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1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676750 | |
005 | 20220310104134 | |
007 | ta | |
008 | 001031s2000 ulka AK 001a kor | |
020 | ▼a 8952101871 ▼g 93910 :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 |
082 | 0 4 | ▼a 336.200953 ▼2 21 |
090 | ▼a 336.200953 ▼b 2000 | |
100 | 1 | ▼a 박종진, ▼g 朴鍾進, ▼d 1956- ▼0 AUTH(211009)81794 |
245 | 1 0 | ▼a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 ▼d 박종진 지음.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c 2000 ▼g (2002). | |
300 | ▼a viii, 306 p. : ▼b 삽도 ; ▼c 24 cm. | |
440 | 0 0 | ▼a 서울대학교 한국사연구총서 ; ▼v 9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200953 2000 | Accession No. 1111697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200953 2000 | Accession No. 1111697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200953 2000 | Accession No. 1111697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6.200953 2000 | Accession No. 1410178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336.200953 2000 | Accession No. 192019017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려의 전체적인 재정운영체계 속에서 조세제도를 분석한 책.
그간 우리나라 중세 경제구조에 관한 연구는 토지제도와 토지소유 문제를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그러나 나라 살림살이의 규모와 성격을 결정한다는 의미에서 조세제도의 중요성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세제도의 내용과 운영은 나아가 납세자와 국가의 관계를 규정함으로써 국가 자체의 성격까지 좌우한다는 것이 이 책의 설명이다.
조세제도는 내용과 그 운영에 따라 살림살이의 규모와 성격이 정해질 뿐 아니라 납세자와 국가의 관계가 정해진다. 고려 시기의 조세제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중세국가인 고려왕조가 민을 지배하는 방식과 그 성격, 더 나아가서 민의 사회경제적 위치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하다. 국가 재정운영체계는 국가 운영에 필요한 재화를 획득·관리하고 처분하는 체계로서, 거기에는 토지제도와 조세제도를 비롯한 국가의 경제제도 운용과 그 성격이 반영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세제도와 재정운영체계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함께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종진(지은이)
1956년 4월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1980년 학사, 1983년 석사, 1993년 박사), 울산대학교 사학과와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서 근무하였고, 지금은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중세사연구회, 남북역사학자협의회에서 활동하였다. 그동안 고려사를 공부하여 개인 저서로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2000, 서울대학교출판부),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2017,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종진 선생님과 함께하는 두근두근 개성 답사』(2018, 청년사)를 펴냈고, 1996년부터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사연구반에 참여하여 『고려의 황도 개경』(2002, 창비), 『고려 500년 서울 개경의 생활사』(2007, 휴머니스트),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2021, 혜안)를 공동으로 출판하였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iii 서론 = 1 제1장 조세제도의 성립과 조세체계 = 13 1. 재정운영체계와 조세제도의 성립 = 13 1) 재정운영체계의 성립과 그 성격 = 13 2) 조세제도의 성립 = 28 2. 조세의 종류와 조세체계 = 47 1) 조세의 종류 = 47 2) 주요 稅目의 용례와 조세체계 = 52 제2장 조세제도의 구조 = 71 1. 조세 수취단위와 主絃·屬縣 = 71 2. 田賦의 수취구조 = 84 1) 收租率의 종류와 그 성격 = 84 2) 田賦의 구성과 田丁 = 93 3) 典簿의 수취과정 = 101 3. 貢物의 수취구조 = 107 1) 貢物의 구성 = 107 2) 貢物의 수취과정 = 123 4. 요役의 징발구조 = 131 1) 요役의 종류 = 131 2) 요役과 다른 조세의 관계 = 136 3) 요役의 징발실태 = 145 제3장 조세제도의 변화 = 159 1. 조세제도 변화의 배경 = 159 2. 재정운영의 변화 = 177 1) 財政官署의 개편 = 177 2) 재정 확보방법의 변화 = 195 3. 조세제도의 개편과 稅目의 증가 = 204 1) 조세제도의 개편 = 204 2) 常요·雜貢과 雜稅 = 214 4. 조세제도 변화의 성격 = 224 결론 = 241 참고한 연구성과 = 251 영문요약(abstract) = 261 부록 : 「고려시기 稅目의 용례」 = 265 찾아보기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