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네 학교 이야기 : 한국 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네 학교 이야기 : 한국 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7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천
서명 / 저자사항
네 학교 이야기 : 한국 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 김영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음사 ,   1997.  
형태사항
331 p. : 삽도 ; 24 cm.
ISBN
8981681023
일반주기
저자의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박사논문인 "한국의 초등학교 교육: 관리와 수업에 대한 후기실증주의적 탐구"를 기초로 쓴 것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 p.321-331
000 00750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77101
005 20100806055045
007 ta
008 001103s1997 ulka 000a kor
020 ▼a 8981681023 ▼g 9337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6985 ▼f 개가 ▼l 111166986 ▼f 개가 ▼l 111166987 ▼f 개가
082 0 4 ▼a 372.953
090 ▼a 372.953 ▼b 1997
100 1 ▼a 김영천 ▼0 AUTH(211009)91108
245 1 0 ▼a 네 학교 이야기 : ▼b 한국 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 ▼d 김영천 지음.
260 ▼a 서울 : ▼b 문음사 , ▼c 1997.
300 ▼a 331 p. : ▼b 삽도 ; ▼c 24 cm.
500 ▼a 저자의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박사논문인 "한국의 초등학교 교육: 관리와 수업에 대한 후기실증주의적 탐구"를 기초로 쓴 것임.
504 ▼a 참고문헌 : p.321-33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953 1997 등록번호 1111669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953 1997 등록번호 1111669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영천(지은이)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와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1995년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이론과 질적연구방법론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1998년 이래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평가, 질적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약 40권 이상의 저서와 5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2016년 한국의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교육과 그림자교육(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약 7년간 연구하여 맥밀란 출판사를 통하여 『Shadow Education and the Curriuclum and Culture of Schooling in South Korea』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Stage 1 질문들

 제1장 포스트모던/포스트콜로니얼 : 고백, 그리고 새로 쓰는 교육과정연구 = 3

Stage 2 어느 초등학교의 아침 이미지

 제2장 초등학교의 역사적 이해 = 23

Stage 3 질적연구자가 되는 것

 제3장 변화하는 패러다임 그리고 교육과정 연구방법론 = 37

  질적/후기 실증주의 연구작업에서 고려해야 할 방법적 이슈들 = 38

  새로 써보는 사회과학 논문의 제3장 : 본 연구의 방법론 = 74

Stage 4 기억, 상처, 그리고 열정

 제4장 네 학교 이야기 : 초등학교의 교실생활 = 115

  초등학교 생활의 문화적 주제 = 117

  교사와 반장의 딜레마 = 136

  초등학생들의 목소리Ⅰ : 비평 = 150

  초등학생들의 목소리Ⅱ : 생존 = 169

 제5장 초등학교의 교실관리 = 185

  교사의 교실관리 전략들 = 186

  교실질서의 성취와 회복 :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관리·통제에 대한 미시문화적기술적 연구 = 206

 제6장 초등학교의 수업 = 242

  초등학교 수업문화의 일반적 특징 = 244

  한국적 수업시퀀스와 참여구조 : 한국 초등학교 수업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적 연구 = 258

Stage 5 미완성

 제7장 반성과 희망 = 299

  초등학교 이미지 만들기 : 글쓰기와 표현의 정치학 = 300

  방법론, 반성, 그리고 희망에 관하여 : 후기 식민주의 시대를 위한 한국에서의 질적연구 = 308

참고문헌 = 32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