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발생학 서론
발생학의 범위 = 1
발생학의 의의 = 3
발생단계 = 3
출생전기 = 3
출생후기 = 5
발생기 = 5
발생학의 일반적인 용어 = 5
발생학의 연구 방법 = 7
발생학의 역사 = 8
인체발생학 = 10
우리나라의 발생학 = 11
발생학 분야의 서적 및 정기 간행물 = 11
우리나라의 발생학 관련 주요 서적 = 11
외국의 발생학 관련 주요 서적 = 12
주요 정기 간행물 = 12
제2장 발생의 일반적인 개념
유전과 환경의 역할 = 15
세포증식 = 15
유사분열 = 17
감수분열 = 17
일차감수분열 = 17
이차감수분열 = 19
성장 = 19
성장의 방법 = 19
성장의측정 = 19
차등성장 = 19
성장자료 = 20
성장조절요인 = 22
분화 = 23
조직발생 = 24
형태발생 = 26
통합 = 27
제3장 인간의 생식기, 생식자의 발생 및 생식주기
인간의 생식기 = 29
남성의 생식기 = 29
여성의 생식기 = 31
생식자의 발생 = 33
성세포의 출현 = 34
정자발생 = 35
정자세포의 형성 = 36
정자 형성 = 36
성숙 정자 = 38
난자발생 = 38
출생 전 성숙 = 39
출생 후 성숙 = 39
정자와 난자의 비교 = 42
비정상적인 생식자발생 = 43
여성의 생식주기 = 44
난소주기 = 44
난포의 성장 = 45
배란 = 45
황체 = 46
월경주기 = 48
질주기 = 50
기타의 변화 = 50
제4장 발생 1주-수정 및 분할
성세포의 운반 및 생존력 = 53
정자의 운반 = 53
난자의 운반 = 54
수정 = 55
수정의 과정 = 55
분할 = 59
낭포배 = 61
비정상적인 접합자 = 62
제5장 발생 2주-착상 및 이층배자원반의 형성
착상 = 65
착상 시의 자궁점막 = 65
착상의 과정 = 66
탈락막 반응 = 70
융모의 발달 = 71
이층배자원반의 형성 = 71
이소임신 = 72
영양막 질환 = 73
비정상적인 낭포배 = 74
유산 = 74
제6장 발생 3주-삼층배자원반의 형성
장배형성 = 75
원시선조 = 76
배자내중배엽의 형성 = 78
척삭의 형성 = 78
신경배형성 = 80
신경관의 발생 = 80
신경능선의 발생 = 82
요막 = 82
배자내중배엽의 발달 = 82
체절의 발생 = 84
배자내체강의 발생 = 84
원시 심장맥관계통 = 84
배자원반의 외형 변화 = 85
영양막(융모)의 발달 = 86
제7장 주요 조직, 기관 및 배자의 발달
배자의 주름형성 = 89
종주름 = 89
횡주름 = 90
중배엽의 분화 = 92
각 배엽층의 분화 = 93
각 배엽의 의의 = 93
배자의 주요 조직 = 93
세 배엽의 분화 = 95
외배엽 = 95
내배엽 = 95
중배엽 = 95
배자령 및 태아령의 추정 = 95
산모에 의한 방법 = 95
크기에 측정 및 일반적인 형상에 의한 방법 = 96
발생 정도에 의한 추정(발생기) = 97
배자 및 주요 기관의 발달 = 98
발생 4주(발생 10∼13기) = 98
발생 5주(발생 14∼15기) = 99
발생 6주(발생 16∼17 기) = 101
발생 7주(발생 18∼19기) = 101
발생 8주(발생 20∼23기) = 103
제8장 태아, 쌍태아 및 신생아
태아기 중의 발생 = 106
발생 9∼12주 = 106
발생 13∼16주 = 107
발생 17∼20주 = 107
발생 21∼26주 = 109
발생 26∼29주 = 109
발생 30∼34주 = 110
발생 35∼38주 = 110
태아의 성장 = 110
태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0
미성숙아와 조산아 = 111
주산기학 = 111
쌍태아 = 112
이란성 쌍태아 = 113
일란성 쌍태아 = 113
일란성과 이란성 쌍태아의 구별 = 115
다태아 = 115
결합쌍태 = 115
대칭성 결합쌍태 = 117
비대칭성 결합쌍태 = 117
쌍태아 및 결합쌍태의 형성에 관한 학설 = 118
학설 = 118
분만 = 118
만삭 시의 태아자세, 태향, 및 전진부 = 118
임신 중 자궁의 위치 = 119
분만 = 119
분만의 과정 = 119
산육기 = 120
신생아 = 120
출생 시 일어나는 변화 = 120
호흡기계통 = 120
순환기계통 = 120
혈액의 변화 = 121
생리적 황달 = 121
체온 = 121
위장관계통 = 121
체증 = 121
신장계통 = 121
탯줄 = 121
눈과 귀 = 121
골격 = 122
신경계통 = 122
모체 호르몬의 작용 중지 후 태아의 변화 = 122
신체의 방어 = 122
제9장 인태아막 및 태반
태아막 = 123
난황낭 = 123
양막 = 124
양수 = 124
요막 = 126
탯줄 =127
태반 = 129
난자와 배자의 영양공급 = 131
