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의료체계와 법 : 의료보험, 의야분업, 의료분쟁해결의 법철학적 성찰

의료체계와 법 : 의료보험, 의야분업, 의료분쟁해결의 법철학적 성찰 (23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李相暾
서명 / 저자사항
의료체계와 법 : 의료보험, 의야분업, 의료분쟁해결의 법철학적 성찰 / 이상돈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2004)  
형태사항
xiii, 255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인문사회과학총서 ;42
ISBN
8976414136 8976413598 (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886namcc2200253 c 4500
001 000000678282
005 20141223140000
007 ta
008 001114s2000 ulka AC 001c kor
020 ▼a 8976414136 ▼g 94360
020 1 ▼a 8976413598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d 211009
082 0 4 ▼a 344.519041 ▼2 23
085 ▼a 344.53041 ▼2 DDCK
090 ▼a 344.53041 ▼b 2000e1
100 1 ▼a 이상돈 ▼g 李相暾 ▼0 AUTH(211009)90507
245 1 0 ▼a 의료체계와 법 : ▼b 의료보험, 의야분업, 의료분쟁해결의 법철학적 성찰 / ▼d 이상돈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출판부, ▼c 2000 ▼g (2004)
300 ▼a xiii, 255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인문사회과학총서 ; ▼v 42
500 ▼a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고려대학교 출판부가 조성한 인문사회과학출판기금으로 만들어졌음
830 0 ▼a 인문사회과학총서 (고려대학교 출판부) ; ▼v 42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111721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1125464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9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113377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53.6 2000 등록번호 1410146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21051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21051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1/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310070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111721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1125464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9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113377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53.6 2000 등록번호 1410146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21051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21051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1/ 청구기호 344.53041 2000e1 등록번호 1310070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우리나라에서 의사와 환자가 만나는 사회적 공간, 즉 의료생활세계는 권력과 자본의 논리로 왜곡되어 왔다. 저자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나라의 의료정책에 의해 형성된 의료체계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하버마스의 이론을 통해 규명한다.
더불어 저자는 의사와 환자의 만남은 치료적 대화이며, 의료체계는 기능적 합리성이나 경제적 합리성만을 추구하는 사회체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의료생활세계와 의료체계
