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임용고시 전공영어)시험엔 이런 문제가 난다

(임용고시 전공영어)시험엔 이런 문제가 난다 (5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현구 박영순
서명 / 저자사항
(임용고시 전공영어)시험엔 이런 문제가 난다 / 이현구 ; 박영순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키출판사 ,   2000.  
형태사항
721 p. : 삽도 ; 26 cm.
기타표제
임용고시 및 각종 영어학시험 종합대비
ISBN
8974571412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708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76410
005 20100806053742
007 ta
008 001027s2000 ulka 000a kor
020 ▼a 8974571412 ▼g 13740 : ▼c \2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9305 ▼f 개가 ▼l 111169306 ▼f 개가 ▼l 111169307 ▼f 개가
082 0 4 ▼a 420.76 ▼2 21
090 ▼a 420.76 ▼b 2000
100 1 ▼a 이현구
245 2 0 ▼a (임용고시 전공영어)시험엔 이런 문제가 난다 / ▼d 이현구 ; ▼e 박영순 공저.
246 0 3 ▼a 임용고시 및 각종 영어학시험 종합대비
260 ▼a 서울 : ▼b 키출판사 , ▼c 2000.
300 ▼a 721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박영순 ▼0 AUTH(211009)3726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6 2000 등록번호 1111693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6 2000 등록번호 1111693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6 2000 등록번호 1111693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현구(지은이)

1957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부원장을 지냈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부 초빙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의과학연구소 편집위원 및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전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전의 품격》, 《최한기의 기철학과 서양과학》, 《지금, 내게 가장 절실한 것》 등이 있고, 김교빈 교수와 함께 집필한 《동양철학 에세이》 1권과 여럿이 함께 지은 《박물관에서 꺼내온 철학이야기》, 《기학의 모험》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영어학
 제1장 언어학
  1. 언어의 정의(A definition of language) = 20
  2. 언어의 일반적 특징 = 20
  3. 언어의 기원 = 22
  4. 혼성어와 혼교어(Pidgin & Creole) = 22
  5. 언어의 사용 기능 = 23
  6. 언어학의 분야(Field of Linguistics) = 23
  7. 언어 변화의 3가지 원인 = 24
  참고문헌 = 26
  연습문제 = 27
 제2장 영어발달사
  1. 영어사를 배우는 이유 = 30
  2. 영어발달사의 시기적 구분 = 31
  3. 영어 발달사의 핵심연표 = 32
  4. 영어와 인구어족(English Language &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 = 32
  5. 인구어의 특징(Some Characteristics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 35
  6. Grimm's Law = First Consonant Shift = Rask's Law = 35
  7. Verner's law = 36
  8. 영국의 원주민 Celts족 = 37
  9. OE시대의 7왕국과 그 방언(Anglo-saxon Heptarchy and its Dialects) = 37
  10. Old English의 특징 = 39
  11. Norman Conquest가 영어에 미친 영향 = 42
  12. 중세영어의 특징(Some Characteristics of Middle English) = 44
  13. 중세 영어시대의 방언(Dialects of Middle English) = 44
  14. ME시대에 East Midland Dialect가 표준어로 등장한 이유 = 45
  15. 영어의 재등장(1200∼1500) = 47
  16. 대모음전환(Great Vowel Shift) : 1400∼1700 = 48
  17. 현대영어의 성립 = 49
  18. 18c 이후 영어에 대한 경향 = 50
  19. 현대영어의 특징 = 50
  20. 어근 창조(Root Creations) = 51
  21. 의음어 또는 의성어(Echoic or Onomatopoeic Words) = 51
  22. 방출음(Ejaculations) = 51
  23. 혼성어(Hybrid) = 51
  24. 약어형(Clipped forms) = 51
  25. 두문자어(Acronyms) = 52
  26. 두음소실형(Aphetic form) = 52
  27. 역파생어(Back formation) = 52
  28. 중첩어 또는 혼성어(Portmanteau words = Blending) = 52
  29. 민간어원(Fork Etymology = Popular Etymology = Associative Etymology) = 52
