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발전행정론 : 제도·국가·성장/위기

한국발전행정론 : 제도·국가·성장/위기 (Loan 4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송재복
Title Statement
한국발전행정론 : 제도·국가·성장/위기 / 송재복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大旺社 ,   2000.  
Physical Medium
371 p. : ; 26 cm.
ISBN
894561613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347-371
000 00592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77850
005 20100806055951
007 ta
008 001109s2000 ulk 000a kor
020 ▼a 8945616136 ▼g 93350 : ▼c \16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70190 ▼f 개가 ▼l 111170191 ▼f 개가 ▼l 111170192 ▼f 개가
082 0 4 ▼a 351.53
090 ▼a 351.53 ▼b 2000
100 1 ▼a 송재복 ▼0 AUTH(211009)54499
245 1 0 ▼a 한국발전행정론 : ▼b 제도·국가·성장/위기 / ▼d 송재복 지음.
260 ▼a 서울 : ▼b 大旺社 , ▼c 2000.
300 ▼a 371 p. : ; ▼c 26 cm.
504 ▼a 참고문헌 : p.347-371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111701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111701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111701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511111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511111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111701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111701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111701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511111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00 Accession No. 1511111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송재복(지은이)

(학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 (박사) MIT 기계공학과 (현)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 지능로봇, 로봇 팔의 설계 및 제어, 이동로봇의 자율주행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15
 제1절 왜 한국발전행정의 연구인가? = 15
 제2절 연구방향의 체계 = 22
제2장 발전행정의 개념과 접근방법 = 26
 제1절 발전행정의 개념 = 26
  1. 발전의 개념 = 26
  2. 발전행정의 개념 = 33
 제2절 접근방법 = 35
  1. 행태주의적 접근 = 35
  2. 구조기능적 접근 = 36
  3. 국가중심적 접근 = 37
  4. 제도주의적 접근 = 42
제3장 발전에 관한 시각 = 45
 제1절 이론변화의 다양성 = 45
 제2절 발전에 관한 3가지 시각 = 46
  1. 경제결정론 = 47
  2. 문화·심리적 결정론 = 54
   1) 문화결정론 = 54
   2) 심리적 결정론 = 59
  3. 정치결정론 = 63
   1) 발전국가론 = 64
   2) 네트워크 국가론 = 68
   3) 국가주의론 = 70
   4) 본연구의 시각 = 73
제4장 제도, 국가, 그리고 경제 성장 = 75
 제1절 제도의 의미와 특성 = 75
  1. 제도의 의미 = 75
  2. 제도의 특성 = 78
   1) 제도의 제약성 = 78
   2) 제도의 경로의존성 = 81
   3) 제도변화 = 82
 제2절 제도 · 국가와 경제성장 = 85
  1. 제도와 국가 = 87
   1) 정부관료제의 능력 = 89
   2) 행정의 지배규범 = 90
   3) 정부 · 기업간의 네트워크 = 91
  2. 제도와 정책 = 93
   1) 거시경제정책 = 95
   2) 산업정책 = 95
   3) 노동정책 = 98
 제3절 외부적 요인과 경제성장 = 98
  1. 외부적 연계와 국가 = 98
  2. 제도와 외국인 투자정책 = 99
제5장 제도와 경제위기 = 102
 제1절 위기의 개념 = 102
 제2절 위기의 제도적 원인 = 103
  1. 국제체제의 변화와 위기 = 103
  2. 국내적 요인과 위기 = 105
제6장 연구의 분석틀 = 107
 제1절 분석틀 = 107
 제2절 분석기준 = 109
제7장 한국의 경제성장과 제도, 국가 = 111
 제1절 역사적 요인과 제도 = 111
  1. 공동사회의 규범 = 112
