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한국어판 서문 = 5
저자 서문 = 7
1. 입문 ; 법철학의 문제 - 문헌 - 서술의 문제
1.1 실정법(제정법)과 정법의 차이 = 15
1.2 정법론으로서의 법철학 ; 정법론의 난점에 관한 우선적인 지적 = 17
1.3 참고문헌과 추천도서 = 23
1.4 요약 = 27
1.5 이 책의 서술목적의 요약 = 28
2. 역사적 순서에 따라 살펴본 법철학의 전형들
2.1 개관 = 29
2.2 법관념주의 ; 플라톤
2.2.1 약력과 주요저작 = 30
2.2.2 법관념주의의 내용
2.2.2.1 포괄적 특징(이데아론) = 30
2.2.2.2 세부내용 = 31
2.2.3 관념주의적 법철학의 구성부분들
2.2.3.1 모델로서의 플라톤 = 43
2.2.3.2 법철학의 경험적 부분과 이념적 부분 = 44
2.2.3.3 법철학의 경험적 부분의 구성 = 45
2.2.3.4 법철학의 비경험적(형이상학적) 부분의 구성 = 52
2.2.4 플라톤과 고대의 법철학
2.2.4.1. 고대 법철학의 개념 = 58
2.2.4.2 소피스트 = 59
2.2.4.3 아리스토텔레스 = 61
2.2.4.4 키케로 = 66
2.2.5 요약 = 69
2.2.6 관련문헌 = 70
2.3 법신학 ; 토마스 아퀴나스
2.3.1 약력과 주요저작 = 71
2.3.2 법신학의 내용
2.3.2.1 포괄적 특징(법신학) = 71
2.3.2.2 세부내용 = 74
2.3.3 법신학의 구성부분
2.3.3.1 모델로서의 토마스 아퀴나스 = 78
2.3.3.2 법의 경험론(형이하학)과 법의 형이상학 = 78
2.3.3.3 법의 형이상학의 난점 = 81
2.3.3.4 법철학의 세 영역 = 82
2.3.4 토마스 아퀴나스와 법신학적 전통
2.3.4.1 법신학의 전통 = 85
2.3.4.2 십계명 = 85
2.3.4.3 어거스틴 = 86
2.3.4.4 루터 = 88
2.3.5 요약 = 89
2.3.6 관련문헌 = 90
2.4 법현실주의 ; 마키아벨리
2.4.1 약력 및 주요저작 = 92
2.4.2 법현실주의의 내용
2.4.2.1 포괄적 특징(법현실주의) = 92
2.4.2.2 세부내용 = 93
2.4.3 법현실주의적 법철학의 구성부분들
2.4.3.1 모델로서의 마키아벨리 = 100
2.4.3.2 법의 경험론과 법의 형이상학의 새로운 관계 = 101
2.4.3.3 결론 = 101
2.4.3.4 상대주의의 문제 = 102
2.4.3.5 실정법의 필요성 = 104
2.4.4 법현실주의의 전통
2.4.4.1 법철학의 경험적 부분의 발전 = 104
2.4.4.2 법철학의 형이상학적 부분의 발전 = 105
2.4.4.3 법현실주의의 넘어설 수 없는 결정판 ; 홉스 = 107
2.4.5 요약 = 115
2.4.6 관련문헌 = 116
2.5 자연법 ; 루소
2.5.1 약력과 주요저작 = 118
2.5.2 자연법적 법철학의 내용
2.5.2.1 포괄적 특징(자연법) = 118
2.5.2.2 세부내용 = 119
2.5.3 자연법적 법철학의 구성부분들
2.5.3.1 모델로서의 루소 = 125
2.5.3.2 자연법에 있어 법의 경험론과 법의 형이상학 = 125
2.5.3.3 결론 = 127
2.5.3.4 자연법과 실정법 = 128
2.5.3.5 상대주의의 문제 = 129
2.5.3.6 이론과 실천의 관계 = 131
2.5.4 다양한 유형의 자연법
2.5.4.1 비판적 자연법 = 132
2.5.4.2 보수적 자연법 = 133
2.5.4.3 비판적 자연법과 보수적 자연법의 혼합 = 134
2.5.5 요약 = 134
2.5.6 관련문헌 = 135
2.6 과학적으로 확립된 법철학 ; 칸트
