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과정 영역 개관 / 김재춘 = 15
1. 전통적인 의미의 교육과정 영역 = 17
2. 교육과정 개념의 다의성과 관점의 다양성 = 19
가. 교육과정 개념의 다의성 = 20
나. 교육과정 관점의 다양성 = 25
3. 교육과정 역사의 개관 = 27
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 28
나. 교육과정 이해 패러다임 = 29
다. 교육과정 철학 패러다임 = 31
4. 교육과정의 항구적인 쟁점들 = 32
가. 학생 대 교과 = 32
나. 내재적 가치 대 실용적 가치 = 33
다. 현상 유지 대 사회 변혁 = 35
라. 교육과정 개발 대 교육과정 이해 = 36
제2장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소경희 = 39
1. 해방전 교육과정 = 40
2. 해방 직후 교육과정~제5차 교육과정 = 41
가. 해방 직후 과도기 및 교수요목기 = 41
나. 제1차 교육과정 = 44
다. 제2차 교육과정 = 45
라. 제3차 교육과정 = 47
마. 제4차 교육과정 = 48
바. 제5차 교육과정 = 49
3. 제6차 교육과정 = 51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 = 52
나. 중학교 교육과정 = 54
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 56
4. 제7차 교육과정 = 58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 58
나. 수준별 교육과정 = 60
다. 재량활동 = 61
라. 고교2-3학년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 = 61
제3장 교과 활동(Ⅰ) - 지식과 교육 / 소경희 = 65
1. 지식 중심 교육과정 개관 = 66
2. 지식 중심 교육과정 이론 = 70
가. 정신 도야론 = 71
나. 지식의 구조론 = 75
다. 지식의 형식론 = 80
제4장 교과 활동(Ⅱ) - 경험과 교육 / 김재춘 = 85
1. 경험 중심 교육의 역사 개관 = 86
가. 진보주의 교육 운동의 기원 = 86
나. 진보주의 교육학회의 창립 = 87
다. 킬패트릭의 프로젝트 학습법 = 88
라. 생활 적응 교육의 등장 = 89
2.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 91
3. 듀이의 경험과 교육과정 = 93
가. 듀이의 경험과 교육 = 93
나. 경험의 성장을 위한 교과 발달의 세 단계 = 95
다. 교육자의 교과와 학습자의 교과 = 100
제5장 교과외 활동 / 소경희 = 107
1. 특별 활동 = 108
가. 도입 배경 및 성격 = 108
나. 특별 활동의 교육 내용 = 111
2. 재량 활동 = 114
가. 도입 배경 및 성격 = 114
나. 재량 활동의 교육 내용 = 117
3. 특기·적성 교육 활동 = 120
가. 도입 배경 및 성격 = 120
나.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교육 내용 = 123
4. 특별 활동, 재량 활동, 특기·적성 교육 활동간의 관계 = 124
제6장 잠재적 교육과정 / 김재춘 = 129
1.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Ⅰ - 보수적 관점 = 131
가. 잭슨(Jackson)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 132
나. 드리븐(Dreeben)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 133
다. 김종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 134
2.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Ⅱ - 급진적 관점 = 136
가. 일리치(Ilich)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 137
나. 보울즈(Bowles)와 긴티스(Gintis)의 잠재적 교욱과정 논의 = 139
다. 애플(Apple)과 지루(Giroux)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 140
3. 잠재적 교육과정의 공헌 : 교육과정의 개념 확장 = 142
가. 잠재적 교육과정 관련 쟁점 = 143
나. 잠재적 교육과정의 공헌 = 145
제7장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 소경희 = 149
1.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 원리 = 150
가. 교육과정 개발의 유형 = 150
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54
2. 교육과정 설계의 일반 원리 = 158
가. 교육 목표의 설정 = 158
나.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161
3.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실제 = 163
가. 국가 및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 164
나.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 166
제8장 교육과정 개혁의 최근 동향 / 김재춘 = 173
1. 열린 교육 = 173
가. 열린 교육의 전개 과정 = 174
나. 열린 교육의 의미 = 175
다. 열린 교육의 10대 강령 = 177
라. 열린 교육 실천인의 신조 = 178
마. 열린 교육의 주요 특징 = 179
바. 열린 교육의 공과 = 180
2. 수준별 교육 = 183
가. 수준별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 = 183
나. 수준별 교육의 의미 = 187
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 = 189
라.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 190
마.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 191