태반의 구조 = 131
융모막 = 131
탈락막 133
융모사이공간 = 134
성장과 성숙 = 134
태반의 순환 = 135
태아의 태반순환 = 135
산모의 태반순환 = 136
태반막 = 136
태반의 비교 = 137
태반의 기능 = 138
태반의 대사 = 138
태반의 운반 작용 = 138
내분비 기능 = 140
임신과 면역 = 141
태반의 기형 = 142
제10장 서넌성 기형의 일반적인 개념
역사적 배경 = 143
빈도 = 144
분류 = 145
병인 = 146
유전 요인에 의한 기형 = 146
성염색체 = 147
염색체 수의 이상 = 147
비정배수성 = 147
다배수성 = 149
염색체 구조의 이상 = 150
돌연변이 유전자에 의한 기형 = 150
환경 요인에 의한 기형 = 151
기형유발물질과 임계기 = 152
배자의 발생 시간표 = 153
기형유발물질의 일반적인 원칙 = 153
인간에서 기형을 일으키는 물질 = 153
감염 = 153
풍진 = 153
거대세포바이러스 = 154
단순성 포진바이러스 = 156
톡소플라스마 = 156
다른 미생물 = 156
약물 및 환경화학물질 = 156
thalidomide = 156
항암제 = 156
알코올 = 157
기타 약물 = 157
임신과 약물복용 = 157
화학물질 = 157
물리적 요인 = 157
방사선 = 157
고온 = 158
기기적 요인 = 158
유전 및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선천성 기형 = 158
선천성 기형의 조기 발견 = 158
제11장 골격, 관절 및 근육
골격계통 = 161
연골의 조직발생 = 162
뼈의 조직발생 = 162
막내골화 = 163
연골내골화 = 164
중축성 골격의 형태형성 = 166
척주 = 167
늑골 = 170
흉골 = 170
두개골 = 170
골격령 = 173
관절 = 174
근육계통 = 175
횡문근 = 175
근육분절 = 176
설근 = 177
안근 = 177
인두궁의 근육 = 177
평활근 = 177
심장근육 = 178
제12장 사지
상지의 외형 발달 = 181
하지의 외형 발달 = 182
사지의 회전 = 183
사지의 골격 = 184
사지의 관절 = 185
사지의 근육 = 186
사지의 신경 분포 = 186
사지의 혈관 = 187
사지의 동맥 = 187
사지의 정맥 = 188
제13장 아가미기구 및 두경부
아가미 기구 = 190
인두궁 = 190
인두궁의 성분 = 191
제1인두궁 = 193
제2인두궁 = 195
제3인두궁 = 197
제4인두궁 = 197
제5인두궁 = 198
인두궁의 신경과 주위 구조와의 관계 = 198
인두낭 = 199
제1인두낭 = 199
제2인두낭 = 199
제3인두낭 = 199
제4인두낭 = 201
제5인두낭 = 201
아가미구 = 201
아가미막 = 201
인두의 바닥 = 202
갑상선 = 203
혀 = 204
타액선 = 206
얼굴 = 210
얼굴의 발생 = 210
성장의 방법 = 210
얼굴의 융기 = 211
얼굴의 후기 발생 = 213
치아의 발생 = 213
뇌상기 = 214
모자상기 = 214
종상기 = 214
치관기 = 214
치근의 형성 = 216
영구치아 = 216
맹출과 대체 = 216
구개 = 216
정중구개돌기 = 216
외측구개돌기 = 218
비강 및 부비동 = 218
비갑개 = 219
부비동 = 220
제14장 체강
체강 = 223
체강의 발달 = 224
흉막심장막막 = 225
흉막복막막 = 226
횡경막 = 227
횡경막의위치 이동 및 신경지배 = 228
장간막 = 228
복측장간막 = 229
배측장간막 = 229
제15장 위장관과 소화선
전장관 = 231
식도 = 232
식도간막 = 233
위 = 234
위의 위치 변화 = 235
위의 간막 = 237
위의 조직발생 = 237
십이지장 = 239
간과 담기 = 240
담기 = 241
간과 복막 = 242
태아 간의 기능 = 242
췌장 = 242
췌장관 = 242
중간장관 = 244
장관의 회전 = 244
제1기 탈장-발생 6-9주 = 245
제2기 환원-발생 9주 = 245
제3기 고정-발생 12주-출생 시 = 245
맹장과 충수 = 247
소장 벽의 분화 = 249
후장관 = 250
후장관의 고정 = 251
배설강의 구획 = 252
항문관 = 253
태변 = 253
대장 벽의 분화 = 253
제16장 호흡기계통
후두 = 255
기관 = 257
폐 = 257
주위 중간엽의 분화 = 260
폐의 조직발생 = 260
위선시기 = 260
세관시기 = 260
종말낭시기 = 260
페포시기 = 260
폐 표면활성제 = 262
제17장 비뇨생식기계통
비뇨기계통 = 263
신장 = 264
중간신장 = 265
후신장 = 266
신장엽과 신장기동 = 269
세관의 후기 발생 = 270
