a Sociology
700 1 ▼a 김미숙, ▼e▼0 AUTH(211009)12528
700 1 ▼a 김용학, ▼e
700 1 ▼a 박길성, ▼e
700 1 ▼a 송호근, ▼e
700 1 ▼a 신광영, ▼e
700 1 ▼a 유홍준, ▼e
700 1 ▼a 정성호, ▼e
900 1 0 ▼a 기든스, 앤터니,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111718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5110171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111718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3(Eastern Books)/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211971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510792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510792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51086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111718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5110171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111718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3(Eastern Books)/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211971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510792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510792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01 2000d Accession No. 151086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제3의 길'을 주창한 앤터니 기든스가 쓴 <현대사회학>의 개정 3판. 새로운 자료들과 인종 갈등과 계급구조의 변화 . 식사 장애, 정보 기술의 영향력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등이 포함되었고 신체의 사회학, 매스미디어, 대중 문화, 교육 사회학등이 새롭게 추가되어 급변하는 사회의 다양한 모습들까지 놓치지 않은 사회학 개론서이다.

특히 여성 문제, 전쟁과 군대, 노동, 혁명의 주제를 포함시켜 현대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을 이해하는데 사회학적 연구들이 지니고 있는 유용성을 명쾌하게 보여주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앤서니 기든스(지은이)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인 그는 사회 이론과 계층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다. 독일의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유럽 지성의 쌍벽을 이루며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특히 사회 이론 분야에서 유럽의 지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을 반영한 ‘사회 구조화 이론’으로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이라는 새로운 사회 발전 모델을 주창하였다. 이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끄는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기든스는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는 작업부터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 이론가로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입문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기든스는 혼신의 힘을 다하여 이 책을 계속 보완하며 제8판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은 전 세계 29개 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는데, 기든스 자신이 폴리티(Polity)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를 공동 설립해서 매년 80여 권의 학술 서적을 간행하는 출판인이기도 하다. 영국 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으며(1959),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 영국 레스터대학교 사회학 강사(1961~1970), 케임브리지대학교 강사와 교수(1970~1997)를 거쳐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학장(1997~2003)을 역임했다. 