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원임용고사·대학원진학 대비)김도영 전공영어. 상 : 영어학 편.

(교원임용고사·대학원진학 대비)김도영 전공영어. 상 : 영어학 편. (Loan 3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도영
Title Statement
(교원임용고사·대학원진학 대비)김도영 전공영어. 상 : 영어학 편. / 김도영 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형설 ,   1999.  
Physical Medium
800 p. : 삽도 ; 26 cm.
ISBN
8988884124 8988884116(세트)
000 00624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76413
005 20100806053747
007 ta
008 001027s1999 ulka 000a kor
020 ▼a 8988884124 ▼g 93740 : ▼c \27000
020 1 ▼a 8988884116(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9299 ▼f 개가 ▼l 111169300 ▼f 개가 ▼l 111169301 ▼f 개가
082 0 4 ▼a 420.76 ▼2 21
090 ▼a 420.76 ▼b 1999 ▼c 1
100 1 ▼a 김도영
245 2 0 ▼a (교원임용고사·대학원진학 대비)김도영 전공영어. ▼n 상 : ▼p 영어학 편. / ▼d 김도영 편저.
260 ▼a 서울 : ▼b 형설 , ▼c 1999.
300 ▼a 800 p. : ▼b 삽도 ; ▼c 26 cm.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76 1999 1 Accession No. 1111692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76 1999 1 Accession No. 1111693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76 1999 1 Accession No. 1111693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영어 발달사

