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식 기반 경제의 인력 정책

지식 기반 경제의 인력 정책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진화
서명 / 저자사항
지식 기반 경제의 인력 정책 / 정진화 ...[등저].
발행사항
서울 :   을유문화사 ,   2000.  
형태사항
261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산업연구원21세기준비총서 ; 12
ISBN
8932430527 8932430403(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 p.255-261
000 00681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76661
005 20100806054244
007 ta
008 001030s2000 ulka 000a kor
020 ▼a 8932430527 ▼g 04320 : ▼c \8000
020 1 ▼a 893243040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8870 ▼f 개가 ▼l 111168871 ▼f 개가 ▼l 111168872 ▼f 개가
082 0 4 ▼a 331.12042 ▼2 21
090 ▼a 331.12042 ▼b 2000
245 0 0 ▼a 지식 기반 경제의 인력 정책 / ▼d 정진화 ...[등저].
260 ▼a 서울 : ▼b 을유문화사 , ▼c 2000.
300 ▼a 261 p. : ▼b 삽도 ; ▼c 23 cm.
490 0 0 ▼a 산업연구원21세기준비총서 ; ▼v 12
504 ▼a 참고문헌 : p.255-261
700 1 ▼a 정진화 ▼0 AUTH(211009)124847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111688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11168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11168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511096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111688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11168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11168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12042 2000 등록번호 1511096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1세기 패러다임의 변화는 경제 성장의 핵심 요소를 자본과 생산 설비에서 지식과 정보 체계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제 기업이나 국가의 경쟁력은 공장이나 생산 설비, 생산 능력과 같은 유형 자본이 아니라, 얼마나 많은 기술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적 자원과 능력을 지녔는가 하는 무형 자본의 질과 양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당연하게도 지식 기반 경제의 근간을 이루며 모든 지식과 정보 활동의 근원을 차지하는 인력에 대한 정책이 대단한 중요성을 가진다.

한 국가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정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떤 의식과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진 인력으로 그 경제가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앞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 설정이 더욱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산업 구조와 사회 환경 속에서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인력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지식 기반 경제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한 방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 책은 우리 나라와 OECD 국가들의 지식 기반 산업과 경제 구조 발전 추세, 노동 시장에서 일어난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 기반 경제를 우리 나라 경제 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인력에 대한 정책 방향을 탐구하고 있다.

지식기반 경제가 도래하게된 배경과, 특성을 인식함을 통하여 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이후 우리의 인력 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를 제시한다. 이러한 정책 제안을 풍부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해서 꼼꼼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경제적 선진국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노동 시장의 성격이 서로 다른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들 국가들에서 지식 기반 경제로 발전하면서 나타나는 노동 시장의 변화 또는 인력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여 우리 나라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아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승택(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으로 있다.

전기호(지은이)

경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로 있다.

정진화(지은이)

서울 대학교 가정관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있다.

조준모(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Chicago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 교 교무처장을 역임하고 동 대학 경제대학장을 지내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경제대학 교수 로서 후학을 양성하면서, 한국노사관계학회장을 역임하였고 2017년부터 한국노동경제학회장으 로 봉사한다. 한편 정부에도 여러 면에서 자문을 주고 있어서, 국무총리실 산하 규제개혁위원회, 최저임금심의회 공익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현재 노동부 산하 고용보험위원회, 노사정위원 회 공익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고용과 성장』, 『통상 임금 소송에 관한 법경제학적 이해』, 『특수형태근로종사자보호에 관한 경제학적 이해』, 『신산별 교섭』, 『한미 FTA의 노동시장 파급효과와 노동제도 변화』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 15
서론 = 17
제1부 지식 기반 경제의 발전과 인력 정책 = 21
 제1장 지식 기반 경제와 고용 = 23
  1. 지식 기반 경제의 개관 = 23
  2. 지식 기반 경제와 고용 = 23
 제2장 OECD 국가의 노동 시장 변화 = 37
  1. 지식 기반 산업의 발전 = 37
  2. 노동 시장의 변화 = 43
 제3장 우리 나라 지식 기반 산업의 인력 수요 전망 = 51
  1. 지식 기반 산업의 부상 = 51
  2. 고용과 임금 = 65
  3. 인력 수요 전말 = 89
 제4장 인력 정책의 방향 = 101
  1. 인적 자원 개발의 의의 = 101
  2. 인력 정책의 방향 = 104
제2부 주요국의 경험과 시사점 = 127
 제1장 미국의 경험과 시사점 = 129
  1. 개관 = 129
  2. 미국의 지식 기반 경제 = 131
  3. 고용 현황과 기업 현황 = 150
  4. 정책 시사점 = 182
 제2장 일본의 인력 수급 전망과 인력 개발 정책 = 189
  1. 개관 = 189
  2. 노동력 수급 전망 = 192
  3. 신규 산업의 창출을 위한 인력 양성 계획 = 207
  4. 직업 능력의 개발과 향상 대책 = 233
  5. 시사점 = 250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