현재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 이론』(1971), 『선진 사회의 계급 구조』(1973), 『사회학 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 비판』(1981), 『민족 국가와 폭력』(1985), 『근대성의 결과』(1990), 『근대성과 자아 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 현대 사회의 성, 사 랑, 에로티시즘』(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 사회 민주주의 쇄신』(1998), 『노동의 미래』(2002)가 있다.

김미숙(옮긴이)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지방화·정보화 시대의 여성』, 『우리 시대 이혼 이야기』(공저), 『21세기 지역사회의 갈길: 청주시의 경우』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생명 공학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 『성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산업 고도화와 한일 여성 노동력 성격 변화」, 「한국 여성 노동력의 성격 변화와 노동 정책: 1960~2000」, 「김대중 정권의 가족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산업 혁명기 여성 노동: 방적업의 경우」, 「참여정부의 가족 정책 성격」, 「중소도시 중년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청주시 경우」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5
제3판 서문 = 7
이 책에 대하여 = 9
제1장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25
 사회학의 범위 : 첫번째 예 = 26
 사회학적 시각을 발전시키는 일 = 27
  사회학 공부 = 29
  의도한 결과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 = 30
 초기의 기원들 = 31
  오귀스트 콩트 = 32
  에밀 뒤르켐 = 32
  카를 마르크스 = 33
  막스 베버 = 35
 현대 사상가들 = 36
  미셸 푸코와 위르겐 하버마스 = 36
 사회학은 과학인가? = 37
 어떻게 사회학이 우리의 삶에 도움을 주는가? = 38
  문화적 차이의 인식 = 38
  정책 효과의 평가 = 39
  자기 계몽 = 39
  사회에서의 사회학자의 역할 = 39
 결론 = 40
  요약 = 41
제2장 문화, 사회와 개인 = 43
 인류 = 44
  진화 = 45
  본능과 생물학적 욕구 = 47
 문화적 다양성 = 49
 문화적 정체성과 인종주의 = 49
 사회화 = 51
  '사회와되지 않은' 어린이 = 51
 유아의 초기 발달 = 53
  인지적 발달 = 53
  유아와 엄마 = 53
  사회적 반응의 발전 = 55
 유아 발달 이론 = 56
  프로이트와 정신 분석학 = 57
  G. H. 미드의 이론 = 59
  이론들 사이의 연관 = 64
 생애 = 65
  어린 시절 = 65
  사춘기 = 66
  성년기 = 67
  노년기 = 68
 세대의 계승 = 68
  요약 = 70
제3장 사회의 유형 = 73
 수렵과 채취 사회들 = 74
  초기 사회들 : 수렵인과 채집인 = 74
  원래는 풍요로운 사회였는가? = 75
 목축과 농경사회 = 76
  목축 사회 = 76
  농경 사회 = 77
 비산업 문명 혹은 전통 국가 = 78
  마야 = 79
  전통 국가의 특징 = 79
 근대세계 : 산업사회 = 80
 제1세계, 제2세계와 제3세계 = 81
  분열의 기원 = 81
  제2세계 사회로서의 소련 = 82
  제2세계의 종언 = 83
  제3세계 사회들 = 84
  제3세계로서의 인도 = 85
  제3세계의 빈곤 = 85
 신흥 공업국 = 86
 오늘날의 사회 변화 : 세계화 = 87
 결론 = 88
  요약 = 89
제4장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일상 생활 = 91
 일상 생활의 연구 = 92
 비언어적 의사 소통 = 94
  얼굴 표정, 몸짓과 감정 = 94
  '얼굴'과 문화 = 96
 사회적 규칙과 말 = 97
  공유된 이해 = 98
  가핀켈의 실험 = 99
  대화의 형식 = 100
  반응 소리 = 101
  잘못 말하기 = 102
 상호 작용에서의 얼굴, 신체의 말 = 103
  마주침 = 104
  경계 = 105
  인상 관리 = 106
  표면 영역과 이면 영역 = 107
  정밀 검사시의 역할 받아들이기 = 108
  개인 영역 = 110
 시간과 공간에서의 상호 작용 = 111
  시계 시간 = 112
 문화적·역사적 관점에서 본 일상 생활 = 113
 미시 사회학과 거시 사회학 = 114
  요약 = 116
제5장 사회적 성과 성성 = 119
 생물학적 성, 사회적 성과 생물학 = 121
  성적 차이 : 자연적인 것인가 사회적인 것인가? = 121
 사회적 성의 사회화 = 124
  부모와 성인들의 반응 = 125
