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34namcc2200373 c 4500 | |
001 | 000000676509 | |
005 | 20110928171158 | |
007 | ta | |
008 | 001027s2000 ulka b 001c kor | |
020 | ▼a 8976962478 ▼g 03910 | |
020 | ▼a 9788976962478 ▼g 0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49 | 0 | ▼l 111167093 ▼l 111167094 ▼l 111167095 ▼l 192032049 |
082 | 0 4 | ▼a 951.903 ▼2 22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00d | |
245 | 0 0 | ▼a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 / ▼d 강만길 엮음 |
260 | ▼a 서울 : ▼b 역사비평사, ▼c 2000 ▼g (2005) | |
300 | ▼a 365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빼앗긴 들에 서다 | |
500 | ▼a 집필진: 강만길, 김윤희, 문영주, 박은숙, 송규진, 신요옥, 이송순, 이헌주, 정병구, 정태헌, 하원호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만길, ▼e 편 ▼0 AUTH(211009)50824 |
700 | 1 | ▼a 김윤희, ▼e 저 |
700 | 1 | ▼a 문영주, ▼e 저 |
700 | 1 | ▼a 박은숙, ▼e 저 |
700 | 1 | ▼a 송규진, ▼e 저 |
700 | 1 | ▼a 신요옥, ▼e 저 |
700 | 1 | ▼a 이송순, ▼e 저 |
700 | 1 | ▼a 이헌주, ▼e 저 |
700 | 1 | ▼a 정병구, ▼e 저 |
700 | 1 | ▼a 정태헌, ▼e 저 |
700 | 1 | ▼a 하원호,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1670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1670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3033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useum/ | Call Number 약헌 953.06 2000d | Accession No. 912016063 | Availability Un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212132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212132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1670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8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510938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1670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1670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3033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useum/ | Call Number 약헌 953.06 2000d | Accession No. 912016063 | Availability Un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212132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212132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111670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06 2000d | Accession No. 1510938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한국자본주의의 역사>라는 제목에 걸맞게 한국에서 자본주의가 시작되는 과정과 전개되는 과정을 매우 구체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조선 말기의 개항으로부터 박정희 정권 말기까지가 이 책이 다루는 시대이다.
조선 말기, 자본주의의 발전의 지체와 개항으로 인한 충격 속에서 세계 자본주의 체제로 편입되어가는 과정으로부터 시작한다. 국민경제 형성과 근대적 부르조아 계급의 형성에 실패한 상황에서 이식된 식민지 자본주의는 모순에 찬 자본주의 체제를 형성한다.
역사학계 일부에서 제기되는 '일제의 지배가 한반도의 자본주의의 발전 혹은 공업화를 도왔다'는 주장에 대하여, 저자들은 실증적 자료까지 제시하면서 반박한다. 일제가 결코 한반도에서 '손해보는 장사'를 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증명한다.
이러한 식민지 자본주의는 미군정 하에서 유지-강화되면서 미국에 예속되는 형태로 재편된다. 미국과 이승만 정권은 적산 불하를 통해서 부르조아 계급을 형성하고 이는 재벌 체제가 형성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이승만 정권의 미국 원조를 중심으로 하는 수입대체 공업화 정책은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분업체계를 동아시아에 구축하려는 미국의 의도에 따라 박정희 정권의 수출지향공업화, 한일 수교 등으로 변화한다.
이 책은 각각의 시기적 구분 속에서 이러한 한국에서의 자본주의가 변화하는 과정의 구체적 사실들을 제시하고 변화의 원인과 결과가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무엇보다도 풍부하고 잘 정돈된 역사적 사실들은 그 자체가 유용한 자료일 뿐 아니라, 경제적 변화의 과정을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보론으로 「박정희 집권기의 경제성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박정희 정권의 경제성장 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제기되는 '동아시아 발전모델', '발전국가 모델', '유교 자본주의론' 등을 비판한다. 박정희 정권기의 경제성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글이라 할 수 있는데, 박정희 정권의 공과에 대한 과장된 해석들에 대한 꼼꼼한 비판이다.
강만길 교수의 총론은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에서 쟁점적으로 제기되는 질문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관점을 제시한다. 조선이 일본의 지배를 받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부터 60년대 이후의 경제건설을 어떻게 보아야할 것인가와 같은 논쟁적인 쟁점들에 대한 답변이다.
