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법철학

법철학 (Loan 22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eelmann. Kurt , 1947- 윤재왕, 역
Title Statement
법철학 / Kurt Seelmann 지음 ; 윤재왕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芝山 ,   2000.  
Physical Medium
275 p. ; 23 cm.
Varied Title
Rechtsphilosophie
ISBN
8987561755
General Note
색인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11-12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aw --Philosophy.
000 00739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677186
005 20100806055212
007 ta
008 001103s2000 ulk 001a kor
020 ▼a 8987561755 ▼g 9336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49 1 ▼l 111169026 ▼f 개가 ▼l 111169027 ▼f 개가 ▼l 111169028 ▼f 개가
082 0 4 ▼a 340.1 ▼2 21
090 ▼a 340.1 ▼b 2000c
100 1 ▼a Seelmann. Kurt , ▼d 1947-
245 1 0 ▼a 법철학 / ▼d Kurt Seelmann 지음 ; ▼e 윤재왕 옮김.
246 1 9 ▼a Rechtsphilosophie
260 ▼a 서울 : ▼b 芝山 , ▼c 2000.
300 ▼a 275 p.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11-12
650 0 ▼a Law ▼x Philosophy.
700 1 ▼a 윤재왕, ▼e▼0 AUTH(211009)81796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1690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1690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1690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2473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2473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511091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511091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1690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1690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1690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2473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112473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511091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40.1 2000c Accession No. 1511091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Kurt Seelmann(지은이)

