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3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77346 | |
005 | 20100806055320 | |
007 | ta | |
008 | 001106s2000 ulka 000a kor | |
020 | ▼a 8972321869 ▼g 04810: ▼c \7500 | |
020 | 1 | ▼a 8972321834(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49 | 1 | ▼l 111168097 ▼f 개가 ▼l 111168098 ▼f 개가 ▼l 111168099 ▼f 개가 |
082 | 0 4 | ▼a 895.734 ▼2 22 |
090 | ▼a 897.36 ▼b 엄광용 명 ▼c 3 | |
100 | 1 | ▼a 엄광용 , ▼d 1954- |
245 | 1 0 | ▼a 우화 / ▼d 엄광용 지음. |
246 | 0 3 | ▼a 마음을 맑게 하는 어른 동화 |
260 | ▼a 서울 : ▼b 명상 , ▼c 2000. | |
300 | ▼a 180 p. : ▼b 삽도 ; ▼c 21 cm. | |
440 | 0 0 | ▼a 명상의 세계로 떠나는 장자 철학 여행 ; ▼v 3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111680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111680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111680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511119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511119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111680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111680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111680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511119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36 엄광용 명 3 | 등록번호 1511119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엄광용(지은이)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여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였다. 12년간 잡지기자 생활을 하다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위해 사표를 냈다. 이후 전업작가 생활을 하면서 고구려연구회 회원이 되어 국내 답사여행을 다녔다. 그때부터 소설 『광개토태왕 담덕』을 쓰고자 하는 일념으로 자료조사를 시작했고, 만주·백두산·실크로드 등 해외 답사까지 다니면서 광개토태왕의 원정길을 추적하였다. 광개토태왕 자료는 비문의 내용이 거의 전부이므로 자료조사의 한계를 느끼다가, 단국대 대학원 사학과에 진학하여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을 수료하면서 고구려 역사와 그 시대의 생활상을 두루 엿볼 수 있는 간접 자료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였다. 1990년 『한국문학』에 중편소설 「벽 속의 새」로 문단에 데뷔하였고, 1994년 삼성문예상 장편동화 부문에 가작으로 입선하여 동화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창작집으로는 『전우치는 살아 있다』와 경장편 『꿈의 벽 저쪽』, 장편 역사소설 『사냥꾼들』 『천년의 비밀』 등이 있다. 장편동화 『이중섭과 세발자전거를 타는 아이』, 위인전기 『이중섭, 고독한 예술혼』, 『안중근, 일본의 심장을 쏘다』 등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작품도 다수 출간했다. 기획저서인 『인물로 읽는 사기』(전 3권), 『이야기로 읽는 도덕경』(전 3권), 『이야기로 엮은 우리 미술사』, 『징비록에서 역사의 길을 찾다』, 『엄광용 선생님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생동하는 고구려사』 등 역사와 철학 저술 작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2015년에는 장편 역사소설 『사라진 금오신화』로 류주현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이처럼 문학과 역사를 넘나들며 소설·동화·역사 콘텐츠 저술 등 다방면으로 글을 써 왔지만, 그 모든 것은 결국 역사소설 『광개토태왕 담덕』을 쓰기 위한 준비작업이었던 셈이다.

목차
[Volume. 1]---------- 목차 첫 번째 이야기 파도처럼 큰 물고기, 구름처럼 큰새 = 11 두 번째 이야기 도(道)는 텅빈 곳에 모인다 = 21 세 번째 이야기 인심은 흐르는 물처럼 막을 수 없다 = 32 네 번째 이야기 술에 취한 사람이 다치지 않는 이유 = 48 다섯 번째 이야기 울 속에 갇히는 걸 싫어하는 꿩 = 60 여섯 번째 이야기 말 잘 다스리는 백락(伯樂)의 실수 = 72 일곱 번째 이야기 못생긴 여자가 아름답다? = 84 여덟 번째 이야기 매미가 어찌 대붕의 뜻을 알까? = 94 아흡 번째 이야기 작은 것과 큰 것은 어떻게 다른가? = 107 열 번째 이야기 육체의 노화는 마음을 병들게 한다 = 117 열한 번째 이야기 수레 바퀴 자국 속의 붕어 신세 = 131 열두 번째 이야기 쓸데 없는 것의 소중함 = 143 열세 번째 이야기 이 세상 모든 구멍은 소리를 낸다 = 155 열네 번째 이야기 큰 나무는 그 아래 큰 그늘을 드리운다 = 165 열다섯 번째 이야기 발뒤꿈치로 숨을 쉬는 사람 = 177 열여섯 번째 이야기 기계에만 의지하려는 자의 부끄러움 = 189 [Volume. 2]---------- 목차 첫 번째 이야기 꿈 속에서 꿈을 점치는 장자 = 11 두 번째 이야기 꿈에 나비가 되어 날아 다닌 장주 = 22 세 번째 이야기 정신의 칼로 소를 잡는 백정 = 33 네 번째 이야기 도는 가르칠 수도 배울 수도 없는 것 = 46 다섯 번째 이야기 맹인은 무늬의 아름다움과 상관없다 = 58 여섯 번째 이야기 말 기르는 사람이 경계해야 할 일 = 70 일곱 번째 이야기 신기에 가까운 북 만들기 = 83 여덟 번째 이야기 돈이 많아 오히려 고생스러운 사람 = 94 아홉 번째 이야기 백성 앞에 함부로 나서지 않는 임금 = 104 열 번째 이야기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 = 115 열한 번째 이야기 큰 도둑을 위하여 금궤를 채운다? = 128 열두 번째 이야기 발자취란 신발이 만들어 내는 것 = 140 열세 번째 이야기 뱁새는 깊은 숲 속에 둥지를 튼다 = 152 열네 번째 이야기 나무를 깎아서 만든 닭처럼 = 162 열다섯 번째 이야기 나무 위에 있어야 행복한 원숭이 = 175 열여섯 번째 이야기 만약에 우주가 큰 새장이라면? = 186 [Volume. 3]---------- 목차 첫 번째 이야기 명예욕은 자기를 구속하는 질곡이다 = 11 두 번째 이야기 매미를 손으로 줍듯이 잡는 노인 = 21 세 번째 이야기 뱃사공이 말하는 배 다루는 지혜 = 34 네 번째 이야기 벼량 위에 선 열자(列子)의 활쏘기 = 44 다섯 번째 이야기 미덕을 가지고도 남을 해치는 사람 = 54 여섯 번째 이야기 자연의 은덕을 파괴로 갚는 사람들 = 66 일곱 번째 이야기 음양의 조화로 음악을 연주하는 황제 = 76 여덟 번째 이야기 날아오는 화살을 잡는 오만한 원숭이 = 88 아홉 번째 이야기 자기 자랑을 하다 미혹에 빠진다 = 100 열 번째 이야기 성인의 지혜까지 훔치는 큰 도둑 = 110 열한 번째 이야기 지네가 발 없는 뱀을 부러워한다 = 120 열두번째 이야기 달팽이 뿔 위에서 일어난 전쟁 = 131 열세 번째 이야기 죽음과 영원의 세계를 예찬하는 해골 = 141 열네 번째 이야기 큰 낚시를 드리워야 큰 고기가 물린다 = 152 열다섯 번째 이야기 물새를 두려워 하는 물고기가 그물에 걸린다 = 161 열여섯 번째 이야기 제그림자가 두려워 달아나는 사람 =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