배설강 = 271
배설강의 구획 = 272
원시비뇨생식등 = 273
방광 = 274
요도 = 275
부생식선 = 275
생식기계통 = 276
미분화기 = 276
성의 결정 = 277
성선 = 277
원시성세포 = 278
고환 = 278
난소 = 279
생식관 = 280
중간신장의 후기 발생 = 282
중간신장옆관 = 282
난관 = 283
자궁 = 283
질 = 284
외 생식기 = 286
남성 = 286
여성 = 287
생식삭 및 성선의 하강 = 288
생식삭 = 288
성선의 하강 = 288
제18장 심장, 혈관 및 림프계통
혈관의 초기 발생 = 291
혈관의 발생 기전 = 291
배자외혈관 = 292
배자의 혈관 = 293
배자순환 및 그 의의 = 294
심장혈관계통의 발생 단계 = 295
원시혈관계통 = 295
심장 = 295
심장의 종족발생 = 296
심장원기의 출현 및 원시심관의 형성 = 297
단관상심장의형성 = 297
종주름의 형성 = 298
외측주름의 형성 = 298
심관의 기본 구조 = 299
심장의 외형 형성 = 300
배측심장간막의 소실 = 300
심구심실고리의 형성 = 300
S자심장의 형성 = 300
심장 고리형성의 기전 = 301
심관의 발달 = 302
심구심실고리의 성숙 = 303
심장의 하강 = 305
정맥동의 발달 = 305
동방판 = 305
심장중격의 형성 = 307
중경의 형성 방법 = 307
심방의 구획 및 발달 = 308
제일중격 = 308
제일공 및 제이공 = 308
제이중격 = 308
원시좌심방의 발달 = 310
원시우심방의 발달 = 310
방실관의 구획 = 311
동맥간과 심장원추의 구획 = 312
간융기 = 312
원추융기 = 312
원추중격의 흡수 = 312
반월판의 발생 = 314
심실의 구획 및 발달 = 314
심실사이중격 = 314
실간공의 폐쇄 = 316
심장의 후기 발생 = 317
전도계통 = 317
혈관과 신경분포 = 317
동맥 = 318
동맥궁 = 318
배동맥 = 320
복측가지 = 321
외측가지(중간 내장성) = 323
배측가지 = 323
정맥 = 324
난황정맥 = 324
배꼽정맥 = 326
주정맥 = 326
문측주정맥 = 326
미측주정맥 = 328
하주정맥 = 329
상주정맥 = 331
기정맥선의 정맥 = 331
출생시의 순환 변화 = 332
태아 순환 = 332
출생 시 심장혈관계통의 변화 = 332
난원공의 폐쇄 = 332
동맥관의 폐쇄 = 335
배꼽동맥의 폐쇄 = 335
배꼽정맥의 폐쇄 = 335
정맥관의 폐쇄 = 336
조혈 = 336
적혈구 = 336
거핵세포 = 337
단핵세포 = 337
과립세포 = 337
림프구 = 337
림프계통 = 337
비장 = 338
편도 = 338
제19장 신경계통
신경계통의 계통발생 = 341
신경계통의 초기 발생 = 341
신경계통의 분절(체절)적 구성 = 343
신경계통의 조직발생 = 344
간세포 = 344
신경관의 층 = 345
신경모세포의 분화 = 345
신경능선의 분화 = 346
지지구조의 분화 = 346
뇌척수막 = 348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 348
척수 = 349
척수의 외형 발생 = 349
척수의 조직발생 = 350
뇌 = 353
뇌포 = 353
뇌곡 = 354
뇌의 외형 발달 = 354
뇌벽의 일반적인 구성 = 354
능형뇌 = 355
수뇌 = 355
후뇌 = 357
뇌교 = 358
소뇌 = 358
중뇌 = 360
전뇌 = 361
간뇌 = 361
뇌하수체 = 363
종뇌 = 364
말초신경계통 = 369
척수신경 = 369
뇌신경 = 370
후각신경 = 370
시각신경 = 370
동안신경 = 372
활차신경 = 372
삼차신경 = 372
외전신경 = 372
안면신경 = 372
전정와우신경 = 373
설인신경 = 373
미주신경 = 374
부신경 = 374
서하신경 = 374
자율신경계통 = 374
부신 = 375
제20장 감각기
피부 및 부속구조 = 377
피부 = 377
표피 = 377
진피 = 378
피부 부속기 = 379
피부의 선 = 379
모발 = 380
손톱 및 발톱 = 381
유선 = 381
눈 = 383
초기 발생 = 383
망막 = 386
모양체 = 386
홍채 = 387
수정체 = 387
안방 및 각막 = 388
공막 및 맥락막 = 388
안검 = 389
누선 = 389
출생 후의 안구 = 389
귀 = 389
내이 = 389
이소포 = 389
구형낭, 와우 및 나선기 = 389
난형낭 및 반규관 = 391
중이 = 392
고실 및 이관 = 392
이소골 = 392
외이 = 393
외이도 = 393
고막 = 393
이개 = 393
찾아보기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