  사회적 성의 학습 = 125
  이야기책과 텔레비전 = 126
  성차별 없는 자녀 기르기의 어려움 = 128
 성 정체감과 성성 : 두 가지 이론 = 129
  프로이트의 사회적 성 발달 이론 = 129
  초도로의 사회적 성 발달론 = 130
 인간의 성성 = 132
  서구 문화에서 성성 = 134
  매매춘 = 138
 결론 : 사회적 성, 성성과 불평등 = 142
  요약 = 142
제6장 신체 : 식사, 질병과 노화 = 145
 신체와 사회 = 148
 식사 장애와 몸 가꾸기 = 149
 신체와 재생산 기술 = 151
  출산 = 151
  유전 공학 = 152
  낙태 논쟁 = 153
 잘 기능하는 신체 : 건강과 질병의 아버지 = 153
 건강과 환경 = 155
 건강과 늙는 것 = 156
  노화의 신체적 효과 = 157
  노화의 미래 = 158
 결론 = 159
  요약 = 160
제7장 가족, 결혼과 개인 생활 = 163
 주요 개념들 = 164
 역사 속의 가족 = 165
  가족 생활의 발달 = 167
 세계 가족 유형의 변화 = 169
  변화의 방향 = 170
 영국의 가족과 결혼 = 171
  전반적 특징 = 171
  발달 경향 = 172
 서구에서의 이혼과 별거 = 173
  이혼의 증가 = 173
  이혼 경력 = 175
  이혼과 자녀 = 176
  편친 가구 = 177
 재혼과 편부모 = 179
  재혼 = 179
  의붓가족 = 180
 가족의 어두운 면 = 183
  성추행 = 183
  가내 폭력 = 187
 대안적인 결혼과 가족 = 189
  공동체 = 189
  동거 생활 = 190
  동성애 부모 가족 = 191
  독신 생활 = 192
 가족 가치에 대한 논쟁 = 193
  요약 = 194
제8장 일탈과 범죄 = 197
 일탈 행위 연구 = 199
  일탈이란 무엇인가? = 199
  규범과 제재 = 201
 범죄와 일탈 이론 = 202
  생물학적 주장 = 202
  심리학적 견해 = 204
  사회와 범죄 : 사회학 이론 = 206
  이론적 결론 = 210
 감옥과 처벌 = 211
  처벌 방식의 변화 = 211
  감옥과 도덕적 교화 = 213
  교도소 시위와 징역형에 대한 대안 = 214
  사형 = 216
 부자와 권력자의 범죄 = 217
  화이트 칼라 범죄 = 217
  정부의 범죄 = 218
 조직 범죄 = 219
 범죄, 일탈 및 사회 질서 = 221
  요약 = 222
제9장 종족과 인종 = 225
 인종 = 226
  소수 집단 = 227
  인종과 생물학 = 228
 편견과 차별 = 229
  사회학적 해석 = 231
 종족적 연대감 : 역사적 관점 = 233
  인종 차별주의의 등장 = 234
 역사적 관점에서의 종족 관계 : 몇 가지 예 = 236
  미국에서의 흑인 민권 = 236
 대륙에서의 종족 관계 = 239
 종족 관계의 미래 발전 = 241
  요약 = 242
제10장 계층화와 계급 구조 = 245
 사회 계층의 체계 = 246
  노예제 = 246
  카스트 제도 = 247
  신분 = 248
  계급 = 249
 현대 시회의 계층 이론 = 250
  카를 마르크스의 이론 = 250
  막스 베버의 이론 = 253
  에릭 올린 라이트의 계급 이론 = 255
  프랑크 파킨 : 베버주의적 접근 = 256
 현대 서구 사회에서의 계급 = 257
  부와 소득에 있어서의 차이 = 258
  계급 체계의 변동 = 263
  사회 계급 분류 = 260
 성과 계층 = 268
  계급 구분과 성 = 268
 사회 이동 = 271
  이동에 대한 비교론적 연구 = 272
  하강 이동 = 274
  사회 이동과 성공 = 274
  사회 이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 = 276
  당신 스스로가 이동할 수 있는 기회는 어떠한가 = 277
 빈곤과 불평등 = 278
  빈곤이란 무엇인가? = 278
  오늘날의 빈곤 = 279
  요약 = 280
제11장 현대 조직 = 283
 조직과 현대 생활 = 284
 조직 이론 = 286
  관료제에 대한 베버의 견해 = 286
  관료제내에서의 공식적 관계와 비공식적 관계 = 288
 관료제를 넘어서 = 291
  일본의 기업들 = 292
 대기업의 영향 = 295
  초국적 기업의 범위 = 296
  초국적 기업의 유형 = 296
  새로운 추세 : 다운 사이징과 분산 = 298
  네트워크로서의 조직 = 298
 기술의 재편과 현대 조직 = 300
 결론 = 301
  요약 = 302
제12장 일과 경제 생활 = 305
 임금 노동과 비임금 노동 = 307
 분업과 경제적 의존성 = 308
  테일러즘과 포디즘 = 309
  포디즘과 테일러즘의 한계 = 311
  저신뢰 체계, 고신뢰 체계와 집단적 생산 = 311
  자동화 = 312
  집단 생산 = 313
  유연 생산 = 313
 직업 체계의 추세 = 314
 노동 조합과 산업 갈등 = 316
  노동 조합의 발달 = 316
  노조는 왜 존재하는가? = 317
  최근의 발전 = 318
  파업 = 320
 여성과 일 = 322
  여성과 작업장 : 역사적 관점 = 322
  일에서의 불평등 = 324
  가사 = 329
 실업 = 330
  실업 분석 = 330
  취업과 실업 = 332
  왜 실업률이 증가해 왔는가? = 333
 일의 미래 = 334
  포트폴리오 노동자 = 334
  일의 중요성 쇠퇴 = 335
제13장 정부, 정치 권력과 전쟁 = 341
 권력과 권위 = 342
 국가의 개념 = 343
 민주주의 = 345