 Ⅰ. 문제제기 = 1
  1. 대립과 갈등의 의료체계 = 1
  2. 성찰을 통한 의료개혁 = 3
   (1) 이론적 성찰의 필요성 = 3
   (2) 성찰의 기초이론 = 4
 Ⅱ. 의료생활세계의 구조 = 5
  1. 의료행위의 본질 ; 치료적 대화 = 5
   (1) 전략적 행동과 대화적 행동 = 5
   (2) 치료적 대화의 상호주관성 = 6
    A. 의료관계의 상호주체성 = 6
    B. 상호주관적 권리로서 의업권 = 7
  2. 의료생활세계의 구조적 요소 = 8
  (1) 의료행위규범의 자율정립 = 8
   A. 준행위규범 = 8
   B. 임상성 = 8
   C. 최선진료 = 9
  (2) 의료인격과 의과대학의 자치 = 10
  (3) 성찰적 의료문화 = 11
  3. 의료생활세계의 재생산구조 = 12
 Ⅲ. 의료생활세계의 식민지화 = 15
  1. 의료체계의 기능적 왜곡 = 15
   (1) 권력과 금전의 교환관계 1 ; 정치체계와 시민사회 = 16
    A. 상징적인 사회보장적 의료체계 = 16
    B. 의료생활문화의 강제변형 = 18
     (a) 의약분업에 의한 의료생활문화의 변혁 = 18
     (b) 치료적 대화의 궤도 = 19
     (c) 생물학적 동등성이 아닌 의사소통적 동등성 = 21
     (d) 정책의 은폐된 전략과 문화적 비합리성 = 22
   (2) 권력과 금전의 교환관계 2 ; 정치체계와 의료공급체계 = 23
    A. 의료시장의 사회화 = 24
     (a) 요양기관에로의 강제편입 = 24
     (b) 의료시장의 수익성 고갈정책 = 24
    B. 의료행위규범의 기능화 = 25
     (a) 규격진료의 관료주의적 강제 = 25
     (b) 의료행위규범의 체계기능화 = 26
   (3) 권력과 금전의 교환관계 3 ; 의료공급체계와 시민사회 = 27
    A. 자본재생산의 정언명령 = 27
    B. 공격적 경영 = 28
    C. 권력과 금전의 교환관계 = 29
  2. 의료생활세계의 병리적 현상 = 30
 Ⅳ. 의료체계의 합리화 = 32
  1. 합리적 개념의 대화이론적 재구성 = 33
   (1) 의료체계의 합리성 개념 = 33
    A. 체계적 합리성과 생활세계적 합리성 = 33
    B. 합리성 모델의 상실 = 34
   (2) 의료적 대화의 논리 = 35
    A. 자유주의적 의료생활세계의 한계 = 35
    B. 의료에서 자유와 평등의 변증 = 36
    C. 의료적 대화 = 37
     (a) 주체 = 38
     (b) 대화적 상호작용 = 38
     (c) 성찰적 진보 = 39
   (3) 의료생활세계의 대화적 재생산구조 = 40
    A. 의료사회 = 40
    B. 의료인격 = 41
    C. 의료문화 = 44
  2. 의료시민사회와 의료공론영역 = 46
   (1) 의료시민사회 = 47
   (2) 의료공론영역 = 48
  3. 의료법규범의 정당성 = 50
   (1) 의사소통적 합리성으로서 법의 정당성 = 50
   (2) 의사소통적 권력의 실천력 = 51
제2장 의료보험과 법정책
 Ⅰ. 의료체계의 위기 = 54
 Ⅱ. 의료체계의 법정책 모델 = 56
  1. 자유주의적 의료체계 = 56
   (1) 롤즈와 의료체계의 정의 = 57
    A. 롤즈의 정의론 = 57
    B. 의료체계의 정의 = 58
   (2) 자유의료시장의 정책론 = 59
  2. 사회국가적 의료체계 = 60
   (1) 의료체계의 사회성 = 61
   (2) 정의의 요청 = 62
    A. 사회주의적 의료평등 = 62
    B. 자유의 평등의 이율배반성 = 63
    C. 공리주의적 정의론 = 63
    D. 자유의 평등의 영역분리의 위험 = 65
     (a) 정부의 실패 = 65
     (b) 평등의 실천적 우위 = 66
   (3) 자율상실을 대가로 한 의료보장 = 66
    A. 의료행위규범의 소외 = 67
    B. 의료체계의 관료화 = 67
 Ⅲ. 자율적 의료체계의 기획 = 69
  1. 의료체계의 대화적 구조화 = 69
   (1) 자유(효율)의 변증과 평등(형평)의 변증 = 70
    A. 자율성의 상실 = 70
    B. 병리적 현상 = 71
   (2) 의료체계에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확대 = 72
    A. 대화적 구조화 = 72
    B. 의료생활세계의 대화적 재생산과 자율적 체계 = 73
    C. 의료체계간의 경쟁적 통합 = 74
     (a) 체계간의 경쟁 = 74
     (b) 체계간의 통합 = 76
  2. 의료체계의 기본구조 = 77
   (1) 의료체계의 구성 = 78
    A. 진료의 수준 = 78
    B. 진료의무의 윤리적 수준 = 79
   (2) 사회통합적 요청 = 80
    A. 공공의료부문의 중심화 요청 = 81
    B. 민간부분에서 의료보험의 중심화 요청 = 81
    C. 최선의 민간의료부문의 제한과 역할 = 82
   (3) 자율성의 요청 = 83
 Ⅳ. 자율적 의료체계의 법제화방향 = 84
  1. 의료체계의 공적 자율 = 84
   (1) 공공의료시장의 자율적 형성 = 84