 Ⅰ. 서론 = 17

  1. 영어사란 ? = 17

  2. 영어사 연구의 목적 = 17

  3. 언어 연구의 두 가지 방법 = 18

  4. 언어의 정의(Definition of Language) = 18

  5. 영어사의 시대구분 = 21

 Ⅱ. 영어의 기원과 인구어 = 23

  1. 영어의 기원 = 23

  2. 인구어(the Indo-European language) = 24

  3. Germanic Languages = 33

 Ⅲ. Old English = 37

  1. 역사적 배경 = 37

  2. 고대영어의 특징 = 39

 Ⅳ. Middle English = 50

  1. 역사적 배경 = 50

  2. 중세영어의 방언과 표준영어의 등장 = 51

  3. 중세영어의 특징 = 53

 Ⅴ. Modern English = 59

  1. 역사적 배경 = 59

  2. 현대영어의 특징 = 61

 Ⅵ. American English = 68

  1. 미국영어의 성립배경 = 68

  2. 미국영어의 특징 = 69

  3. 영어에 들어온 차용어 = 76

PART Ⅱ 영어 음성학

 1. 음성학이란? = 83

 2. Articulatory Phonetics = 84

 3. 음의 분류 = 85

 4. 자음의 분류 = 86

 5. 모음의 분류 = 90

 6. 음절과 초분절음소 = 93

 7. 변별적 자질과 자연군 = 97

PART Ⅲ 영어 음운론

 1. 서론 = 107

 2. 음소 = 107

 3. 생성 음운론(Generative Phonology) = 111

 4. 초분절 음운론 = 131

PART Ⅳ 영어 형태론

 1. 서론 = 157

 2. 형태소 = 158

 3. 이형태소(Allomorph) = 161

 4. 형태소의 유형 = 165

 5. 단어와 형태소 = 170

 6. 조어법(World Coinage) = 174

 7. 파생형태론 = 183

 8. 굴절형태론 = 189

 9. 형태음소론(Morphophonemics) = 191

10. 생성형태론(Generative Morphology) = 193

11. 단어통사론 = 199

PART Ⅴ 영어 통사론

 Ⅰ. 문법 이론의 변천 = 205

  1. 서론 = 205

  2. 전통 문법 = 206

  3. 역사-비교 언어학 = 209

  4. 구조주의 언어학 = 211

  5. 변형-생성 문법 = 216

 Ⅱ. 구절 구조(Phrase Structure) = 225

  1. 구절 표지(Phrase-marker) 및 수형도(Tree-diagram) = 225

  2. 구절 구조 규칙(Phrase-structure Rule ; PS- Rule) = 227

  3. 어휘 삽입 규칙(Lexical Insertion Rule) = 231

  4. 투사 규칙(Projection Rule) = 232

  5. 명사구 테스트(Noun Phrase Test) = 233

  6. 동사구 테스트(Verb Phrase Test) = 235

  7. 보문소(Complementizers) = 235

 Ⅲ. 변형과 변형 규칙(Transformation and Transformational Rules) = 236

  1. PS문법의 결함과 변형의 필요성 = 236

  2. 요소 변형(Elementary Transformation) = 238

  3. 변형 규칙(T-Rule)의 성격 = 242

  4. 변형 규칙(T-Rule)의 유형 = 244

  5. 변형(Transformation) = 246

  6. Embedded Sentence = 267

  7. Raising = 271

  8. 대명사화 변형(Pronominalization Transformation) = 274

  9. 화제화(Topicalization) = 276

  10. Sentence Conjunction vs. Phrasal Conjunction = 278

  11. 양화사 부동변형(Quantifier Floating) = 280

  12. Eager vs. Easy 구조구별 = 282

  13. Persuade vs. Expect 구조구별 = 284

  14. 5가지 동사의 기저구조(Underlying Structures of 5 kinds of Verbs) = 285

 Ⅳ. 통사 제약(Syntactic Constraints) = 290

  1. 시제문 조건(Tensed S Condition) = 290

  2. 명시 주어 조건(Specified Subject Condition) = 291

  3. 상위범주 우선 제약(A-Over-A Constraints) = 291

  4. 복합 명사구 제약(Complex NP Constraint ; CNPC) = 292

  5. 문주어 제약(Sentential Subject Constraint ; SSC) = 294

  6. Wh-Island Constraint = 295

  7. 등위 구조 제약(Coordinate Structure Constraint (CSC)) = 296

  8. 단위 이동 제약(Unit Movement Constraint ; UMC) = 296

  9. 하위 인접 조건(Subjacency Condition ; Bounding Theory) = 297

  10. Wh-COMP Constraint = 299

  11. 강교차 제약(Strong Crossover Const)과 약교차 제약(Weak Crossover Const) = 299

  12. 주어 조건(Subject Condition) = 300

 Ⅴ. 여과(Filter) = 301

  1. 서론 = 301

  2. 내부절 여과(Internal Clause Filter) = 301

  3. Empty Subject Filter = 302

  4. For-to Filter = 302

  5. 복합 COMP 여과(Multiply Filled COMP Filter) = 303

  6. 근절 여과(Root Clause Filter) = 303

  7. For-for Filter = 304

  8. Stranded Preposition Filter = 304

  9. 결어 = 304

 Ⅵ. 지배 결속 이론(Government Binding Theory) = 305

  1. 성분 통어(c-command) = 305

  2. Government = 306

  3. 결속(Binding) = 307

 Ⅶ. 통제 이론(Control Theory) = 318

  1. PRO의 특성 = 318

  2. PRO와 의미역 관계 = 319

 Ⅷ. 격 이론(Case Theory) = 321

  1. 격 여과와 격 배당(Case Filter & Case Assignment) = 321

  2. 구조격(Structural Case)과 고유격(Inherent Case) = 322

