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성격의 개념 = 1
1. 성격의 개념 및 정의 = 1
2. 성격 이론 발달에 영향을 준 사실들 = 4
3. 인간의 본성에 대한 가정 = 7
1) 결정론적 입장 = 7
2) 비결정론적 입장 = 9
4. 인간의 본성에 대한 양극론 = 10
제2장 성격의 결정 요인 = 17
1. 생물학적 요인 = 17
1) 유전 요인 = 17
2) 신체적 요인 = 19
3) 생화학 물질의 영향 = 21
2. 사회적 요인 = 22
1) 유아기의 경험 = 22
2) 사회 및 문화 = 23
3) 가정 = 24
4) 동료 집단 = 25
제3장 성격의 패러다임과 성격 연구 방법 = 27
1. 성격 이론의 역할 = 27
2. 성격 이론의 패러다임 = 29
1) 구조 = 29
2) 과정 = 30
3) 성장과 발달 = 31
4) 성격의 정신병리학적 측면 = 37
5) 성격의 변화 = 38
3. 성격 이론의 주요 쟁점 = 38
4. 이론의 평가 = 44
5. 성격 심리학 연구의 자료 = 47
6. 성격이론의 3가지 접근 방법 = 51
1) 사례 및 임상 연구 = 51
2) 실험 연구 = 53
3) 질문지 및 상관 연구 = 55
제4장 정신분석학 = 59
1. 기본 입장 = 59
2. 성격의 구조 = 63
3. 성격의 심리성적 발달 = 67
1)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 = 68
2) 성격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 = 69
4. 카텍시스와 동일시 = 76
1) 카텍시스 = 76
2) 동일시 = 78
5. 불안 = 79
6. 불안에 대한 대처와 자아 방어 = 80
7. 갈등과 자아 방어 = 82
8. 방어 기제의 유형 = 85
9. 방어 기제의 확대와 방어 기제의 측정 = 89
10. 정신 분석 사례 및 해석 = 94
1) 엘리자베스의 사례 = 94
2) 사례에 대한 해석 = 100
제5장 분석심리학 = 105
1. 분석심리학과 집단적 무의식 = 105
2. 외향성과 내향성 및 기능 = 110
1) 외향성과 내향성 = 110
2) 기능 = 112
3) 8가지 성격 유형과 이의 세분화 = 113
3. MBTI와 4가지 선호 지표 = 117
4. 성격 유형의 역동과 발달 = 122
제6장 심리사회적 이론 = 125
1. 자아(ego)의 강조 = 125
2.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 127
3. 자아 정체성의 발달과 부분 위기 = 140
1) 자아 정체성 = 140
2) 자아 정체성의 위기 = 141
4. Marcia의 청소년 정체성 이론 = 146
제7장 욕구와 동기 이론 = 149
1. 기본 입장 = 149
2. 머레이의 욕구 이론 = 150
1) 욕구, 동기 및 환경적 압력 = 150
2) 욕구 체계 = 153
3) 성취 욕구 = 155
4) 욕구의 상호 관계 = 158
5) 성격의 결정 요인 = 158
3. 통제(선택) 이론과 욕구 = 160
1) 통제(선택) 이론 = 160
2) 인간의 기본적 욕구 = 161
3) 현실 요법 = 163
4. 욕구 위계 이론 = 168
1) 욕구의 종류 = 170
2) 결핍 욕구와 성장 욕구 = 174
3) 자아 실현인의 특징 = 175
5. A형 행동 양식과 조절에 대한 욕구 = 177
1) A형 행동인의 행동 특정 = 179
2) A형 행동인의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 = 180
3) A형 행동 양식과 통제에 대한 동기 = 181
4) 분노와 관상동맥질환과의 관계 = 184
제8장 특성 및 유형론 = 187
1. 기본 입장 = 187
2. 히포크라테스의 4 기질설 = 188
3. 프롬의 성격 유형론 = 193
1) 욕구의 종류 = 193
2) 5가지 성격 유형 = 199
4. 아이젱크의 성격 유형론 = 202
5. 올포트의 특질론 = 205
1) 성격에 대한 정의와 성격학 연구 = 205
2) 특질 = 208
3) 특질의 특징 = 209
4) 특질의 유형 = 212
5) 고유 자아 = 214
6) 기능적 자율성 = 216
7) 성숙한 인간 = 217
6. 5대 성격 요인 이론 = 220
1) 성격의 5대 요인 모델 = 221
2) 특성의 용어 분석 = 221
3) 기본적 언어 가설 = 225
4) 성격 검사에서의 5대 요인 = 226
5) 성장과 발달 = 228
6) 진화론적 조망 = 232
제9장 행동주의 = 235
1. 행동주의 태동의 배경 = 235
2.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 = 236
3.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 241
1) 조작적 조건 형성의 원리 = 243
2) 강화 계획 = 248
4. 행동 수정 사례 및 분석 = 253
1) 테디에 대한 사례 분석 = 253
2) 사례 해석 = 257
3) 체계적 둔감화 기법에 의한 치료의 예 = 259
제10장 사회 인지 이론 = 267
1. 기본 입장 = 267
2. 관찰 학습 = 269
3. 습득 對 수행 = 273
4. 관찰 학습과 강화 = 275
1) 대리 강화 = 275
2) 자기 강화 = 277
3) 목표, 기준 및 자기 조절 = 278
5. 자기 효능감과 수행 = 279
6. 임상적 적용 = 282
1) 역기능적 기대와 자아 개념 = 282
2) 자기 효능감과 불안 = 283
3) 자기 효능감과 억압 = 284
4) 자기 효능감과 건강 = 285
5) 중독 단절과 재발 피하기 = 286
7. 사회 인지적 치료법 = 287
8. 관련 연구 = 290
제11장 현상학적 입장 = 293
1. 기본 입장 = 293
1) 현상학 = 293
2) 인간의 본성에 대한 로저스의 관점 = 294
2. 실현 경향과 자아 실현 = 295
3. 자아(self) = 296
4. 긍정적 존중의 욕구 = 298
5. 가치의 조건과 강화와의 관계 = 301
6. 일관성과 위협 = 304
7.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과 조력자의 특징 = 306
제12장 성격과 자아, 자아 개념 = 311
1. 성격 이론과 자아 개념 = 311
2. 자아 관련 용어와 이들의 상호 관계 = 316
3. 적응 및 자아 실현과 자아 개념 = 324
4. 결론 = 330
제13장 스트레스와 대처 = 333
1. 스트레스의 정의 = 333
2. 합리적 - 정서적 행동 치료에서의 스트레스 = 334
1) 스트레스원(stressors) = 334
2) 스트레스 증상의 자각 = 335
3) 심리적 장애의 습득과 보존 = 336
3. 스트레스에 대한 합리적 - 정서적 행동 치료법 = 340
1) 정서적 장애의 ABC 모델 = 341
2) 비합리적 신념 3가지와 그 결과 = 345
3) REBT에 의한 평가 = 345
4. 스트레스 상담의 13단계 = 350
5. REBT의 주요 상담 기법 = 359
1) 인지적 기법 = 359
2) 정서적 기법 = 363
6.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생리적 반응의 조절 = 368
참고문헌 = 373
찾아보기(인명) = 383
찾아보기(용어)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