    A. 시장개입의 방법 ; 유도와 조정 = 85
    B. 공공의료시장의 정책 = 86
    C. 의료시장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 87
   (2) 공공의료체계 내의 의사소통적 구조화 = 88
    A. 의료체계의 다원적인 운영주체 = 88
    B. 공공의료보험제도에서 의사소통적 구조화 = 89
     (a) 행위결정의 관료적 권위주의 = 89
     (b) 행위비용결정의 의사소통적 구조의 왜곡 = 90
     (c) 행정체계내부가 아닌 외부의 의사소통적 구조 = 92
  2. 의료체계의 사적 자율 = 93
   (1) 민간의료체계의 정체성 = 93
    A. 자율적 의료체계에서 민간의료체계의 이해 = 93
    B. 민간의료체계의 보완적 기능 = 94
     (a) 재정보완기능 = 94
     (b) 의료기술발전기능 = 95
     (c) 시장구조정책의 요청 = 95
   (2) 민간의료체계의 구축 = 96
    A. 민간의료시장의 형성 = 96
     (a) 자유시장의 형성과 참여 = 96
      가) 의료공급기구의 시장의 자유 = 97
      나) 공공의료시장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참여의무 = 98
     (b) 의료행위의 자유 = 102
      가) 관료주의적 사전통제의 폐지 = 103
      나) 자율적 통제의 형성 = 103
    B. 민간의료보험제도의 구축 = 104
     (a) 사적 처분 아닌 사적 자치(자율)가 가능한 제도 = 105
     (b) 민간의료보험제도의 골격 = 105
      가) 자본논리의 배제 = 105
      나) 권력논리의 배제 = 106
    C. 자율화의 평형 ; 자유와 책임의 상응 = 107
   (3) 민간의료체계 내의 의사소통적 구조화 = 109
    A. 의료보험체계의 의사소통적 구조화 = 110
     (a) 의사소통구조 = 110
     (b) 법제화 = 111
    B. 의사소통적 역량의 강화 = 112
제3장 의약분업과 법정책
 Ⅰ. 문제제기 = 114
  1. 의약분업의 갈등상황 = 114
  2. 반성적 성찰의 기획 = 116
 Ⅱ. 의약분업의 제도화모델 = 117
  1. 의약제도의 세 가지 모델 = 117
   (1) 환자중심적 의약제도 = 118
    A. 의약품의 오남용 = 118
    B. 권한의 형평분배 = 118
    C. 환자중심성 = 119
     (a) 의료자원활용의 극대화 = 119
     (b) 의사소통장애의 최소화 = 120
   (2) 약사중심적 의약분업제도 = 120
    A. 약사권의 상대적 확대 = 120
    B. 시민권한의 축소 = 123
   (3) 의사중심적 의약제도 = 125
    A. 진료권의 상대적 확대 =125
    B. 의사의 선택권과 환자의 의존성 = 126
  2. 근대적 의약생활관계의 왜곡 = 128
   (1) 탈근대적 의료관계 = 128
    A. 이익판단의 당파성 = 129
    B. 국가적 후견주의 = 130
    C. 의료문화에 대한 폭력 = 131
   (2) 전근대적 의료관계 = 132
    A. 윤리적 후견주의 = 132
    B. 전통적인 의약문화의 왜곡된 재생산 = 132
   (3) 왜곡된 근대성 = 134
    A. 의사, 환자, 약사의 주체성 향유 = 134
    B. 역할조정과 기능적 통합의 실패 = 134
     (a) 환자인격의 위기 = 134
     (b) 의사인격의 위기 = 135
     (c) 약사인격의 위기 = 136
    C. 근대성의 변증 = 136
 Ⅲ. 의약(분업)제도의 원리 = 137
  1. 의약생활관계의 대화적 재생산 = 137
   (1) 대화적 주체 = 138
    A. 의약생활관계에서 주체의 의미 = 138
    B. 대화적 주체들의 구체적 모습 = 139
     (a) 의사 = 139
     (b) 약사 = 139
     (c) 환자 = 140
   (2) 치료적 대화와 의약분업 = 140
    A. 치료적 대화와 약효의 불가분성 = 141
    B. 의약분업과 치료적 대화의 관계설정 = 142
     (a) 임의조제 = 143
     (b) 대체조제 = 143
  2. 대화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 145
   (1) 이해와 관점의 집단적 대립 = 145
    A. 실체적 판단의 비실천성 = 145
    B. 타협을 통한 체계기능화 = 146
   (2) 의료문화변화와 제도개혁의 병행 = 148
    A. 의료문화의 변화필요성 = 148
    B. 전략협상과 대화의 차이 = 149
     (a) 의약분업에서 규범적 정의와 형식적 정의의 이분법 사고 = 150
     (b) 포섭과 배제의 정치학적 논리 = 151
     (c) 빅딜논리 = 152
    C. 상호이해지향적 의사소통구조 = 153
     (a) 거시적 의사소통 = 153
     (b) 상호통제와 상호유인 = 153