  참여 민주주의 = 346
  군주제와 자유 민주주의 = 346
  자유 민주주의의 확대 = 347
  민주주의의 문제 = 348
 서구 국가들에서의 정당과 투표 행위 = 349
  정당 체계 = 349
  영국에서의 정당과 투표 = 351
 여성들의 정치 참여 = 354
  투표 유형과 정치적 태도 = 354
 전지구적 영향력 = 357
  유럽 공동체와 새로운 유럽의 지도 = 357
  동유럽의 변화 = 360
 전쟁과 군대 = 363
  제한전에서 전면전으로 = 363
  군사비 지출과 냉전 = 364
  무기 거래 = 364
  전쟁과 세계 안전 = 365
 전쟁 없는 세상이 가능한가? = 366
  요약 = 367
제14장 매스 미디어와 대중 문화 = 369
 초기 매스 미디어 : 신문 = 371
  신문 발간 = 372
 텔레비전의 충격 = 373
  공영 방송 = 374
  텔레비전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75
 미디어 이론 = 377
  초기 이론 = 377
  위르겐 하버마스:공공 영역 = 378
  보드리야르 : 초현실의 세계 = 379
  존 톰슨 : 미디어와 현대 사회 = 380
 매체의 세계화 = 383
  뉴스 = 383
  영화, 텔레비전, 광고 및 전자 통신 = 384
  미디어 제국주의 = 385
 미디어 규제 쟁점 = 386
 멀티미디어 = 388
 인터넷 = 390
 결론 = 392
  요약 = 393
제15장 교육 = 397
 문자 해독 능력과 학력의 초기 발달 = 399
 고등 교육 = 400
  국가간 비교 = 400
  영국의 교육 제도 = 401
 성과 교육 제도 = 402
  성과 고등 교육 = 402
 교육과 이론 = 403
  베른슈타인 : 언어 약호 = 403
  볼스와 진티스 : 학교와 산업화된 자본주의 = 405
  일리치 : 숨겨진 교과 과정 = 406
 교육과 문화적 재생산 = 408
  윌리스 : 문화 재생산에 대한 분석 = 409
 교육과 불평등 = 410
  콜먼의 미국 교육 불평등 연구 = 410
  그 이후의 연구서 = 412
 지능과 불평등 = 413
  지능이란 무엇인가? = 414
 교육의 미래 = 415
  교육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 = 415
  교육 기술 = 416
  요약 = 418
제16장 종교 = 423
 종교의 정의 = 423
  종교가 아닌 것 = 424
  종교인 것 = 424
 종교의 다양성 = 426
  토테미즘과 애니미즘 = 426
  유대교, 기독교 및 이슬람교 = 427
  극동의 종교들 = 429
 종교 이론 = 430
  마르크스와 종교 = 431
  뒤르켐과 종교 의식 = 432
  베버와 세계 종교 = 434
  평가 = 436
 종교 조직의 유형 = 437
  베버와 트뢸치 : 교회와 종파 = 437
  베버 : 교파와 소종교 집단 = 437
  평가 = 438
 성과 종교 = 439
  종교적 이미지 = 439
 천년 왕국 운동 = 441
  요하임의 추종자들 = 441
  유령춤 = 442
  천년 왕국 운동의 성격 = 443
 현대 종교의 발전 : 이슬람 종교 = 444
  이슬람 신앙의 발달 = 444
  이슬람과 서구 = 445
 결론 : 종교, 세속화와 사회 변동 = 446
  요약 = 448
제17장 도시와 현대 도시성의 발달 = 451
 전통 도시 = 451
 현대 도시의 특징 = 451
  현대 도시의 발달 : 의식과 문화 = 454
 도시성에 관한 이론 = 456
  시카고 학파 = 456
  도시성과 창조된 환경 = 462
 제3세계의 도시화 = 466
 결론 = 468
  요약 = 469
제18장 혁명과 사회 운동 = 471
 혁명의 정의 = 472
 혁명 이론 = 473
  마르크스의 이론 = 474
  제임스 데이비스 : 왜 혁명이 발생하는가? = 476
  찰스 틸리의 저항 행위 이론 = 477
 군중, 폭동과 다른 형태의 집합 행동 = 480
 사회 운동 = 481
  사회 운동의 분류 = 482
  페미니스트 운동 = 483
 사회 운동과 사회학 = 486
  요약 = 486
제19장 전지구적 변화와 생태 위기 = 489
 변동의 정의 = 490
 사회 운동에 미치는 영향력 = 491
  물리적 환경 = 492
  정치조직 = 492
  문화적 요인 = 493
 근대의 사회 변동 = 494
  경제적 영향력 = 494
  정치적 영향력 = 496
  문화적 영향력 = 496
 현재의 변동과 미래 전망 = 497
  탈공업 사회를 위하여 = 497
  탈현대성(postmodernity)과 '역사의 종언' = 500
 지구 환경의 위협 = 502
  위협의 원천 = 503
 환경 : 사회학적 이슈인가? = 505
 전지구적 변동 : 미래를 향하여 = 505
  요약 = 506
제20장 사회학 이론 = 509
 이론적 접근 = 510
  기능주의 = 511
  구조주의 = 514
  상징적 상호 작용론 = 516
  마르크스주의 = 517
 이론적 딜레마들 = 518
  딜레마 1 : 구조와 행위 = 521
  딜레마 2 : 합의와 갈등 = 523
  딜레마 3 : 성 문제 = 525
  딜레마 4 : 근대 세계의 형성 = 527
 이론들 = 530
  하나의 사례 : 프로테스탄트 윤리 = 531
 사회학에서의 이론적 사고 = 534
  요약 = 535
부록 = 537
 기본 개념 풀이 = 539
 참고 도서 목록 = 551
색인 = 56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