  3. 격배당(Case Assignment)과 표층구조(S-Structure) = 323

  4. 예외적 격표시(Exceptional Case-marking) = 324

  5. 격(Case)과 구조재구성(Restructuring) = 326

  6. 격과 의미역(Case & θ-role) = 327

 Ⅸ. 의미역 이론(θ-Theory) = 330

  1. 의미역( θ-role)과 논항(argument) = 330

  2. 의미역과 투사 규칙( θ-role & Projection principle) = 331

 Ⅹ. 공범주원리 (Empty Category Principle ; ECP) = 333

  1. 공범주의 설정동기(Motivation for Empty Category) = 333

  2.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rinciple = ECP) = 334

  3. ECP와 전치사좌초(Preposition Stranding) = 336

  4. ECP와 교량동사(Bridge Verb) = 338

 ⅩⅠ. Ⅹ-이론(X-bar Theory) = 340

  1. P.S Rule의 문제점과 X-bar 통사론 = 340

  2. X-bar 이론의 모형(Scheme) = 341

  3. 핵계층 규약의 장점 = 342

 ⅩⅡ. 전통문법 = 350

  1. 운용소, 조동사, 주술관계(Operator, Auxiliary, and Predication) = 350

  2. 부사의 범주(Categories of Adverbial) = 351

  3. 폐쇄류 항목 대 개방류 항목(Closed-system Items vs. Open-class Items) = 352

  4. 대용형(Pro-forms) = 352

  5. 부차적 법조동사(Marginal Modal Auxiliaries) = 352

  6. 한정 동사구와 비한정 동사구(Finite and non-finite Verb Phrases) = 353

  7. 6가지의 한정사(Six Classes of Determiners) = 355

  8. 합계 복수(Summation Plurals) = 356

  9. 변환(Mutation) = 357

  10. Genitive Meanings = 357

  11. 군어속격(Group Genitive) = 358

  12. 상호대명사(Reciprocal Pronoun) = 360

  13. 형용사의 의미적 하위 분류(Semantic Sub-classification of Adjectives) = 361

  14. 부가어, 접속요소, 이접요소(Adjunct, Conjunct and Disjunct) = 362

  15. 무표와 유표(Unmarked and Marked Term) = 363

  16. 후치 전치사(post-posed prepositions) = 364

  17. 전치사구의 통사적 기능(Syntacic Functions of Prepositional Phrases) = 365

  18. Seven Senses of Over = 365

  19. 부정의 범위(Scope of Negation) = 366

  20. 수사의문(Rhetorical Question) = 367

  21. 상투어(Formulae) = 368

  22. 표제어(Block Language) = 369

  23. 부가어의 통사적 자질(Syntactic Features of Adjuncts) = 370

  24. 접속요소(Conjuncts) = 370

  25. 내심 구조(Endocentric Construction)와 외심 구조(Exocentric Construction) = 371

  26. 인간 언어의 특성 = 372

  27. 계사, 연결사(Linking Verb or Copula) = 373

  28. 준동사, 동사류(Verbal) = 373

  29. Dangling Participle (비인칭 독립 분사 구문) = 374

  30. 비언어적 의사전달(Non-verbal Communication) = 374

PART Ⅵ 영어 의미론

 Ⅰ. 서론 = 377

  1. 의미와 의미 이론 = 377

  2. 통사론과 의미론 = 379

  3. 어휘 항목 = 381

 Ⅱ. 어휘 의미론 = 406

  1. 어휘 의미와 의미 변화 = 406

  2. 지시 의미 = 407

  3. 의의 의미 = 408

  4. 심리 의미 = 409

  5. 어휘 구조와 장이론 = 415

  6. 성분분석 = 417

  7. 어휘간의 관계 = 423

 Ⅲ. 문장 의미론 = 432

  1. 문장의 의미 = 432

  2. 언어학적 문장 의미 = 433

  3. 명제 논리 의미 = 434

  4. 술어 논리 의미 = 437

  5. 진리조건적 의미론 = 439

  6. 중의성과 모호성 = 440

  7. 전제와 함의 = 448

  8. 외연과 내포 = 461

  9. 기타 = 465

 Ⅳ. 생성 의미론과 해석 의미론 = 475

  1. 생성 의미론 = 475

  2. 해석 의미론 = 490

  3. 확대 표준 이론 = 501

 Ⅴ. 화용론 = 504

  1. 서론 = 504

  2. 직시(Deixis) = 505

  3. 화행(Speech Act) = 509

  4. 간접 화행(Indirect Speech Act) = 511

PART Ⅶ 영어 교수법

 Ⅰ. 언어의 본질과 배경 = 519

  1. 언어의 본질 = 519

  2. 언어의 배경 = 532

  3. 의사소통능력과 기능주의 = 563

 Ⅱ. 언어습득 이론 = 572

  1. 서론 = 572

  2. 행동주의 심리학(Behaviorism) = 572

  3. 인지주의 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 574

  4.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 = 577

  5. 모국어 습득 이론 = 581

  6. 외국어 습득 = 601

  7. 외국어 학습의 요인 = 607

 Ⅲ. 영어교육 = 629

  1. 서론 = 629

 Ⅳ. 주요 교수방법의 개관 = 636

  1. 전통적 교수법 = 636

  2. 신교수법(Unconventional Approaches) = 652

 Ⅴ. 영어의 기능별 지도

  1. 서론 = 682

  2. 4기능의 지도 = 683

 Ⅵ. 영어 교육 평가 = 754

  1. 서론 = 754

  2. 평가의 의미와 목적 = 756

  3. 평가의 구비조건 = 756

  4. 평가의 종류 = 759

기출문제(영어학) = 76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