책을 엮은 강만길 교수는 총론 마지막 부분을 '한반도 전체 경제사 서술을 기다리며'라는 소절로 마무리한다. 북한까지 포괄하는 경제사를 서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그 작업은 신자유주의가 역사의 종말이 아니라면 한반도와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사상적 바탕을 마련하기 위한 의미를 가지기도 할 것이기 때문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만길(엮은이)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해왔다. 2023년 6월, 향년 90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내면서 = 4 총론 :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된 경제사적 원인은 무엇인가 = 13 2. 일제강점 시기의 경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 15 3. 1940∼50년대 경제건설을 이루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 19 4. 1960년대 이후 경제건설을 어떻게 봐야 할까 = 23 5. 한반도 전체 경제사 서술을 기다리며 = 26 세계 자본주의 체제로의 편입과 국민경제 형성의 실패 1. 개항과 유통구조의 변용 = 32 1) 불평등 조약체계의 성립과 무역구조 = 39 2) 유통구조의 변화와 상업의 발전 = 39 2. 경제정책의 한계와 식산흥업의 실패 = 48 1) 정부의 경제정책과 그 한계 = 48 2) 생산구조의 변화 = 60 3. 농민층 분해와 임금노동자층의 생성 = 71 1) 지주제 강화와 농민층 분해 = 71 2) 임금노동자의 생성과 존재 = 76 식민지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전 1. 식민지 경제제도의 정비와 유통구조 재편 = 87 1) 재정 ·금융기구의 정비 = 87 2) 토지조사사업과 조세제도의 개편 = 94 3) 유통망의 장악 = 100 2. 생산구조의 식민지적 재편 = 107 1) 농업생산구조의 변화와 식민지 지주제 = 107 2) 조선인 자본의 종속적 재편 = 113 3) 토착산업의 존속 = 119 3. 농민층 분해와 노동자층의 형성 = 126 1) 농민층 분해와 농민생활 = 126 2) 식민지 노동자층의 형성과 생활상태 = 134 식민지 자본주의의 위기와 파국 1. 식민지 농업정책의 전환 = 145 1) 식민체제 안정을 위한 농업정책 = 145 2) 전쟁수행을 위한 농업정책 = 151 3) 식민지 농업정책의 한계 = 155 2. 식민지 공업화의 전개와 한계 = 162 1) 식민지 공업화 정책의 전개 = 162 2) 공업 성장과 조선인의 동향 = 169 3. 노동력·자금·물자의 강제동원 = 180 1) 노동력 강제동원 = 180 2) 자금 및 물자동원 = 184 8·15와 한국 자본주의의 종속적 재편 1. 미국체제에 편입된 한국경제 = 197 1) 국민경제 건설의 가능성 = 197 2) 미국 중심 국제분업체제로의 편입 = 200 2. 경제환경의 악화와 경제건설정책의 부재 = 209 1) 중소공장의 활성화와 경제건설의 한계 = 209 2) 공출제의 재개와 농업생산력의 약화 = 214 3) 식민지적 금융제도의 존속과 통화남발 = 221 3. 식민지 유제 처리의 한계 = 228 1) 귀속농지 불하 및 농지개혁법 제정 = 228 2) 귀속재산 불하 = 238 1950년대 원조의존 경제체제와 종속적 산업화 1. 6·25전쟁과 자본축적의 조건 = 253 1) 원조의 국제적 환경 = 253 2) 자본축적의 국내조건 = 256 2. 원조의존 경제체제의 자본축적구조 = 266 1) 종속적 수입대체산업화와 원조 = 266 2) 원조의존 경제하의 산업화 수단 = 272 3) 종속과 독점의 수입대체공업화 = 279 4) 국가와 자본의 농민수탈과 농업 파탄 = 285 3. 축적구조의 모순과 위기 = 293 1) 미국 원조정책의 전환과 자유시장경제의 확대 = 293 2) 자본축적 위기와 4·19 = 300 보론 : 박정희정권기 경제성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발전국가론 및 '유교자본주의'론을 중심으로 - 1.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박정희정권기 경제성장에 대한 이론들 = 311 2. 발전국가론의 이론체계 및 그 비판 = 313 1) '선택'과 '적응'의 수출지향산업화 = 313 2) 발전국가의 실패 = 319 3) 자본주의와 종속적 권위주의 정권의 결합 = 326 3. '유교자본주의'론의 이론체계 및 그 비판 = 331 1) 동아시아 담론으로서의 '유교자본주의'(론) = 331 2) 모순구조의 인식부재와 또 하나의 자본주의 유형화 = 334 3) 중세 가산제적 운영원리로의 회귀 = 339 4) 이념형으로 자본주의화한 유교 = 341 4. 박정희정권기 경제성장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 344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