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역사 발전과 사회 사상의 역할 = 15
Ⅰ. 역사 발전과 사회적 의식 = 15
1. 인간과 자연, 그리고 사회 = 15
2.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 17
3.사회적 의식의 상대적 독립성 = 19
Ⅱ. 사회적 의식의 구조 = 21
1. 개인 의식과 사회 의식 = 21
2. 사회 심리와 사회 사상 = 22
3. 사회 사상의 역사적 성격 = 23
Ⅲ. 사회적 의식의 여러 형태 = 25
1. 철학 = 25
2. 종교 = 26
3. 도덕 = 28
4. 정치 의식 = 29
제2부 근대와 인간의 재발견
제2장 근대의 태동과 인간 해방의 사상 = 35
Ⅰ. 르네상스 = 35
1. 르네상스의 의미 = 35
2. 에라스무스 = 39
3. 토마스 모어와 『유토피아』 = 40
4. 마키아벨리와 『군주론』 = 42
Ⅱ. 종교개혁 = 44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 44
2. 마르틴 루터 = 48
3. 캘빈과 자본주의 윤리 = 50
4. 영국의 종교 개혁 = 53
제3장 근대 사회 사상의 철학적 기초 = 57
Ⅰ. 근대 합리주의 = 57
1. 근대 합리주의의 발전 = 57
2. 데카르트 = 59
Ⅱ. 근대 자연법 사상 = 61
1. 근대 자연법 사상의 특징 = 61
2. 토마스 홉스 = 64
3. 죤로크 = 66
제4장 계몽주의 사상 = 71
Ⅰ. 계몽주의의 의미 = 71
1. 계몽주의의 성립 = 71
2. 계몽주의의 역사적 의의 = 72
Ⅱ.영국의 계몽주의 = 73
1. 계몽주의의 기원 = 73
2. 계몽주의의 발전과 해체 = 75
Ⅲ. 프랑스의 계몽주의 = 77
1. 계몽주의 전개 과정 = 77
2. 몽테스큐와 『법의 정신』 = 80
3. 장 자크 루소
Ⅳ. 독일 고전 철학 = 85
1. 독일의 계몽주의 = 85
2. 칸트 = 90
3. 피히테 = 92
4. 헤겔 = 93
제3부 시장과 국가
제5장 중상주의의 경제 사상 = 99
Ⅰ. 중상주의의 개념과 시대적 배경 = 99
1. 중상주의의 개념 = 99
2. 중상주의의 전개 과정 = 102
Ⅱ. 중상주의의 사상과 정책 = 105
1. 중금주의 = 105
2. 무역과 산업 정책 = 107
3. 중상주의의 역사적 의의 = 110
제6장 중농주의의 경제 사상 = 113
Ⅰ. 중농주의의 기원 = 113
1. 중농주의의 배경 = 113
2. 중농주의의 기본 사상 = 115
Ⅱ. 중농주의의 경제 사상 = 118
1. 케네와 『경제표』 = 118
2. 튀르고 = 121
3. 중농주의의 경제정책 = 123
제7장 아담 스미스와 고전학파 경제학 = 127
Ⅰ. 아담 스미스와 『국부론』 = 127
1. 생애와 시대적 배경 = 127
2. 아담 스미스의 경제 사상과 도덕 철학 = 129
3. 『국부론』과 아담 스미스의 경제 이론 = 133
4. 아담 스미스의 경제 정책 = 141
Ⅱ.고전학파의 완성 = 142
1. 시대적 배경 = 142
2. 맬더스와 『인구론』 = 145
3. 리카아도 = 148
Ⅲ. 고전학파의 해체 = 153
1. 리카아도 학파의 분열 = 153
2. 리카아도파 사회주의 = 156
3. 죤 스튜어트 밀 = 158
Ⅳ. 신고전학파의 경제사상 = 161
1. 신고전학파의 성립 = 161
2. 제본스 = 163
3. 멩거 = 164
4. 왈라스 = 166
5. 마아샬 = 168
제8장 역사학파의 경제 사상 = 171
Ⅰ. 역사학파의 성립 = 171
1. 역사학파의 배경 = 171
2. 역사학파의 특징 = 173
3. 리스트 = 175
Ⅱ. 후기 역사학파 = 178
1. 후기 역사학파의 등장 = 178
2. 방법론 논쟁 = 180
3. 가치 판단 논쟁 = 182
Ⅲ. 막스 베버 = 183
1. 생애와 학문 세계 = 183
2. 사회 과학 방법론 = 185
3. 자본주의 정신 = 186
제9장 케인즈 혁명 = 191
Ⅰ. 케인즈 경제학의 배경 = 191
1. 생애와 업적 = 191
2. 세계 대공황과 경제학의 새로운 과제 = 193
Ⅱ. 케인즈의 이론과 사상 = 198
1. 『일반 이론』의 개요 = 198
2. 케인즈 혁명의 의의 = 201
제4부 자본주의의 미래
제10장 근대 사회주의 사상의 형성 = 207
Ⅰ. 초기 사회주의 사상 = 207
1. 시대적 배경 = 207
2. 바뵈프주의 = 208
3. 루이 블랑 = 210
4. 프루동과 무정부주의 = 211
Ⅱ. 공상적 사회주의 = 212
1. 공상적 사회주의의 기본 사상 = 212
2. 생시몽 = 214
3. 오웬 = 217
4. 푸리에 = 219
제11장 마르크스와 과학적 사회주의 = 221
Ⅰ. 마르크스주의의 성립 = 221
1. 시대적 배경 = 221
2. 생애와 저작 = 223
Ⅱ. 마르크스의 사회 경제 사상 = 229
1.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 = 229
2. 인간의 유적 본질과 소외 = 234
3. 사적 유물론 = 239
Ⅲ.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 242
1. 자본주의의 역사적 의의 = 242
2. 사회주의의 미래상 = 245
제12장 미국 자본주의와 제도학파 = 247
Ⅰ. 제도학파의 성립 = 247
1. 학문적 배경 = 247
2. 제도학파의 기본 사상 = 249
Ⅱ. 톨스타인 베블렌 = 251
1. 생애와 사상 = 251
2. 『유한 계급론』 = 254
3. 베블렌 이후의 제도학파 = 255
제13장 슘페터의 경제 사상 = 259
Ⅰ. 생애와 사상 = 259
1. 학문적 배경 = 259
2. 경제 사상의 특징 = 262
Ⅱ. 자본주의의 발전과 그 귀결 = 264
1. 자본주의 발전론 = 264
2. 사회주의 이행론 = 268
찾아보기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