   1) 유교주의 = 113
   2) 일본식민지지배의 규범 = 117
   3) 국가에 의한 사회관리의 규범 = 119
  2. 미성장의 시장제도 = 122
   1) 미군정시대의 시장구조 = 122
   2) 이승만 정부시대의 시장구조 = 128
  3. 소결 = 135
 제2절 제도와 국가 = 137
  1. 집권적 관료제 = 137
   1) 의미 = 137
   2) 집권적 관료제의 대두 = 138
    (1) 관료권의 강화 = 138
    (2) 능력있는 공무원의 충원과 관리 = 142
   3) 집권적 관료제의 응집력 = 143
    (1) 경제기획원의 기능 = 143
    (2) 발전적 이데올로기의 확산 = 147
   4) 소결 = 149
  2. 행정지배의 규범 = 150
   1) 서론 = 150
   2) 행정부의 국회·정당지배형태 = 151
    (1) 억압기구의 창설과 활용 = 151
    (2) 행정부의 제도적 지배 = 152
   3) 행정부 주도의 정책구조 = 157
    (1) 행정부에 의한 정책주도 = 157
    (2) 취약한 여당의 정책구조 = 159
   4) 소결 = 160
  3. 정부·기업간의 네트워크 = 161
   1) 서론 = 161
   2) 정부·기업간의 네트워크 = 162
    (1) 정부와 기업간의 기본적 관계 = 162
    (2) 정부와 기업간의 네트워크 메카니즘 = 169
   3) 비공식적 메카니즘 = 175
   4) 정부·기업간 네트워크의 유용성 = 176
    (1) 정책상의 효과 = 176
    (2) 민주적 정책합의제도의 원류 = 176
    (3) 관료의 학습능력증진 = 177
   5) 소결 = 177
 제3절 제도와 공공정책 = 179
  1. 거시정책 = 179
   1) 저축정책 = 180
   2) 투자정책 = 182
    (1) 투자촉진정책 = 182
    (2) 투자유인증대정책 = 183
   3) 재정 · 금융정책 = 187
    (1) 재정정책 = 187
    (2) 금융정책 = 189
   4) 소결 = 196
  2. 산업정책 = 197
   1) 정책선택의 전략 = 197
    (1) 수출제일주의 = 198
    (2) 수출산업의 보호 = 200
    (3) 수출발판의 형성 = 201
    (4) 재벌의 육성 = 202
   2) 전략산업의 육성 = 202
   3) 기술이전과 개발 = 209
    (1) 기술이전정책 = 210
    (2) 기술개발정책 = 214
   4) 산업정책의 효과 = 225
   5) 소결 = 228
  3. 노동정책 = 230
   1) 저임금정책 = 230
   2) 노조억압정책 = 233
   3) 노동정책의 효과 = 240
   4) 소결 = 241
 제4절 외부적 요인과 제도 = 242
  1. 외부적 연계와 한국의 경제성장 = 243
   1) 세계체제와 한국 = 243
   2) 외부적 연계 메카니즘 = 244
    (1) 정치 · 군사적인 연계 = 244
    (2) 외국원조 = 245
    (3) 외국무역 = 246
    (4) 외국자본 = 247
   3) 외부적 연계의 결과 = 248
    (1) 경제성장의 모델제공 및 기여 = 248
    (2) 새로운 제도형성 = 249
    (3) 제약된 정책자율성 = 250
   4) 소결 = 251
  2. 외국인투자와 경제성장 = 252
   1) 서론 = 252
   2) 외국인투자정책과 제도변화 = 253
    (1) 1960∼1970년대 외국인투자제도와 활동 = 253
    (2) 1980∼1990년대의 외국인투자정책 = 260
   3) 외국인투자기업의 결과 = 272
   4) 소결 = 279
제8장 성취와 학습 = 282
 제1절 성장과 평등 = 282
 제2절 학습하는 사회 = 285
제9장 세계화, 국가, 그리고 위기 = 287
 제1절 세계화와 한국경제의 위기 = 287
  1. 서론 = 287
  2. 경제위기의 발생 = 290
   1) 위기의 징후 = 290
   2) 위기의 발생 = 292
  3. 위기의 요인 = 295
   1) 국내적인 요인 = 295
    (1) 정부부문 = 295
    (2) 정부와 기업부문 = 304
    (3) 기업과 노동 = 307
   2) 국제적인 요인 = 309
    (1) 신자유주의와 미국중심의 패권주의 = 309
    (2) 국제자본 = 311
 제2절 한국경제위기의 결과 = 313
  1. 정치적인 측면 = 313
  2. 경제적인 측면 = 317
  3. 사회적인 측면 = 320
 제3절 앞으로의 방향 = 322
제10장 결론 = 324
 제1절 한국경제성장의 성공과 실패, 그리고 제도 = 324
  1. 성공적 경제성장과 제도 = 324
  2. 실패한 성장과 제도 = 329
  3. 한국 성장과정이 주는 교훈 = 330
  4. 한국 경제성장의 지속적 가능성과 제도적 능력 = 333
 제2절 발전행정의 새로운 지평 = 340
  1. 거버넌스에 기초한 국가역할의 변화 = 340
  2. 발전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 343
   1) 발전적 거버넌스의 의미 = 344
   2) 발전적 거버넌스의 영역 = 345
   3) 발전적 거버넌스의 접근방법 = 345
   4)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 346
참고문헌 = 34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