바. 수준별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 193
사. 수준별 교육과정의 한계 = 194
아. 수준별 교육과정의 발전 방안 = 198
제9장 교육평가의 개념 / 채선희 = 201
1. 교육평가의 의미 = 203
가. 교육평가의 정의 = 203
나. 기술과 판단 = 205
다.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 206
2. 교육평가의 역사 = 207
가. 교육평가에 대한 과학적 접근 = 208
나. 교육평가모형의 등장 = 209
다. 교육평가의 양적·질적 확대 = 211
라. 한국 교육평가의 역사 = 212
3. 관련 용어 탐색 = 214
가. 평가와 측정 = 214
나. 평가와 사정 = 216
다. 평가와 평가연구 = 218
라. 평가와 평가학 = 219
제10장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 / 채선희 = 223
1. 타일러(Tyler)의 목표 중심적 접근 = 224
2. 스터플빔(Stufflebeam)의 경영적 접근(의사결정적 접근) = 226
3. 크론박(Cronbach)의 연구적 접근 = 229
4. 바이스(Weiss)의 정책분석적 접근(이해관계자 접근) = 230
5. 울프(Wolf)의 배심원적 접근 = 231
6. 판단적 접근 = 232
가. 스크리븐(Scriven)의 탈목표평가 = 232
나. 스테이크(Stake)의 반응평가 = 234
다. 아이스너(Eisner)의 비평적 평가 = 234
7. 다원적·직관적 접근 = 235
가. 스테이크(Stake)의 방응평가 = 236
나. 구바·링콘(Guba & Lincoln)의 자연주의적 평가(참여적 평가) = 236
8. 하우스(House)의 사회정의적 접근(민주적 평가) = 237
제11장 교육평가의 유형 / 채선희 = 243
1.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구분 = 243
2. 평가영역에 따른 유형 구분 = 244
3. 성취목표 수준에 따른 유형 구분 = 246
4.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구분 = 246
5.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구분 = 248
6. 평가방법에 따른 유형 구분 = 250
7. 시간 제한 여부에 따른 유형 구분 = 251
제12장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채선희 = 255
1. 평가의 목적 확인 = 255
2. 평가영역과 내용의 선정 = 256
3. 평가방법의 결정 = 261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262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263
6. 평가환경의 구축 = 264
7. 자료의 수집 = 265
8. 자료의 분석 = 265
9.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 = 266
10. 평가결과의 보고 = 267
11. 평가결과의 활용 = 268
12. 메타평가 = 269
제13장 검사 개발과 문항 유형 / 부재율 = 275
1. 검사 개발 = 276
가. 검사 계획서 개발 = 277
나. 실제 문항의 개발 및 검사지 개발 = 283
2. 선택형 및 단답형 문항 = 286
가. 진위형 문항 = 287
나. 선다형 문항 = 288
다. 단답형 문항 = 289
3. 수행평가 = 290
가. 수행평가의 개념 및 평가 방식 = 291
나. 수행평가의 장점 = 292
다. 수행평가의 단점 = 293
라. 서답형 문항 = 295
제14장 평가도구(검사)의 양호도 / 부재율 = 301
1. 평가도구의 사용 목적과 양호도 = 302
2. 검사 점수의 신뢰도 = 302
가. 오차점수를 만드는 요인 = 305
나. 신뢰도 구하기 = 306
다. 신뢰도 계수(알파 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09
라. 신뢰도 계수 해석 = 312
3. 검사 점수의 객관도 : 준거지향검사 결과의 일관성 = 313
가. 준거지향검사에서 사용되는 점수 체계 = 313
나. 준거지향검사의 신뢰도 계수 = 314
4. 검사의 타당도 = 316
가. 내용 타당도 증거 = 317
나. 준거 타당도 증거 = 318
다. 구인(construct)타당도 증거 = 320
5. 검사의 실용성 = 321
제15장 평가 결과의 보고 및 분석 / 부재율 = 325
1. 평가결과 해석을 위해 필요한 통계적 개념과 기법 = 326
가.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 326
나. 중심경향값 = 328
다. 분산도 지수 = 329
라. 정규분포 = 330
마. 백분위 = 331
바. 표준화 점수 = 332
사. 상관계수 = 333
2. 고전검사이론을 이용한 검사 및 문항 분석 = 335
가. 점검해야 할 검사의 특성 = 335
나. 문항 분석 = 339
3.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문항 분석 = 345
가. 문항반응이론의 장점 = 346
나. 문항반응이론의 가정 = 346
다. 문항특성곡선 = 347
라. 문항반응이론의 지수 = 348
마. 문항분석에서의 활용 = 349
제16장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 / 부재율 = 353
1. 컴퓨터 보조검사(Computer Assisted Testing) = 354
2. 전통적 검사 형태를 유지한 컴퓨터이용 검사(CT : Computerized Testing) = 361
3. 컴퓨터이용 개별적응검사(CAT :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 365
가. 적응성을 가진 검사의 시도 = 366
나. CAT의 예 = 367
다. CAT의 장점 = 371
라. CT 및 CAT의 제한점 = 373
마. CAT의 제한점 = 375
4.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의 활용 = 376
가. 컴퓨터 보조검사 및 CT의 미래 활용 = 376
나. CAT의 활용상태 및 미래의 활용 가능성 = 378
찾아보기 = 381