<법철학>

윤재왕(옮긴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문과대학 철학과,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 및 법사상사 담당 교수로 재직 중.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3
한국어판 서문 = 5
약어표 = 9
기초참고문헌 = 11
제1부 법이란 무엇인가?
 서론 = 21
 §1 "대안을 둘러싼 논쟁" : 법은 결코 자명하지 않다
  1. 고대, 중세, 근대의 법비판 = 26
   a) 고대의 법비판 = 27
   b) 중세의 법비판 :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종교개혁까지 = 28
   c) 근대의 법비판 = 32
  2. 법의 대안을 찾는 근거 : 현대의 논의형태 = 36
   a) 공동체에 대한 장애요소로서의 법 = 37
   b) 추상성 = 39
   c) 자유위협 = 40
   d) 불확정성 = 42
   e) 비효율성과 형식주의 = 43
  3. 법적 분쟁해결의 대안모델 = 44
   a) 친화성 모델 = 44
   b) 협상 = 45
   c) "재판이 아닌 조정" = 46
  4. "법"이해와 관련된 몇 가지 결론 = 49
 §2 법개념의 여러 측면
  1. '본질물음'과 언어분석 = 52
   a) 과거의 개념정의방식 = 52
   b) 하트의 설명 = 54
  2. 법실증주의의 문제 = 58
   a) 문제의 핵심 = 59
   b) "법률적 불법"? : "라드브루흐 공식" = 62
   c) 감정적인 잔재 : "주관주의테제" = 65
  3. 규범적 법이론과 사회학적 법이론 : "존재"와 "당위" = 66
   a) 켈젠과 에어리히의 논쟁 = 66
   b) "당위"의 의미 = 70
  4. 규범의 총체로서의 법 = 71
   a) 명령설 : 찬론과 반론 = 72
   b) 법현실주의 = 74
   c) 법효력과 실효성 = 76
  5. 사회질서로서의 법 = 78
  6. 인간 상호간의 관계로서의 법 = 80
   a) 기대관계로서의 법 : 루만의 테제 = 81
   b) 자유의 최적관계 : 칸트의 법개념 = 84
   c) 승인관계로서의 법 : 헤겔의 입장 = 86
  7. 체계로서의 법 = 88
   a) 자연법의 연역적 체계론 : 크리스티안 볼프의 이론 = 90
   b) "개념법학"의 귀납적 - 연역적 및 유기적 체계론 : 푸흐타의 개념피라미드 = 92
   c) 법의 단계구조 : 켈젠의 "순수법학" 체계 = 95
   d) 법규의 공리화를 통한 체계화 : 현대 논리학과 체계 = 96
 §3 법과 법에 유사한 현상의 구별
  1. 법과 풍속, 관행, 사회적 규약의 구별 = 100
   a) 심리적 반응과 제재의 차이 = 100
   b) 상호작용형식의 차이 = 102
  2. 법과 도덕 : 법철학의 고전적 구별 = 105
   a) 법과 도덕을 구별하는 세 가지 경우 = 105
   b) 금지만이 법의 대상인가? = 109
   c) 법에 내재한 도덕적 논증의 차원 = 113
  3. 법과 경제 = 114
   a) 보충관계로서의 법과 경제 = 116
   b) 서로 다른 조종모델로서의 법과 경제 : "자기복제"를 둘러싼 논쟁 = 117
   c) 법의 경제적 분석 = 122
 §4 법의 대안의 문제점과 법의 역할
  1. 법, 공동체, 자유 = 124
  2. 법, 추상성, 자유 = 126
  3. 법, 도그마틱, 형식주의 = 128
  4. 법과 불확정성 = 131
제2부 법은 법률 이외의 전제에도 구속되는가?
 §5 물음의 타당성
  1. 가치지향은 위험한가? = 136
  2. 특수한 법적 논의 = 139
 §6 비법률적 전제의 실천적 의미
  1. 입법자의 법철학에 대한 의존성 = 141
  2. 최고법원판결에 나타난 원칙적 형태의 가치평가 = 144
   a) 보기 1 : 정의 = 145
   b) 보기 2 : "도덕률", "선량한 풍속" 등 = 151
  3. 일상의 법학적 작업에서 나타나는 가치평가의 문제 = 157
   a) 해석에서의 의미론적 폭 = 158
   b) 가치평가 = 160
   c) 법률해석의 영역을 넘어서 있는 규범적 전제들 = 163
 §7 정의이론 - 간략한 역사적 개관
  1. "정의"의 의미 : 역사적 전개과정 = 169
   a) 고대 정의론의 기초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169
   b) 정의는 내용없는 형식에 불과한가? = 174
  2. 형평, 법적 안정성 그리고 정의 = 174
 §8 자연법
  1. 자연법과 그 역사 = 180
   a) "자연법"이란 무엇이며 "자연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 180
   b) 고대의 목적론적 자연법론 = 181
   c) 기독교 신학과 자연법 = 183
   d) 칸트와 그의 영향 = 185
  2. 자연법에 대한 근대적 정당화 : 이성법으로서의 자연법 = 188
   a) 이성법의 전제 : 주관적 권리 = 188
   b) 경합하는 세 가지 근거설정 유형 : 인간의 본성, 사물의 본성, 합리성 = 190
 §9 규범의 근거설정에 관한 최근의 논쟁
  1. 규범의 근거설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 = 196
   a) 규범적 근거설정의 사전영역에 대한 합리적 설명 = 196
   b) 환정주의, 규범주의, 자연주의, 직관주의 사이의 논쟁 = 198
   c) 규범적 근거설정의 구조 : 툴민과 알버트의 "뮌히하우젠 트릴레마" = 202
  2. 합의지향의 정당성이론 = 206
   a) 계약주의적 정당성이론 = 206
   b) 논의윤리 : 하버마스 = 209
  3. "최종적 근거설정"을 향한 노력 = 213
   a) 근대 철학사에 나타난 최종적 근거설정의 문제 = 215
   b) "최종적 근거설정" 논거가 포괄하는 범위를 둘러싼 논쟁 : 아펠 대 훼슬레 = 217
   c) "주지주의적 오류" : 일팅의 비판 = 219
  4. 요구가능한 규범의 승인 또는 이중의 승인 = 220
   a) "요구가능"(zumutbar)의 의미 = 221
   b) 도덕판단의 발달단계 : 콜벅의 이론 = 225
   c) 규범의 근거설정에 관한 최근의 이론들은 그 실제적 결론이 유사하다 : 2단계 모델 = 227
 §10 정의에 관한 최근의 논쟁
  1. 공리주의의 문제 : 벤담의 유산 = 232
  2. 권리지향의 정의이론 : 로크에 대한 논쟁 = 236
  3. "공정"의 원칙 : 롤스와 드워킨 = 240
  4. 공동체주의적 정의이론 = 243
   a) "정의의 개별영역" : 월저 = 244
   b) "정당한 것"과 "좋은 것" 사이의 경계선의 붕괴 : 발생론적 공동체주의와 규범적 공동체주의 = 246
 §11 법의 자율성?
  1. "자율성테제" = 252
   a) 자유논거 = 253
   b) 법적 안정성논거 = 253
   c) 민주주의논거 = 253
   d) 다원주의논거 = 254
  2. 법에 대한 내용적 요구 = 255
   a) (형식적) 법치국가와 (실질적) 사회국가 = 255
   b) 생태주의와 법 = 259
  3.법의 일반화경향과 개별화경향 = 262
찾아보기
 인명색인 = 266
 사항색인 = 268
옮긴이 후기 = 2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