  30. 보통명사화(Commonization) = 53
  31. 의미의 일반화(Generalization = Extension) = 53
  32. 의미의 특수화(Specialization) = 53
  33. 의미의 악화(Pejoration = Deterioration) = 53
  34. 의미의 양화(Amelioration = Elevation) = 53
  35. 이중어(Doublet) = 54
  36. 은유(Metaphor) = 54
  37. 환유(Metonymy) = 54
  38. 공감각(Synethesia) = 55
  39. 완곡어(Euphemism) = 55
  40. Rhotacism이란? = 55
  41. 모음변이(Mutation)이란? = 55
  42. Ablaut란? = 56
  43. 차용어(Loanword) = 56
  44. 루운 알파벳(Futhorc) = 57
  45. 현대 영국영어와 미국영어 = 58
  참고문헌 = 61
  연습문제 = 62
  용어해설 = 64
 제3장 음성학·음운론·형태론
  Ⅰ. 음성학(Phonetics) = 72
   1. 음성학이란? = 72
   2. 음성학의 연구분야 = 72
   3. 음성기관(The Organs of Speech) = 73
   4. 기류기제(Airstream Mechanism) = 74
   5. 성대의 위치 = 76
   6. 성대진동 개시시간(VOT : Voice Onset Time) = 77
   7. 모음(Vowels)의 이해 = 78
   8. 간략표기(Broad Transcription) & 정밀표기(Narrow Transcription) = 80
   9. 이중모음(Diphthongs) = 80
   10. 자음(Consonants)에 대해 = 81
   11. 음향음성학(Acoustic Phonetics)에 대해 = 84
   12. 초분절음소(Suprasegmental Phoneme) = 86
  Ⅱ. 음운론(Phonology) = 89
   13.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 = 89
   14. 음소(Phoneme)에 대해 = 89
   15. 언어음 표시의 계층(Levels of Sound Representation) = 91
   16. 음운 및 음성제약(Phonological & Phonetic Constraints) = 92
   17. 음운규칙 작용의 종류(The Different Kinds of Operations of Phonological Rules) = 93
   18. 내포원칙(Implicational Universals) = 94
   19. 우연한 공백과 체계적 공백(Accidental Gaps & Systematic Gaps) = 94
   20. 내적증거와 외적증거(Internal Evidence & External Evidence) = 95
   21. Chomsky와 Halle의 변별적 자질(The Distinctive Features of Chomsky and Halle) = 95
   22. 자연부류(Natural Class) = 99
   23. 표기규약(National Conventions) = 99
   24. 급여와 출혈(Feeding & Bleeding) = 102
   25. 음운과정(Phonological Process) = 104
   26. 영어의 음절(Syllable) = 106
   27. 영어의 강세(Stress) ; 변형생성음운론적 접근 = 114
  Ⅲ. 형태론(Morphology) = 123
   28. 형태소의 정의 = 123
   29. 형태소와 이형태 = 123
   30. 형태소의 유형 = 123
   31. 형태소의 분류 = 126
   32. 언어 유형론 = 126
  참고문헌 = 128
  연습문제 = 129
 제4장 영문법 이론의 변천과정
  1. 문법(grammar)이란? = 134
  2. 문법이론연구 변천과정 = 134
  3. 전통문법(Traditional Grammar) 또는 학교문법(School Grammar) = 135
  4. 구조주의 문법(Structural Grammar = Descriptive Grammar) = 136
  5.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139
 제5장 통사론
  1. 통사론(Syntax)이란? = 142
  2. 변형문법의 이론적 배경 = 142
  3. 영어 통사이론의 변천과정 = 143
  4. 수형도(Tree Diagram)의 이해 = 149
  5. 변형규칙(Transformational Rules) = 151
  6. 통사제약(Syntactic Constraints) = 154
  7. 여과(Filters) = 160
  8. 지배결속이론(Government-Binding Theory) = 163
  참고문헌 = 174
  용어해설 = 175
 제6장 영어교수법
  1. 외국어 교육의 목적 = 182
  2. 영어교육 또는 영어교수법의 약자 호칭 = 183
  3. Approach, Method, and Technique에 대한 용어의 정의 = 184
  4. 학습이론의 비교 = 185
  5.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 : GTM) = 186
  6. 자연교수법(Natural Approach : NA) = 187
  7. Gouin's Method(= The Series Method = Psychological Method) = 188
  8. 직접 교수방법(Direct Method : DM) = 188
  9. 독서식 교수법(Reading Method) = 191
  10. 구조주의식 교수법(Structural Approach) = 192
  11. 청취발화법(Audiolingual Method : ALM) = 194
  12. 인지주의적 접근방법(Cognitive Approach) = 195
  13. 전신반응법(The Total Physical Response Approach : TPR) = 198
