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6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677203 | |
005 | 20100806055225 | |
007 | ta | |
008 | 001103s2000 ulk 000a kor | |
020 | ▼a 8936482173 ▼g 03910: ▼c \3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67077 ▼f 개가 ▼l 111167078 ▼f 개가 ▼l 192032800 |
082 | 0 4 | ▼a 953.057 |
090 | ▼a 953.057 ▼b 2000 | |
245 | 0 0 | ▼a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d 강만길 엮음. |
260 | ▼a 서울 : ▼b 창작과비평사 , ▼c 2000. | |
300 | ▼a 600 p. ; ▼c 24 cm. | |
504 | ▼a 서지적 각주 포함 | |
700 | 1 | ▼a 강만길 , ▼e 엮음 ▼0 AUTH(211009)5082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0 | 등록번호 1111670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057 2000 | 등록번호 192032800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약헌 953.057 2000 | 등록번호 912016065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강만길(엮은이)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해 지금까지 발간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강만길 = 3 총설 / 강만실 = 9 제1장 법과 제도 조선후기 법사학 연구의 현황 / 조윤선 = 17 조선후기 과제제도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차미희 = 48 조선후기 비변사 연구동향 / 이상식 = 47 제2장 전쟁과 대외관계 조선후기 군사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김우철 = 93 임진왜란사 연구의 추이와 과제 / 조원래 = 123 조선후기 대(對)서양인식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 박성순 = 150 제3장 경제변동 조선후기 경제변동의 새로운 성격규정을 위하여 / 이정철 = 191 조선후기 상업사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이욱 = 235 조선후기 무역사 연구동향과 전망 / 이철성 = 267 제4장 향촌사회의 구조 조선후기 지방사의 모색과 과제 / 권내현 = 299 조선시대'사족'의 개념과 기원에 대한 검토 / 김성우 = 321 조선후기 가족제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김경란 = 376 제5장 사회의 동요 조선후기 군역제 연구현황과 과제 / 송양섭 = 407 조선후기 유민·명화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 변주승 = 434 제6장 사상과 문화 조선후기 성리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조성산 = 467 실학과 개화사상의 관계에 대한 재검토 / 조광 = 501 조선시대 사학사 : 전체의 검토, 과제의 제기 / 오항녕 = 534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김순석 = 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