      가) 대화적 상호작용 = 154
      나) 권한과 의무의 대화적 분배 = 155
 Ⅳ. 의약분업제도의 법제화방향 = 157
  1. 권한의 형평분배 = 158
   (1) 환자와 의사 및 약사간의 권한분배 = 158
    A. 의료소비자의 주권적 지위 = 158
    B. 의약품의 3단계 분류 = 158
   (2) 의사와 환자 사이의 권한분배 = 162
   (3) 의사와 약사 사이의 권한분배 = 164
    A. 약사권한축소의 문제점 = 165
    B. 의사의 조제율과 약사의 유사진료율간의 연동체계 = 165
     (a) 의사와 약사의 한계직능영역 = 165
     (b) 관점의 대립과 중립화 = 167
     (c) 진료권과 조제권의 상호작용체계 = 168
  2. 상호통제메커니즘 = 170
   (1) 내부통제메커니즘 = 171
    A. 의사사회내의 자율적 규율메커니즘 = 171
     (a) 자율규율의 중심기구형성 = 172
     (b) 공공의료보험의 자율화의 전기 = 172
    B. 약사사회 내의 자율적 규율메커니즘 = 173
     (a) 직업문화적 성찰의 필요성 = 173
     (b) 공공의료보험의 자율화 전기 = 174
   (2) 외부통제메커니즘 = 174
    A. 의료보험체계에 의한 통제 = 175
    B. 사법체계에 의한 통제 = 176
     (a) 약화사고에 대한 책임 = 176
      가) 관점의 대립 = 176
      나) 위험인수의 책임원리와 위험원관할의 조정 = 178
       (ㄱ) 위험책임의 원리 = 178
       (ㄴ) 위험원의 관할영역 구분 = 179
       (ㄷ) 위험원관할의 조정 = 181
       (ㄹ) 논증의무 = 184
        ⓐ 논증의무 = 184
        ⓑ 논증의무의 범위 = 185
        ⓒ 논증의무부과의 형평성 = 186
     (b) 약화사고의 사전통제 = 187
      가) 형사책임 = 187
       (ㄱ) 의사직능의 불법적 찬탈 = 187
       (ㄴ) 약사직능의 불법적 찬탈 = 189
      나) 행정법적 책임 = 191
       (ㄱ) 한계직능영역일탈 = 191
       (ㄴ) 논증의무위반 = 192
    C. 시민사회에 의한 통제 = 194
  3. 상호유인메커니즘 = 196
   (1) 재정적 보상 = 196
    A. 유인과 저항 = 196
    B. 의사소통적 해소 = 197
     (a) 근거지음에 대한 회의 = 197
     (b) 근거지음의 가능성 = 198
   (2) 제도적 보상 = 199
    A. 규제의 폐지·완화와 수혜제도의 설립 = 199
    B.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왜곡 = 200
   (3) 상호유인과 의사소통적 구조 = 200
제4장 의료분쟁해결과 법정책
 Ⅰ. 문제상황 = 203
  1. 법제화의 원인 = 203
  2. 법제화의 방향논의 = 204
 Ⅱ. 법제화의 발전단계 = 206
  1. 신분법 = 207
  2. 형식법 = 209
   (1) 계약관계 = 209
   (2) 자기결정과 과책원칙 = 210
   (3) 형식법의 한계 = 212
  3. 실질법 = 214
   (1) 사회국가적 법제화 = 214
   (2) 판례법에 의한 법제화 = 215
    A. 과실입증의 완화 = 215
    B. 인과관계입증의 완화 = 216
    C. 입증방해이론 = 218
    D. 설명의무의 구성요건화 = 218
    E. 기록의무 = 219
   (3) 사회국가적 법제화의 구조적 특징 = 219
   (4) 사회국가적 법제화의 한계 = 220
    A. 법에 의한 사회적 통합의 와해 = 221
    B. 사회에 의한 법적 통합의 와해 = 221
    C. 법과 정책의 상호적 무관심 = 222
  4. 조정법 = 223
   (1) 절차화의 단계 = 223
   (2) 절차화의 모델로서 조정법 = 223
    A. 조정법의 기획 = 224
    B. 조정법의 산출기능 = 227
   (3) 조정법의 한계 = 228
 Ⅲ. 법제화의 방향 = 230
  1. 법제화의 방향 = 230
  2. 법제화의 다차원적 구조 = 232
   (1) 관점의 교류가능성 = 232
   (2) 조정과 소송의 자유선택 = 233
   (3) 인간적 연대성 = 234
   (4) 법제화의 네 가지 차원 = 235
  3. 형법적 법제화의 방향 = 236
   (1) 의료형법의 독자성 = 236
    A. 책임귀속의 구조적 차이 = 236
    B. 의료적 판단과의 차이허용성 = 237
   (2) 형법의 관할영역의 축소 = 239


관련분야 신착자료

박균성 (2023)
이철수 (2023)
Futhazar, Guillaume (2023)
김형배 (2023)
지역보건연구회 (2023)
한국.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2022)
Prütting, Dorothea (2022)
토담출판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