  14. 신자연교수법(The Neo-Natural Method : NA) = 198
  15. 상황강화 교수법(Situational Reinforcement Method) = 199
  16. 미시파상 교수법(Microwave Method) = 199
  17. VIF Audio-visual Method = 200
  18. 이해력교수법(Comprehension Approach) = 200
  19. 모듈 교수법(Modular Approach) = 201
  20. 문화중심 교수법(Culture-based Methods) = 201
  21. 무언교수법(The Silent Way) = 201
  22. 집단언어학습법(Community-Language Learning : CLL) = 202
  23. 최면연상법(Suggestopedia) = 202
  24. 의사소통(기능적) 교수법(Communicative or Functional Approach) = 203
  25. 집중교육법(The Intensive Approach) = 203
  26. 흡수 교수법(The Immersion Approach) = 206
  27. 이중언어 교수법(The Bilingual Method) = 208
  28.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의 특징 = 210
  29. 조기외국어교육(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 FLES) = 211
  30. 언어습득이론(Language Acquisition Theory) = 211
  31. 주축개방문법(Pivot Grammar) = 214
  32. 개념적 교과과정(Notional Syllabus) = 215
  33. 언어습득장치(Language-Acquisition Device : LAD) = 216
  34. '몰라요' 현상(Pop-Go-Weasel Effect) = 216
  35. Firs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adults and children = 216
  36.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Critical Age of Language Acquisition) = 217
  37. 사피어-워프의 가설(Sapir-Whorf hypothesis) = 217
  38. 과정(process), 스타일(style) 그리고 책략(strategy)의 차이점에 대해 = 219
  39. 제2언어 학습의 인지적인 변인으로서 학습 스타일 = 221
  40. 장독립성(field independece)과 장의존성(field dependence) = 221
  41. 제2언어 학습 스타일 중 좌·우뇌 기능(left-& right-brain functioning)에 대해 = 224
  42. 제2언어 학습 스타일 중 애매성의 수용정도(ambiguity tolerance)에 대해 = 224
  43. 제2언어 학습 스타일 중 숙고형(reflectivity)과 충동형(impulsivity)에 대해 = 225
  44. 제2언어 학습 스타일 중 시각적(visual) 스타일과 청각적(auditory) 스타일에 대해 = 226
  45. 어떤 학습자는 어떤 교수법을 사용하여 가르치건 상관없이 제2언어학습에 성공적이라고 한다. Rubin(1982)이 말하는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의 특성, 스타일 및 책략에 대해 = 226
  46. 제2언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학습 책략과 의사소통 책략 2가지 유형에 대해 = 227
  47. O'Malley와 Chamot 등(1985)의 학습책략에 대해 = 227
  48. Tarone(1981)의 의사소통 책략의 분류에 대해 = 230
  49. 학습자 책략을 훈련시키기 위한 교사의 기법에 대해 = 231
  50. 제2언어 학습에서 정의적인 영역(affective domain) = 232
  51.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인 요인 중 자아 존중심(self-esteem)에 대해 = 233
  52.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인 요인 중 억제 심리(inhibition)에 대해 = 234
  53.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인 요인 중 위험 무릅쓰기(risktaking)에 대해 = 234
  54.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인 요인 중 불안감(anxiety)에 대해 = 235
  55.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인 요인 중 감정이입(empathy)에 대해 = 236
  56.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인 요인 중 외향적 성격(extroversion)에 대해 = 237
  57.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 중에서 문화적 고정 관념(cultural stereotype)에 대해 = 237
  58.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 중에서 태도(attitudes)에 대해 = 238
  59.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중 문화 동화(acculturation)에 대해 = 239
  60. 제2언어 습득의 사회문화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에 대해 = 239
  61. 제2언어 습득과 McLaughlin의 주의-처리 모델(attention-processing model)에 대해 = 239