2.6.1 약력과 주요저작 = 137
2.6.2 과학적으로 확립된 법철학의 내용(순수이성을 통한 법철학)
2.6.2.1 포괄적 특징(순수이성을 통한 법철학) = 138
2.6.2.2 세부내용 = 139
2.6.2.3 요약 = 147
2.6.3 과학적으로 확립된 법철학의 구성부분들
2.6.3.1 모델로서의 칸트 = 150
2.6.3.2 법의 경험론과 법의 형이상학 = 151
2.6.4 칸트에서 시작되는 법철학의 전향
2.6.4.1 상대주의의 문제 = 152
2.6.4.2 법철학의 과학성 = 152
2.6.4.3 과학적 법형이상학의 한계 = 153
2.6.5 요약 = 154
2.6.6 관련문헌 = 155
2.7 역사철학으로서의 법철학 ; 헤겔
2.7.1 약력과 주요저작 = 157
2.7.2 역사철학적으로 확립된 법철학의 내용
2.7.2.1 포괄적 특징(역사철학으로서의 법철학) = 158
2.7.2.2 세부내용 = 158
2.7.3 역사철학으로 확립된 법철학의 구성부분들
2.7.3.1 모델로서의 헤겔 = 169
2.7.3.2 법의 경험론과 법의 형이상학 = 169
2.7.3.3 상대주의의 문제 = 171
2.7.3.4 역사철학적으로 확립된 법철학과 실정법 = 171
2.7.3.5 법철학과 법률가의 지위 = 172
2.7.4 칸트의 유일한 대안으로서의 헤겔
2.7.4.1 자유의 법철학적 문제 =172
2.7.4.2 법의 형이상학에서의 차이점 = 174
2.7.5 요약 = 175
2.7.6 관련문헌 = 176
3. 현대의 법철학적 상황의 특징
3.1 요약
3.1.1 정법의 추구 = 177
3.1.2 사회적 인간학과 법 = 178
3.1.3 법의 형이상학 = 180
3.2 현대의 순수법이론 ; 현대 법철학적 논의의 난점을 보여주는 예시
3.2.1 한스 켈젠 ; 약력과 주요저작 = 184
3.2.2 현대의 순수법이론의 내용 = 184
3.2.3 세부내용 = 188
3.2.4 결론 = 191
3.2.5 순수법이론의 현대적 형태들
3.2.5.1 이 형태들의 일반적 특징 = 193
3.2.5.2 법논리학 = 193
3.2.5.3 "법과 언어"의 문제 = 198
3.2.5.4 분석적 법이론 = 200
3.2.5.5 법의 이데올로기비판 = 202
3.2.5.6 요약 = 203
3.2.6 현대의 순수법이론과 법형이상학 = 204
3.3 사회적 인간학과 법형이상학의 현대적 결합이 갖는 특징 = 211
3.4 사회적 인간학과 법의 형이상학의 현대적 결합을 보여주는 실례들
3.4.1 실정법의 취급 = 214
3.4.2 사물의 본성과 법 = 217
3.4.3 자연과학과 법 = 219
3.4.4 사회과학과 법 = 228
3.4.5 법의 경제적 분석 = 232
3.4.6 마르크스주의 법이론 = 236
3.4.7 체계이론과 법 = 237
3.4.8 계약이론과 법 = 243
3.4.9 합의이론과 법 = 245
3.4.10 논증이론/절차이론과 법 = 256
3.4.11 정의이론들 = 259
3.5 정법인가 아니면 법상대주의인가? 법철학인가 아니면 법이론인가? = 262
3.6 요약 ; 법철학의 제 문제
3.6.1 사회적 인간학과 법 = 267
3.6.2 법의 형이상학과 그 난점들
3.6.2.1 힘의 한계로서의 법형이상학 = 268
3.6.2.2 법형이상학의 역사 ; 법형이상학의 약화의 역사 = 270
3.6.2.3 법철학과 법적 세부사항 = 273
3.6.3 법철학은 탈출구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가? = 274
인명·사항 색인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