  62.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242
  63. Gagne'의 8가지 학습유형 = 244
  64. 전이, 간섭 및 일반화(Transfer, Interference, & Overgeneralization) = 245
  65. 귀납추론과 연역추론(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 247
  66. 도구적 동기와 통합적 동기(Instrumental and Integrative Motivation) = 248
  67. 대조분석가설(CAH)과 유표성차이가설(MDH)(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 249
  68. 중간 언어(Interlanguage) = 251
  69. Error의 원인 = 252
  70. 화석화(Fossilization) = 253
  71. Krashen의 Input Hypothesis(= Monitor Model = Acquisition Learning) = 253
  72. '듣기' 지도법 = 254
  73. 영어교육의 평가 = 256
  74. 분리테스트와 통합테스트(Discrete Point Test & Integrative Test) = 257
  75. 영어학습에서의 computer의 역할 = 257
  76. 우리나라 영어과의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 비교 = 259
  참고문헌 = 261
  연습문제 = 262
  용어해설 = 264
제2편 대학원 예상문제
 제1장 영어교수법 및 심리언어학 = 280
 제2장 음성학 및 음운론 = 308
 제3장 영어통사론 = 317
제3편 제7차 교육과정 = 324
제4편 영국문학사
 제1절 고대(약 1200년까지) = 434
  A. 시대적 배경 = 434
  B. 산문 = 435
  C. 시 = 436
 제2절 중세(1485년까지) = 439
  A. 시대적 배경 = 439
  B. 중세 영문학의 특징 = 439
  C. 주요 작가와 작품 = 440
  D. 기타 장르 = 445
 제3절 16세기(1485∼1603) = 446
  A. 시대적 배경 = 446
  B. 주요 작가와 작품 = 448
 제4절 17세기(1603∼1660) = 457
  A. 시대적 배경 = 457
  B. 가치 패턴의 변화 = 457
  C. 지적 풍토의 변화 = 458
  D. 주요 작가와 작품 = 458
  E. 기존 문학형식의 소멸과 새로운 문학형식의 출현 = 467
 제5절 왕정복고와 18세기(1660∼1789) = 468
  A. 시대적 배경 = 468
  B. 시대 구분과 각 시대에 유행한 장르 = 469
  C. 신고전주의 문학이론 = 469
  D. 주요 작가와 작품 = 471
  E. 소설의 발생 = 475
 제6절 낭만주의 시대(1798∼1832) = 482
  A. 정치·사회적 배경 = 482
  B. 시대 정신 = 483
  C. 낭만주의의 특징 = 484
  D. 주요 작가와 작품 = 485
 제7절 빅토리아 시대(1832∼1910) = 503
  A. 빅토리아 조의 구분 = 503
  B. 시대 정신 = 504
  C. 주요 작가와 작품 = 504
  D. 빅토리아 조 말기의 예술적 징조 = 528
 제8절 20세기(1910∼)
  A. 시의 혁명 - 모더니즘 영시의 태동 = 529
  B. 소설의 새로운 방법들 - 모더니즘 소설의 등장 = 530
  C. 주요 작가들 = 532
 용어해설(영문학 일반) = 568
제5편 미국문학사
 제1절 식민지, 혁명 그리고 신생국가시대(1492∼1786) = 574
  A. 청교도주의(Puritanism) = 574
  B. 주요 작가와 주요 작품 = 575
  혁명과 신생국가 시대의 작가들 = 582
   A. 시대정신 - 계몽사상 = 582
   B. 주요 작가와 작품 = 582
   C. 미국의 초기 소설 = 586
   D. 미국 초기 희곡 = 587
 제2절 낭만주의 및 초월주의 시대(1787∼1865) = 588
  낭만주의 재발견의 작가들 : 자연, 인간, 사회 = 588
   A. 특성 = 588
   B. 주요 작가와 작품 = 589
  상징적 및 윤리적 관념론의 작가들 = 592
   A. 특성 = 592
   B. 주요 작가와 작품 = 593
  초월주의 = 597
   A. 초월주의 = 597
   B. 주요 작가와 작품 = 598
  인도주의적 감수성의 작가들 = 602
   A. 특성 = 602
   B. 주요 작가와 작품 = 602
 제3절 근대문학의 출현(1866∼1910) = 604
  새로운 목소리의 시인들 = 604
   A. 특성 = 604
   B. 주요 작가와 작품 = 604
  사실주의
   A. 사실주의 태동 요인 = 610
   B. 주요 작가와 작품 = 610
  자연주의 = 616
   A. 자연주의 = 616
   B. 주요 작가와 작품 = 617
 제4절 20세기 초반의 문학(1910∼1940) = 624
  미국의 재평가 작가들 = 624
  관습에 대한 공격자들 = 629
  황무지의 시인들 = 633
  관념과 질서의 시인들 = 636
  실재를 추구하는 소설가들 = 639
  사회 사상의 문학적 표현 = 644
  비평가들 = 648
 제5절 20세기 중반의 문학(1940∼1960) = 653
  시인들 = 653
  소설가들 = 654
  극작가들 = 662
  비평가들 = 668
 제6절 20세기 후반의 문학(1960∼) = 671
  A.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 671
  B. 대표적인 작가들 = 672
  시인들 = 672
  소설가들 = 679
  비평가들 = 685
용어해설(영문학 : 희곡) = 689
부록 = 697
참고문헌 = 709
2000년도 중등교사 신규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문제지 = 71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